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호/영구결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상 경력)
140번째 줄: 140번째 줄:
 
! 연도 || 상세  
 
! 연도 || 상세  
 
|-
 
|-
| '''2006'''||'''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 올해의 선수상''' / '''일구상 - 최우수 선수상''' /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타율 1위 / 홈런 1위 / 타점 1위 / 장타율 1위
+
| '''2006'''||'''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타율 1위''' / '''홈런 1위''' / '''타점 1위''' / '''장타율 1위'''
 
|-
 
|-
 
| '''2007'''||'''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 '''2007'''||'''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146번째 줄: 146번째 줄:
 
| '''2009'''||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 '''2009'''||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
 
|-
| '''2010'''||'''시즌 MVP''' /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 '''일구회 - 최고타자상''' 타율 1위 / 안타 1위 / 홈런 1위 / 타점 1위 / 득점 1위 / 출루율 1위 / 장타율 1위
+
| '''2010'''||'''시즌 MVP''' /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 '''타율 1위''' / '''안타 1위''' / '''홈런 1위''' / '''타점 1위''' / '''득점 1위''' / '''출루율 1위''' / '''장타율 1위'''
 
|-
 
|-
 
| '''2011'''||'''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 '''2011'''||'''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159번째 줄: 159번째 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5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50%;"
|+<류현진의 MLB 수상 경력>  
+
|+<이대호의 NPB 수상 경력>  
 
! 연도 || 상세  
 
! 연도 || 상세  
 
|-
 
|-
| '''2019'''||'''NL ERA 1위''' / '''NL 올스타''' / NL 사이영상 2위 / All-MLB 세컨드팀
+
| '''2012'''||'''NPB 베스트나인 - 퍼시픽리그 베스트나인 1루수 부문''' / 퍼시픽리그 타점 1위 /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
|-
 +
| '''2014'''||'''일본 시리즈 우승'''
 +
|-
 +
| '''2015'''||'''일본 시리즈 우승''' / '''일본시리즈 MVP''' / '''NPB 베스트나인 - 퍼시픽리그 베스트나인 지명타자 부문'''
 
|-
 
|-
| '''2020'''||'''워렌 스판 상''' / AL 사이영상 3위 / All-MLB 세컨드팀
 
 
 
|}
 
|}
  
173번째 줄: 175번째 줄:
 
|-
 
|-
 
| '''2006'''||도하 아시안 게임 동메달
 
| '''2006'''||도하 아시안 게임 동메달
 +
|-
 +
| '''2007'''||'''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은메달'''
 
|-
 
|-
 
| '''2008'''||'''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 '''2008'''||'''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
 
|-
| '''2009'''||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
| '''2009'''||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은메달
 
|-
 
|-
 
| '''2010'''||'''광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 '''2010'''||'''광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
|-
 +
| '''2015'''||'''2015 WBSC 프리미어 12 금메달'''
 
|-
 
|-
 
|}
 
|}

2025년 6월 8일 (일) 20:18 판



이대호
전준우, 다음 스포츠.
이름 이대호
출생 1982.06.21 / 부산광역시 수영구
학력 수영초 - 대동중 - 경남고 - (영남사이버대)
신체 194cm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1년 2차 1라운드 (전체 4번, 롯데)
연봉 2022 / 8억원
등장곡 Cherry Filter - <오리 날다>
응원가 Sarah Vaughan - <A Lover's concerto>





개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현재는 롯데 자이언츠에서 은퇴해서 유튜버 및 방송인으로 활약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고의 타자 라인업인 추강대엽를 담당하고 있을 만큼, 롯데 자이언츠의 프랜차이즈 스타 중 하나이자 KBO가 배출한 최고의 타자 중 한 명이다. 한국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일본프로야구리그 NPB에 진출했고, 팀의 우승을 이끌며 일본시리즈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 일본에서의 활약 덕분에 미국에도 잠시 진출하여 메이저리그도 경험하고 온다. 2017년 고향팀 롯데 자이언츠로 돌아와 2022 시즌까지 뛰고 은퇴를 선언한다. 프로팀에서의 성과 뿐만 아니라 조선의 4번 타자라는 별명의 이대호는 국제 대회에서 국가대표로써도 훌륭한 기록을 남겼다.


선수 경력

2006년–2012년: 한화 이글스에서의 데뷔와 전성기

류현진은 2006년 한화 이글스에 2차 1라운드 2순위로 입단하여 KBO 리그에 데뷔하였다.

첫 시즌부터 놀라운 성적을 기록하며 18승 6패, 평균자책점 2.23, 205탈삼진으로 투수 3관왕(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을 달성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인왕과 정규시즌 MVP를 동시에 수상했는데, 이는 KBO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다.

