"If Beale Street Could Talk"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❷ 공간과 색이 만든 시)
1번째 줄: 1번째 줄: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정의</span>'''==
+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정의</span>'''==
  
 
<div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c3e50, #ffb347); color: #fdfdfd; padding: 20px; border: 2px solid #ffa500; border-radius: 10px; font-family: 'Georgia', serif; font-size: 105%; line-height: 1.8; margin: 10px 0;">   
 
<div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c3e50, #ffb347); color: #fdfdfd; padding: 20px; border: 2px solid #ffa500; border-radius: 10px; font-family: 'Georgia', serif; font-size: 105%; line-height: 1.8; margin: 10px 0;">   
<b>《If Beale Street Could Talk》</b>는 2018년 A24가 배급하고 <b>Barry Jenkins</b>가 연출한 드라마 영화이다.   
+
<b>《If Beale Street Could Talk》</b>는 2018년 A24가 배급하고 <b>Barry Jenkins</b>가 연출한 드라마 영화이다.<ref>https://en.wikipedia.org/wiki/If_Beale_Street_Could_Talk_(film)</ref>  
James Baldwin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b style="color:#ffd580;">사랑과 인종차별, 억울한 수감</b>이라는 무게 있는 주제를 섬세하게 풀어낸다.   
+
James Baldwin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b style="color:#ffd580;">사랑과 인종차별, 억울한 수감</b>이라는 무게 있는 주제를 섬세하게 풀어낸다.<ref>https://en.wikipedia.org/wiki/If_Beale_Street_Could_Talk_(film)</ref>  
 
<b style="color:#ffe5b4;">Regina King</b>은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ref>https://www.oscars.org/oscars/ceremonies/2019</ref>   
 
<b style="color:#ffe5b4;">Regina King</b>은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ref>https://www.oscars.org/oscars/ceremonies/2019</ref>   
이 영화는 억압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사랑의 목소리를, 비트 있는 리듬과 감각적인 색감으로 전한다.   
+
이 영화는 억압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사랑의 목소리를, 비트 있는 리듬과 감각적인 색감으로 전한다.<ref>https://www.nytimes.com/2018/12/13/movies/if-beale-street-could-talk-review.html</ref>  
 
</div>
 
</div>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내용</span>'''==
+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내용</span>'''==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❶ 사랑, 가장 강력한 저항</span> ===
+
===❶ 사랑, 가장 강력한 저항===
 
+
<blockquote style="border-left:5px solid #f4a460; padding:15px; background:#fdf6ef; margin:10px 0;">
<blockquote style="border-left: 5px solid #f4a460; padding-left: 15px; background-color: #fdf6ef; font-size: 102%; line-height: 1.8; margin: 10px 0;">
+
 
연인 Tish와 Fonny는 아이를 기다리는 젊은 흑인 커플이지만, Fonny는 억울한 강간 혐의로 수감된다.   
 
연인 Tish와 Fonny는 아이를 기다리는 젊은 흑인 커플이지만, Fonny는 억울한 강간 혐의로 수감된다.   
 
이야기는 그들의 회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b>사랑이 불가능한 세계에서 사랑을 지키려는 시도</b>를 따라간다.   
 
이야기는 그들의 회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b>사랑이 불가능한 세계에서 사랑을 지키려는 시도</b>를 따라간다.   
<b>사랑은 증거이며, 침묵을 뚫는 가장 감정적인 언어로 기능한다.</b><ref>https://www.nytimes.com/2018/12/13/movies/if-beale-street-could-talk-review.html</ref>
+
<b>사랑은 증거이며, 침묵을 뚫는 가장 감정적인 언어</b>로 기능한다.<ref>https://www.nytimes.com/2018/12/13/movies/if-beale-street-could-talk-review.html</ref>
 
</blockquote>
 
</blockquote>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❷ 공간과 색이 만든 시</span> ===
+
===❷ 공간과 색이 만든 시===
 
+
<div style="background:#fff7ed; border:1px solid #f1c27d; padding:18px; border-radius:6px; margin:10px 0;">
<div style="background-color:#fff7ed; border: 1px solid #f1c27d; padding: 18px; border-radius: 6px; font-family: 'Garamond', serif; font-size: 103%; line-height: 1.8; margin: 10px 0;">
+
<b style="color:#d2691e;">• 따뜻한 금빛</b>: 가족의 품, 기억의 온기  
<b style="color:#d2691e;">• 따뜻한 금빛</b>: 가족의 품, 기억 속의 사랑  
+
 
+
 
<b style="color:#d2691e;">• 차가운 파랑</b>: 수감된 Fonny의 현실   
 
<b style="color:#d2691e;">• 차가운 파랑</b>: 수감된 Fonny의 현실   
 
+
<b style="color:#d2691e;">• 클로즈업과 정면 응시</b>: Tish의 시선으로 관객과 마주하게 하는 연출  
<b style="color:#d2691e;">• 클로즈업과 정면 응시</b>: Tish의 시선으로 관객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하는 카메라 전략  
+
<b style="color:#d2691e;">• 재즈 리듬</b>: Baldwin의 시를 음악처럼 담아낸다  
 
