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드모트 - 세베루스 스네이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세베루스 스네이프와 볼드모트의 관계)
(참고자료)
 
160번째 줄: 160번째 줄:
 
*[https://www.harrypotter.com/ja/fact-file/characters-and-pets/lord-voldemort 볼드모트 Wizarding World]
 
*[https://www.harrypotter.com/ja/fact-file/characters-and-pets/lord-voldemort 볼드모트 Wizarding World]
 
*[https://www.harrypotter.com/ja/collections/severus-snape 세베루스 스네이프 Wizarding World]
 
*[https://www.harrypotter.com/ja/collections/severus-snape 세베루스 스네이프 Wizarding World]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1801574&qvt=0&query=영화%20해리%20포터와%20죽음의%20성물%201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 네이버 영화]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ssc=tab.nx.all&query=영화+해리+포터와+죽음의+성물+2&oquery=영화+해리+포터와+죽음의+성물+1&tqi=jaSKgsqptbNss41RjPCssssssdZ-438274&ackey=91suw4xn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 네이버 영화]
  
 
=='''주석'''==
 
=='''주석'''==

2025년 6월 20일 (금) 20:57 기준 최신판

내용

세베루스 스네이프와 볼드모트의 관계

[1]

세베루스 스네이프볼드모트. 표면적으로는 충직한 부하와 절대적인 주인의 관계처럼 보였지만, 그 이면에는 기만과 의심이 깊게 깔려 있었다.

젊은 시절 스네이프는 죽음을 먹는 자로서 볼드모트를 따랐다. 강한 마력과 냉정한 판단력을 가진 그는 볼드모트에게 있어 유능한 도구였다. 그러나 릴리 포터가 볼드모트에 의해 살해당한 순간부터, 스네이프의 충성은 '가면'으로 바뀐다.

그는 볼드모트에게 충성하는 척하면서, 덤블도어와 손을 잡고 해리 포터를 지키는 이중 첩자로 활동한다. 볼드모트는 겉으로는 스네이프를 중용했지만, 그의 속마음을 완전히 읽지 못했고, 점점 의심을 품기 시작한다.

특히 덤블도어의 죽음에 관여하고 호그와트의 교장이 된 이후, 볼드모트는 스네이프에게 더욱 중요한 역할을 맡기면서도 완전한 신뢰를 보내지 않았다.

결국 『죽음의 성물』에서 딱총나무 지팡이의 진정한 주인을 알아내기 위해, 볼드모트는 스네이프를 ‘의심’하고 ‘살해’하는 결정을 내린다. 그 순간까지도 그는 스네이프의 '충성'이 사랑과 속죄에서 비롯된 진심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스네이프는 끝까지 본심을 드러내지 않으며, 죽음 직전에야 해리에게 자신의 기억과 진실을 넘긴다. 이렇게 두 사람의 관계는 서로의 ‘진짜 얼굴’을 보지 못한 채, 조용히 무너진다.

이 이야기는 ‘충성이란 무엇인가’, ‘신뢰란 무엇인가’를 묻는, 조용하지만 깊은 비극이다.

죽음을 먹는 자들

[2] [3]

죽음을 먹는 자들은 어둠의 마법사 볼드모트를 주군으로 따르며, 그의 사상에 공감하거나 복종하는 마법사들로 이루어진 비밀 조직이다. 이들은 순혈주의를 핵심 이념으로 삼고, 머글(비마법사)과 머글 태생 마법사를 배제하며, 순혈 마법사에 의한 지배 체제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구성원들은 팔에 ‘어둠의 표식(Dark Mark)’을 새기며, 이는 죽음을 먹는 자로서의 충성을 상징한다. 볼드모트가 한 사람의 표식을 손으로 만지면, 모든 죽음을 먹는 자들의 표식이 검게 변색되고 뜨겁게 달아오른다. 이 신호는 곧 소환의 명령을 의미하며, 구성원들은 즉시 응답해야 한다. 그들의 활동은 정치적 암살, 고문, 협박, 반대 세력 제거, 머글 사회에 대한 공격 등 광범위하며, 마법 세계에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죽음을 먹는 자들 중에는 볼드모트의 이념을 진심으로 신봉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권력욕에서 비롯된 참여자, 혹은 두려움과 강압에 의해 복종하는 이들도 존재했다. 조직은 폐쇄적이고 내부 불신이 강했으며, 구성원 간에도 신뢰보다는 감시와 경쟁이 우선되었다.