그는 이후 2012년까지 한화 이글스의 절대적인 에이스로 활약하며, 매 시즌 두 자릿수 승수와 리그 상위권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특히 경기당 삼진 능력과 위기관리 능력에서 독보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약체로 분류되던 팀 내에서 거의 유일한 확실한 전력으로 꼽혔다.

이 시기 그는 KBO 올스타에 7차례 선정되었으며, 국가대표로도 꾸준히 발탁되어 국제대회에서 활약하였다.

2013년–2019년: LA 다저스에서의 메이저리그 도전과 전성기

2012년 시즌 종료 후,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류현진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6년 3,600만 달러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는 한국 프로야구 투수 최초의 메이저리그 직행 계약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2013년 다저스 데뷔 시즌에서 14승 8패, 평균자책점 3.00의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곧바로 선발 로테이션에 안착하였다.

이후 2014년까지 2년 연속 14승을 거두며 팀의 2~3선발급 자원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2015년과 2016년에는 어깨 수술과 팔꿈치 재활 등으로 인해 긴 공백기를 겪게 된다.

완전히 복귀한 2018년부터 그는 다시 안정적인 피칭을 선보이며 팀의 신뢰를 회복하였고,

2019년에는 평균자책점 2.32로 메이저리그 전체 ERA 1위를 기록하였다. 이 해 그는 내셔널리그 사이영상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하고,

커리어 첫 올스타 선발 및 MLB 올스타전 선발 투수로 등판하는 등 개인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다.

2020년–2023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새로운 도전

2019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은 류현진은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4년 8,000만 달러에 계약, 한국 선수 역대 최고액 FA 계약을 체결하며 아메리칸리그로 이적했다.

2020년 첫 시즌부터 팀의 에이스 역할을 맡아 5승 2패, 평균자책점 2.69를 기록하며 AL 사이영상 후보 3위에 올랐고,

아시아 선수로는 드물게 팀 내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2021년부터는 체력 문제와 구위 저하, 그리고 2022년 중반 수술로 인해 시즌을 일찍 마감하는 등 점차 부침을 겪었다.

2023년에는 복귀해 부분적으로 선발로 나섰지만, 과거와 같은 위력적인 모습은 제한적이었다.

2024년–현재: KBO 리그 복귀와 한화 이글스 재합류

2024년 2월, 류현진은 한화 이글스와 8년 총액 170억 원의 계약을 체결하고 12년 만에 KBO 리그로 복귀하였다.

이는 KBO 역대 FA 최고액 계약으로, 그의 상징성과 기대치를 반영한 이적이었다.

한화 구단은 류현진의 복귀를 계기로 팀의 상징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회복하고자 하였으며, 새로 개장한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와 맞물려

류현진은 구단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얼굴’로 다시 자리잡았다. 복귀 첫 시즌부터 그는 마운드에서 베테랑다운 위용을 보여주며,

젊은 투수들의 멘토이자 한화 팬들에게 오랜 기다림에 대한 보답을 선사하고 있다.

수상 경력

<이대호의 KBO 수상 경력>
연도 상세
2006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타율 1위 / 홈런 1위 / 타점 1위 / 장타율 1위
2007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2009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2010 시즌 MVP / 골든글러브 3루수 부문 / 타율 1위 / 안타 1위 / 홈런 1위 / 타점 1위 / 득점 1위 / 출루율 1위 / 장타율 1위
2011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2017 골든글러브 1루수 부문
2018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2022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일구회 - 일구대상 /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이대호의 NPB 수상 경력>
연도 상세
2012 NPB 베스트나인 - 퍼시픽리그 베스트나인 1루수 부문 / 퍼시픽리그 타점 1위 /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
2014 일본 시리즈 우승
2015 일본 시리즈 우승 / 일본시리즈 MVP / NPB 베스트나인 - 퍼시픽리그 베스트나인 지명타자 부문
<류현진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연도 상세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동메달
2007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08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은메달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5 2015 WBSC 프리미어 12 금메달

류현진 아카이브

[1]

[2] [3] [4] [5]

영상 자료

코리안 몬스터-그를 만든 시간:류현진 다큐멘터리

어메이징 류-류현진 2019 다큐멘터리

류현진 최고의 경기 COL vs LAD 2013.05.01 (6이닝 12K 2실점, 시즌 3승)

2006년 류현진 '신인왕이자 MVP'

주석

  1. 사진출처 나무위키
  2. 사진출처 코리아데일리
  3. 사진출처 KBS 뉴스
  4. 사진출처 SBS 뉴스
  5. 사진출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