+
<b style="color:#d2691e;">• 재즈 리듬</b>: Baldwin의 시적 문장을 음악처럼 담아내는 감각적 연출  
+
 
</div>
 
</div>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❸ 시맨틱 정체성과 연결</span> ===
+
===❸ 시맨틱 정체성과 연결===
 
+
<div style="background:#fff6eb; border-left:4px solid #ffcc99; padding:14px; margin:10px 0;">
<div style="background:#fff6eb; border-left: 4px solid #ffcc99; padding: 14px; font-size: 103%; line-height: 1.8; margin: 10px 0;">
+
이 영화는 다음의 정체성과 깊이 연결된다:   
《If Beale Street Could Talk》는 다음의 시맨틱 정체성과 연결된다:   
+
• 흑인 정체성, 사법 제도, 사랑, 여성 서사, 문학의 영상화.<ref>https://www.nytimes.com/2018/12/13/movies/if-beale-street-could-talk-review.html</ref>   
<b>흑인 정체성</b>: 미국 사회의 구조적 인종차별에 놓인 개인의 존재 
+
• <b>사법제도</b>: 거짓 증언과 경찰 권력에 의해 짓눌린 정의 
+
• <b>사랑</b>: 억압에 맞서는 유일한 힘 
+
• <b>여성의 서사</b>: Tish의 내레이션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여성 중심의 시점 
+
• <b>문학의 시각화</b>: James Baldwin의 언어를 영상으로 번역한 정교한 시도  
+
 
</div>
 
</div>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❹ 침묵과 회상의 미학</span> ===
+
===❹ 침묵과 회상의 미학===
 
+
<ul style="margin:10px 0;">
<ul style="font-size:103%; line-height:1.8; margin: 10px 0;">
+
<li>느린 컷과 정적 구도는 사건보다 정서에 집중한다.</li>
<li>느린 컷과 정적인 구도는 ‘사건’보다 ‘정서’에 집중한다.</li>
+
<li>회상 장면은 반복되며 감정의 파동처럼 다가온다.</li>
<li>회상 장면은 감정의 파동처럼 부드럽게 반복되며 현재를 강화한다.</li>
+
<li>침묵, 눈빛, 숨결이 Baldwin의 언어처럼 시적이다.</li>
<li>침묵과 눈빛, 숨결은 Baldwin의 글처럼 압축되고 시적이다.</li>
+
</ul>
</ul>
+
<b>말보다 많은 것을 ‘응시’로 전달하는 시적 영화</b>이다.<ref>https://4columns.org/chan-andrew/if-beale-street-could-talk</ref>
<b>이 영화는 말보다 많은 것을 ‘응시’로 전달하는 시적 영화이다.</b>
+
 
+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❺ 우리가 살아가는 거리, Beale Street</span> ===
+
  
<ul style="font-size:103%; line-height:1.8; margin: 10px 0;">
+
===❺ 우리가 살아가는 거리, Beale Street===
<li>Beale Street는 특정 장소가 아닌, 억압과 희망이 교차하는 모든 흑인의 거리이다.</li>
+
<ul style="margin:10px 0;">
<li>영화는 끝에서 Baldwin의 문장을 빌려 말한다: <i>“Every Black person born in America was born on Beale Street.”</i></li>
+
<li>Beale Street는 억압과 희망이 교차하는 흑인의 거리다.</li>
 +
<li>영화는 Baldwin의 문장으로 끝을 맺는다:
 +
<small>“Every Black person born in America was born on Beale Street.”</small><ref>https://en.wikipedia.org/wiki/If_Beale_Street_Could_Talk_(film)</ref></li>
 
</ul>
 
</ul>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멀티미디어</span>'''==
+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멀티미디어</span>'''==
  
==='''<span style="color:#f4a460; font-weight:bold;">이미지</span>'''===   
+
==='''이미지'''===   
 
