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고아의 죄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특징)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 ||
− | |||
− | |||
− | =='''작중행적 | + | =='''작중행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맨틱 스토리텔링'''== | =='''시맨틱 스토리텔링'''== | ||
− | [[전지적 독자 시점 속 | + | [[전지적 독자 시점 속 서유기]] |
2025년 6월 7일 (토) 19:05 판
인물 | |
---|---|
![]() | |
수식언 | 긴고아의 죄수 → 가장 오래된 해방자 |
소속 | 황제 → 무소속 |
분류 | 성좌 |
진명 | 제천대성 손오공 |
개요(정의)
황제의 아득한 신화급 성좌들에게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존재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내용[1]
특징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 수렴동을 지배하던 원순왕 미후왕
- 천계와의 사기계약에 당해 마구간을 관리하던 시절인 필미온
- 서유기의 주요 파트를 맡은 긴고아를 차고 삼장을 따라 여정을 가는 중인 제천대성
- 모든 여정 끝에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된 투전승불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작중행적
시맨틱 스토리텔링
모티브(문화원형)
플루토
플루토의 문화원형으로는 여러가지를 들 수 있는데 공식적인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은 것 근거위주로 정리.
- 플루토(Pluto)[2]
고대 그리스 신화와 종교에 등장하는 저승을 지배하는 신. 이 신의 초기 이름은 하데스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하데스와 신화를 공유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인물이라 여기기 어렵다.
거신병 플루토가 명왕 하데스에 의해 만들어진 비밀병기라는 점, 하데스라는 캐릭터가 속한 명계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가장 깊은 문화원형이라 할 수 있다.
- 플루토(PLUTO)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플루토(PLUTO)>에 등장하는 로봇.
문화 원형 자체는 고대 신인 플루토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를 거신병과 엮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을 지도 모르는 캐릭터이자 작품. 만화<플루토(PLUTO)>는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의 파생작으로 <우주소년 아톰>은 애니메이션계의 대표적인 고전 걸작이다. 문화 콘텐츠, 특히 애니메이션 계에서 로봇하면 아톰이라 할 정도로 뺴놓을 수 없는 영향력이 강한 작품이기도 하다.
거신병
- 거신병(巨神兵)[3]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 등장하는 소재. 인간형 반생물 병기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거신병이라는 소재 자체가 이 작품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기도 했고, 작중 거신병 플루토의 묘사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거신병과 일치.
거인의 형체를 닮은 외양. 검은 광택이 도는 금속으로 마감한 거병은,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천천히 호흡하고 있었다. 신화상 가장 끔찍했던 전쟁을 준비하는 병기. 거신병(巨身兵).
-전지적 독자 시점 116화 Episode 23. 버려진 세계(1)
인용문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한 병기가 아니라 일종의 살아있는 생물이다. 이는 영혼이 들어가 동력원이 된다는 설정에서도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한자같은 경우 神(귀신 신)이 아니라 身(몸 신)을 사용했는데 하데스가 소유하는 '병기'라는 속성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