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역사유적지구.ls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1번째 줄: | 1번째 줄: | ||
<pre> | <pre> | ||
+ | |||
+ | #Project | ||
+ | 백제역사유적지구: 금강을 따라 흐르는 고대 왕도 | ||
#Class | #Class | ||
12번째 줄: | 15번째 줄: | ||
#Relation | #Relation | ||
− | linkedWith | + | linkedWith arrow 1 |
− | hasRouteTo | + | hasRouteTo arrow 1 |
− | locatedAlong | + | locatedAlong arrow 1 |
− | participatedIn | + | participatedIn arrow 1 |
− | wasDiscoveredAt | + | wasDiscoveredAt arrow 1 |
− | isPreservedAt | + | isPreservedAt arrow 1 |
− | ruledAt | + | ruledAt arrow 1 |
− | occurredAt | + | occurredAt arrow 1 |
− | wasBuiltBy | + | wasBuiltBy arrow 1 |
− | wasCreatedBy | + | wasCreatedBy arrow 1 |
− | exemplifies | + | exemplifies arrow 1 |
− | hasDesignation | + | hasDesignation arrow 1 |
#Node | #Node | ||
58번째 줄: | 61번째 줄: | ||
유네스코세계유산 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유네스코세계유산 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
− | + | 국보_제163호 Designation 국보_제163호 | |
− | + | 국보_제287호 Designation 국보_제287호 | |
− | + | 국보_제11호 Designation 국보_제11호 | |
#Links | #Links | ||
67번째 줄: | 70번째 줄: | ||
금강 linkedWith 익산 | 금강 linkedWith 익산 | ||
− | 공주_웅진 ruledAt | + | 공주_웅진 ruledAt 웅진시대_475_538 |
− | 무령왕 ruledAt | + | 무령왕 ruledAt 웅진시대_475_538 |
공산성 wasBuiltBy 무령왕 | 공산성 wasBuiltBy 무령왕 | ||
송산리고분군 wasBuiltBy 무령왕 | 송산리고분군 wasBuiltBy 무령왕 | ||
금제관식 wasDiscoveredAt 송산리고분군 | 금제관식 wasDiscoveredAt 송산리고분군 | ||
금제관식 isPreservedAt 국립공주박물관 | 금제관식 isPreservedAt 국립공주박물관 | ||
− | 금제관식 exemplifies | + | 금제관식 exemplifies 국보_제163호 |
공산성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공산성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
송산리고분군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송산리고분군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
국립공주박물관 hasRouteTo 금강 | 국립공주박물관 hasRouteTo 금강 | ||
− | 부여_사비 ruledAt | + | 부여_사비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
− | 성왕 ruledAt | + | 성왕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
정림사지 wasBuiltBy 성왕 | 정림사지 wasBuiltBy 성왕 | ||
관북리유적 wasBuiltBy 성왕 | 관북리유적 wasBuiltBy 성왕 | ||
백제금동대향로 wasDiscoveredAt 능산리고분군 | 백제금동대향로 wasDiscoveredAt 능산리고분군 | ||
백제금동대향로 isPreservedAt 국립부여박물관 | 백제금동대향로 isPreservedAt 국립부여박물관 | ||
− | 백제금동대향로 exemplifies | + | 백제금동대향로 exemplifies 국보_제287호 |
정림사지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정림사지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
관북리유적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관북리유적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
92번째 줄: | 95번째 줄: | ||
백제금동대향로 wasCreatedBy 성왕 | 백제금동대향로 wasCreatedBy 성왕 | ||
− | 익산 ruledAt | + | 익산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
− | 무왕 ruledAt | + | 무왕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
미륵사지 wasBuiltBy 무왕 | 미륵사지 wasBuiltBy 무왕 | ||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wasDiscoveredAt 미륵사지 |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wasDiscoveredAt 미륵사지 | ||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isPreservedAt 국립익산박물관 |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isPreservedAt 국립익산박물관 | ||
− |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exemplifies | + |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exemplifies 국보_제11호 |
미륵사지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미륵사지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
왕궁리유적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왕궁리유적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 ||
국립익산박물관 hasRouteTo 금강 | 국립익산박물관 hasRouteTo 금강 | ||
미륵사지 locatedAlong 금강 | 미륵사지 locatedAlong 금강 | ||
+ | |||
+ | #End | ||
#End | #End |
2025년 5월 15일 (목) 12:45 판
#Project 백제역사유적지구: 금강을 따라 흐르는 고대 왕도 #Class Place #FF8C00 circle Site #FFD700 hexagon Object #4169E1 box Actor #DC143C ellipse Event #8A2BE2 diamond Institution #2F4F4F rectangle Designation #00BFFF star TimePeriod #A0522D parallelogram #Relation linkedWith arrow 1 hasRouteTo arrow 1 locatedAlong arrow 1 participatedIn arrow 1 wasDiscoveredAt arrow 1 isPreservedAt arrow 1 ruledAt arrow 1 occurredAt arrow 1 wasBuiltBy arrow 1 wasCreatedBy arrow 1 exemplifies arrow 1 hasDesignation arrow 1 #Node 공주_웅진 Place 공주_웅진 부여_사비 Place 부여_사비 익산 Place 익산 금강 Place 금강 웅진시대_475_538 TimePeriod 웅진시대_475_538 사비시대_538_660 TimePeriod 사비시대_538_660 무령왕 Actor 무령왕 성왕 Actor 성왕 무왕 Actor 무왕 공산성 Site 공산성 송산리고분군 Site 송산리고분군 정림사지 Site 정림사지 관북리유적 Site 관북리유적 미륵사지 Site 미륵사지 왕궁리유적 Site 왕궁리유적 능산리고분군 Site 능산리고분군 금제관식 Object 금제관식 백제금동대향로 Object 백제금동대향로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Object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국립공주박물관 Institution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Institution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Institution 국립익산박물관 웅진천도 Event 웅진천도 사비천도 Event 사비천도 유네스코세계유산 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국보_제163호 Designation 국보_제163호 국보_제287호 Designation 국보_제287호 국보_제11호 Designation 국보_제11호 #Links 금강 linkedWith 공주_웅진 금강 linkedWith 부여_사비 금강 linkedWith 익산 공주_웅진 ruledAt 웅진시대_475_538 무령왕 ruledAt 웅진시대_475_538 공산성 wasBuiltBy 무령왕 송산리고분군 wasBuiltBy 무령왕 금제관식 wasDiscoveredAt 송산리고분군 금제관식 isPreservedAt 국립공주박물관 금제관식 exemplifies 국보_제163호 공산성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송산리고분군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국립공주박물관 hasRouteTo 금강 부여_사비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성왕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정림사지 wasBuiltBy 성왕 관북리유적 wasBuiltBy 성왕 백제금동대향로 wasDiscoveredAt 능산리고분군 백제금동대향로 isPreservedAt 국립부여박물관 백제금동대향로 exemplifies 국보_제287호 정림사지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관북리유적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능산리고분군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국립부여박물관 hasRouteTo 금강 정림사지 locatedAlong 금강 백제금동대향로 wasCreatedBy 성왕 익산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무왕 ruledAt 사비시대_538_660 미륵사지 wasBuiltBy 무왕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wasDiscoveredAt 미륵사지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isPreservedAt 국립익산박물관 미륵사지_사리장엄구 exemplifies 국보_제11호 미륵사지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왕궁리유적 hasDesignation 유네스코세계유산 국립익산박물관 hasRouteTo 금강 미륵사지 locatedAlong 금강 #End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