스네이프에게 있어 죽음을 먹는 자들의 의미

세베루스 스네이프 역시 젊은 시절 죽음을 먹는 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가 이 조직에 가담한 배경에는 머글 출신이라는 출생 배경에 대한 열등감, 사회적 소외감, 그리고 힘에 대한 강한 욕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죽음을 먹는 자라는 정체성은 당시 스네이프에게 있어 자신을 증명하려는 욕망과 소속감을 충족시켜주는 수단이었다.

그러나 사랑했던 릴리 포터가 볼드모트에 의해 살해된 후, 스네이프는 자신의 선택에 대해 깊은 후회와 죄책감을 가지게 된다. 이후 그는 덤블도어와 협력하여 죽음을 먹는 자라는 신분을 유지한 채, 이중 첩자로서 볼드모트를 감시하고 해리를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처럼 스네이프에게 있어 죽음을 먹는 자는, 처음에는 ‘힘과 소속의 상징’이었지만, 후에는 ‘속죄와 사명을 위한 위장 수단’으로 변화했다. 겉보기에는 다른 죽음을 먹는 자들과 같았지만, 실제로는 정반대의 목적을 품고 있었고, 그는 그 누구보다도 고독하고 위험한 길을 걸은 인물이었다.


볼드모트에게 있어 죽음을 먹는 자들의 의미

볼드모트에게 죽음을 먹는 자들은 자신의 권력을 확장하고, 마법 세계를 이상적인 질서로 재편하기 위한 실행 부대였다. 그는 이들을 ‘선택받은 자’로 추켜세우는 동시에, 그 누구도 완전히 신뢰하지 않았다. 충성심은 끊임없이 시험되었고, 배신이나 실패는 곧바로 숙청의 대상이 되었다.

볼드모트는 죽음을 먹는 자들을 활용해 공포에 기반한 지배 체계를 구축했다. 민간인에 대한 공개 처형, 호그와트나 마법부 침투, 정보 조작 등 다양한 활동을 이들을 통해 수행했다. 결국 죽음을 먹는 자들은 볼드모트에게 있어 ‘자신의 권위를 상징하는 존재’이자, ‘필요에 따라 버릴 수 있는 도구’에 불과했다.

명대사

Always...

– 세베루스 스네이프

『죽음의 성물 2』에서 해리포터가 스네이프의 기억을 보고 난 후, 덤블도어의 “아직도 릴리를 사랑하나?”는 질문에 스네이프가 대답한 말


Look at me... You have your mother's eyes.

– 세베루스 스네이프

『죽음의 성물 2』에서、스네이프가 죽기 직전 해리포터에게 마지막 말을 남기는 장면


Avada Kedavra!

– 볼드모트

이 주문은 즉사 마법으로 피할 수 없는 죽음을 뜻한다. 볼드모트가 가장 많이 사용한 마법 주문이다


I can touch you. Now!!

– 볼드모트

『불의 잔』에서 볼드모트가 해리 포터의 피를 통새 부활을 한 수 릴리의 보호 마법에 벗어나 해리 포터를 만질수 있음을 선언한 대사

네트워크 그래프


멀티미디어

이미지

[4]

동영상

참고자료

주석

  1. 볼드모트와 스네이프 사진 Alpha Coders
  2.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 네이버 영화 포토
  3. 죽음을 먹는 자들 나무위키
  4.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 네이버 영화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