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 | |
| =='''모티브(문화원형)'''== | | =='''모티브(문화원형)'''== |
− | ==='''플루토'''===
| |
− | <span style="font-size:90%; color:#888888;">플루토의 문화원형으로는 여러가지를 들 수 있는데 공식적인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은 것 근거위주로 정리.</span>
| |
− | *'''플루토(Pluto)<ref>[https://en.wikipedia.org/wiki/Pluto_(mythology) 위키피디아, Pluto(mythology)]</ref>'''
| |
− | 고대 그리스 신화와 종교에 등장하는 저승을 지배하는 신.
| |
− | 이 신의 초기 이름은 하데스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하데스와 신화를 공유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인물이라 여기기 어렵다.
| |
− |
| |
− | 거신병 플루토가 명왕 [[하데스]]에 의해 만들어진 비밀병기라는 점, [[하데스]]라는 캐릭터가 속한 명계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가장 깊은 문화원형이라 할 수 있다.
| |
− |
| |
− | *'''플루토(PLUTO)'''
| |
− |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플루토(PLUTO)>에 등장하는 로봇.
| |
− |
| |
− | 문화 원형 자체는 고대 신인 플루토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를 거신병과 엮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을 지도 모르는 캐릭터이자 작품. 만화<플루토(PLUTO)>는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의 파생작으로 <우주소년 아톰>은 애니메이션계의 대표적인 고전 걸작이다. 문화 콘텐츠, 특히 애니메이션 계에서 로봇하면 아톰이라 할 정도로 뺴놓을 수 없는 영향력이 강한 작품이기도 하다.
| |
− |
| |
− | ==='''거신병'''===
| |
− | *'''거신병(巨神兵)<ref>[https://namu.wiki/w/%EA%B1%B0%EC%8B%A0%EB%B3%91 나무위키/바람계곡의 나우시카/설정/거신병]</ref>'''
| |
−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 등장하는 소재. 인간형 반생물 병기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 |
− |
| |
− | 거신병이라는 소재 자체가 이 작품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기도 했고, 작중 거신병 플루토의 묘사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거신병과 일치.
| |
− |
| |
− | <blockquote style="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font-style:italic; padding:10px; border-left:5px solid #888;">
| |
− | 거인의 형체를 닮은 외양. 검은 광택이 도는 금속으로 마감한 거병은,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천천히 호흡하고 있었다. 신화상 가장 끔찍했던 전쟁을 준비하는 병기.
| |
− | 거신병(巨身兵).
| |
− |
| |
− | -전지적 독자 시점 116화 Episode 23. 버려진 세계(1)
| |
− | </blockquote>
| |
− |
| |
− | 인용문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한 병기가 아니라 일종의 살아있는 생물이다. 이는 영혼이 들어가 동력원이 된다는 설정에서도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 |
− | 한자같은 경우 神(귀신 신)이 아니라 身(몸 신)을 사용했는데 하데스가 소유하는 '병기'라는 속성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 |
| | | |
| =='''멀티미디어'''== | | =='''멀티미디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