<gallery mode="packed" heights="16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160px">   
파일:BealeStreetPoster.jpeg|《If Beale Street Could Talk》 공식 포스터   
+
파일:BealeStreetPoster.jpeg|《If Beale Street Could Talk》 공식 포스터<ref>IMP Awards, high‑res theatrical poster, https://www.impawards.com/2018/if_beale_street_could_talk.html</ref>  
파일:BarryJenkins.jpeg|감독 Barry Jenkins   
+
파일:BarryJenkins.jpeg|감독 Barry Jenkins<ref>Wikimedia Commons, “File:Barry Jenkins (cropped).jpg” CC BY‑SA 2.0,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arry_Jenkins_(cropped).jpg</ref>  
파일:ReginaKing.jpeg|Sharon 역, Regina King   
+
파일:ReginaKing.jpeg|Sharon 역, Regina King<ref>Getty Images, Regina King at Essence Festival 2018, https://www.gettyimages.com/detail/news-photo/regina-king-attends-if-beale-street-could-talk-movie-cast-news-photo/993061412</ref>  
파일:BealeStreetStill.jpeg|Tish와 Fonny
+
파일:BealeStreetStill.jpeg|Tish와 Fonny 스틸<ref>Cinematographic still courtesy Annapurna Pictures via Motion Pictures org, https://www.motionpictures.org/2019/01/oscar-watch-dp-james-laxton-on-creating-radical-intimacy-in-if-beale-street-could-talk/</ref> 
 
</gallery>
 
</gallery>
  
==='''<span style="color:#f4a460; font-weight:bold;">동영상</span>'''===   
+
==='''동영상'''===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N4m3t3G3Zqc" title="If Beale Street Could Talk Trailer"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N4m3t3G3Zqc" title="If Beale Street Could Talk Trailer"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CQXSforT_qQ?si=Dt1v6X2oRhz1uBh9"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주석'''==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mK71ZfaZO4?si=sP1JD2b8IFEubFgm"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주석</span>'''==
+
 
<references/>
 
<references/>
  

2025년 6월 20일 (금) 22:14 판

정의

《If Beale Street Could Talk》는 2018년 A24가 배급하고 Barry Jenkins가 연출한 드라마 영화이다.[1] James Baldwin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사랑과 인종차별, 억울한 수감이라는 무게 있는 주제를 섬세하게 풀어낸다.[2] Regina King은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3] 이 영화는 억압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사랑의 목소리를, 비트 있는 리듬과 감각적인 색감으로 전한다.[4]

내용

❶ 사랑, 가장 강력한 저항

연인 Tish와 Fonny는 아이를 기다리는 젊은 흑인 커플이지만, Fonny는 억울한 강간 혐의로 수감된다. 이야기는 그들의 회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사랑이 불가능한 세계에서 사랑을 지키려는 시도를 따라간다. 사랑은 증거이며, 침묵을 뚫는 가장 감정적인 언어로 기능한다.[5]

❷ 공간과 색이 만든 시

• 따뜻한 금빛: 가족의 품, 기억의 온기 • 차가운 파랑: 수감된 Fonny의 현실 • 클로즈업과 정면 응시: Tish의 시선으로 관객과 마주하게 하는 연출 • 재즈 리듬: Baldwin의 시를 음악처럼 담아낸다

❸ 시맨틱 정체성과 연결

이 영화는 다음의 정체성과 깊이 연결된다: • 흑인 정체성, 사법 제도, 사랑, 여성 서사, 문학의 영상화.[6]

❹ 침묵과 회상의 미학

  • 느린 컷과 정적 구도는 사건보다 정서에 집중한다.
  • 회상 장면은 반복되며 감정의 파동처럼 다가온다.
  • 침묵, 눈빛, 숨결이 Baldwin의 언어처럼 시적이다.

말보다 많은 것을 ‘응시’로 전달하는 시적 영화이다.[7]

❺ 우리가 살아가는 거리, Beale Street

  • Beale Street는 억압과 희망이 교차하는 흑인의 거리다.
  • 영화는 Baldwin의 문장으로 끝을 맺는다: “Every Black person born in America was born on Beale Street.”[8]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주석

  1. https://en.wikipedia.org/wiki/If_Beale_Street_Could_Talk_(film)
  2. https://en.wikipedia.org/wiki/If_Beale_Street_Could_Talk_(film)
  3. https://www.oscars.org/oscars/ceremonies/2019
  4. https://www.nytimes.com/2018/12/13/movies/if-beale-street-could-talk-review.html
  5. https://www.nytimes.com/2018/12/13/movies/if-beale-street-could-talk-review.html
  6. https://www.nytimes.com/2018/12/13/movies/if-beale-street-could-talk-review.html
  7. https://4columns.org/chan-andrew/if-beale-street-could-talk
  8. https://en.wikipedia.org/wiki/If_Beale_Street_Could_Talk_(film)
  9. IMP Awards, high‑res theatrical poster, https://www.impawards.com/2018/if_beale_street_could_talk.html
  10. Wikimedia Commons, “File:Barry Jenkins (cropped).jpg” CC BY‑SA 2.0,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arry_Jenkins_(cropped).jpg
  11. Getty Images, Regina King at Essence Festival 2018, https://www.gettyimages.com/detail/news-photo/regina-king-attends-if-beale-street-could-talk-movie-cast-news-photo/993061412
  12. Cinematographic still courtesy Annapurna Pictures via Motion Pictures org, https://www.motionpictures.org/2019/01/oscar-watch-dp-james-laxton-on-creating-radical-intimacy-in-if-beale-street-could-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