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 우선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정의'''== 지대 추구형 사회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인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은 치열한 로비활동을 전개하고, 이 과정에서 뇌물과 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지대 추구형 사회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인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은 치열한 로비활동을 전개하고, 이 과정에서 뇌물과 부패가 만연하게 되는 사회를 말한다.<ref>한국경제, 한경용어사전,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10972</ref> | 지대 추구형 사회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인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은 치열한 로비활동을 전개하고, 이 과정에서 뇌물과 부패가 만연하게 되는 사회를 말한다.<ref>한국경제, 한경용어사전,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10972</ref> | ||
− | 한마디로 | + | 한마디로 이윤<ref>네이버 국어사전, '이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f6c72ef797c42798559409b36cb1071ref>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사고방식을 말하는 단어이다. |
=='''내용'''== | =='''내용'''== | ||
− | + | 오징어개임 시즌 1에서는 참가자들의 목숨을 돈으로 바꾸어 상금을 높여간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람들은 오직 그 상금을 바라보며 무자비한 학살과 게임을 감행하는데, 이러한 장면에서 이윤 우선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윤 우선주의 모습일 수밖에 없던 그들의 사회 속 계층 간 불균형과 게임을 만들어낸 VIP들의 모습에서 이윤 우선주의가 탄생하게 된 계기를 알 수 있다. | |
=='''시맨틱 스토리텔링'''== | =='''시맨틱 스토리텔링'''== | ||
− | *[[]] | + | *[[오징어게임- 자본주의 시스템이 만들어낸 계층 간 불균형]] |
=='''멀티미디어'''== | =='''멀티미디어'''== | ||
==='''이미지'''===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동영상'''=== | ==='''동영상'''===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28번째 줄: | 22번째 줄: |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
[[분류: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이야기하는 계층 갈등 - 오징어게임 시즌1, 더글로리]] | [[분류: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이야기하는 계층 갈등 - 오징어게임 시즌1, 더글로리]] | ||
− | [[분류: | + | [[분류: KU김보람]] |
2025년 6월 9일 (월) 03:43 판
정의
지대 추구형 사회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인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은 치열한 로비활동을 전개하고, 이 과정에서 뇌물과 부패가 만연하게 되는 사회를 말한다.[1]
한마디로 이윤[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