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갈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이미지) |
(→이미지)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멀티미디어'''== | =='''멀티미디어'''== | ||
==='''이미지'''=== | ==='''이미지'''=== | ||
− | +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2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220px"> | ||
− | 파일:더글로리2.png| 상류층인 가해자가 하류층인 피해자에게 현실이 바뀌지 않는다고 얘기하는 장면 | + | 파일:더글로리2.png| 상류층인 가해자가 하류층인 피해자에게 현실이 바뀌지 않는다고 얘기하는 장면 <ref>[https://www.netflix.com/title/81519223, 넷플릭스 <더 글로리> 1화 장면]</ref> |
− | 파일:2화나가면아무것도3.png| 하류층 참가자들이 생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상류층이 만들어낸 생존경쟁 게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장면 | + | 파일:2화나가면아무것도3.png| 하류층 참가자들이 생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상류층이 만들어낸 생존경쟁 게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장면<ref> [https://www.netflix.com/watch/81262748?trackId=14170289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2화 캡쳐] </ref> |
</gallery> | </gallery> | ||
2025년 6월 16일 (월) 23:05 판
정의
사회 내에서 경제적, 사회적 지위에 따라 발생하는 불평등과 그로 인한 집단 간의 대립을 의미한다. 주로 소득, 학력, 직업, 주거 등에서 나타나며 불평등이 심화될 수록 갈등도 커진다.
내용
계층갈등은 사회 내 자원과 기회의 불균형으로 인해 서로 다른 계층 간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현상이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소득, 자산, 학력, 직업 안정성, 주거 환경 등 다양한 요소가 계층을 구분짓는 기준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경제적 격차를 넘어 삶의 기회 자체를 결정짓는 구조로 작동한다. 과거에는 노력과 교육을 통해 계층상승이 가능하다는 믿음이 있었지만, 오늘날 많은 이들이 출발선의 차이가 이미 계층을 결정한다고 느끼고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청년층 사이에서는 상대적 박탈감과 공정성에 대한 불만이 심화되고 있다. [1]
이는 노동시장과 주거 문제에서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격차는 단순한 고용 형태 차이를 넘어 삶의 질과 미래 전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산 격차는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 같은 구조 속에서 상층은 자산과 기회를 세습하며 기득권을 유지하고, 하층은 노력으로도 구조를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다. 결과적으로 사회 전반의 신뢰는 약화되고, 구성원 간의 혐오와 분열이 심화된다.
• <오징어게임>에서 나타난 계층갈등 양상 : 극심한 경제적 위기에 놓인 참가자들이 목숨을 걸고 게임에 참여하는 구조는, 하층민끼리 경쟁하게 만드는 현실을 보여준다.
• <더 글로리>에서 나타난 계층갈등 양상 : 피해자는 사회적 약자, 가해자는 상류층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권력과 자본이 폭력조차 은폐하는 현실을 반영한다.
• 현실에서의 계층갈등 사례
-청년 세대의 구조적 불만: 헬조센 담론[2] ‘헬조선’은 계층갈등의 하위 유형으로, 계층상승이 불가능하다는 인식과 상대적 박탈감에서 비롯된 청년 세대 중심의 담론이다. 노력해도 계층을 바꾸기 어렵다는 구조적 좌절감과, 공정성에 대한 불신이 결합되며, 특히 교육, 고용, 주거 등에서의 불평등이 심화될수록 분노가 증폭된다. 이 표현은 단순한 불만이 아니라, 기회 불균형과 계층 고착에 대한 사회 구조적 비판을 담고 있다.
-주거 공간이 담고 있는 구조적 착취: 전세사기[3]
전세사기는 단순한 민사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약자가 재산을 축적하거나 안정된 거주를 확보할 기회 자체를 빼앗기는 구조적 착취이다. 이는 결국 자산 계층과 무주택 계층 간의 불평등을 고착시킨다.
-노동자 계급에 대한 권력자 계급의 횡포: spc 노동자 사망사건[4]
지난 5월 19일 경기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 A씨가 컨베이어 벨트 윤활 작업 중 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이 사건은 SPC 등의 대기업 계열사에서 산업안전보다 생산 우선 문화가 여전하며, 노동자의 기본 안전 권리는 하위 계층 노동자가 희생되는 구조적 계층갈등 문제를 반영한다.
시멘틱 스토리텔링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이야기하는 계층 갈등 - 오징어게임 시즌1, 더글로리
멀티미디어
이미지
상류층인 가해자가 하류층인 피해자에게 현실이 바뀌지 않는다고 얘기하는 장면 [5]
하류층 참가자들이 생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상류층이 만들어낸 생존경쟁 게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장면[6]
동영상
- ↑ 이철희(2020). 『한국 사회의 계층구조와 계층이동성 연구』
- ↑ 출산 안 하는 이유 들어보니…"헬조선은 저까지만"
- ↑ 5월 전세사기 피해 860명 추가… 누적 3만 명 돌파
- ↑ SPC삼립 시흥 제빵공장서 50대 근로자 사망…윤활유 작업중 사고
- ↑ 넷플릭스 <더 글로리> 1화 장면
- ↑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2화 캡쳐
- ↑ "지긋지긋한 '헬조선'"…절망에 빠진 '우리말' / YTN
- ↑ 피해자 매월 약 1,000명 끝나지 않는 전세사기 | 로그인 EP.10 📹 안상미 위원장
- ↑ SPC삼립 시흥 공장서 컨베이어 벨트 끼여 사망‥SPC 계열사 잇따르는 사망사고 (2025.05.19/뉴스데스크/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