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역사유적지구.ls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5번째 줄: 25번째 줄:
  
 
#Node
 
#Node
공주 장소 공주_웅진
+
공주_웅진 장소 공주(웅진)
부여 장소 부여_사비
+
부여_사비 장소 부여(사비)
 
익산 장소 익산
 
익산 장소 익산
 
금강 장소 금강
 
금강 장소 금강
 
기벌포 장소 기벌포
 
기벌포 장소 기벌포
  
웅진시대 역사시기 웅진시대_475_538
+
웅진시대_475_538 역사시기 웅진시대(475-538)
사비시대 역사시기 사비시대_538_660
+
사비시대_538_660 역사시기 사비시대(538-660)
  
무령왕 역사인물 무령왕_501_523
+
무령왕_501_523 역사인물 무령왕(재위:501-523)
성왕 역사인물 성왕_523_554
+
성왕_523_554 역사인물 성왕(재위:523-554)
의자왕 역사인물 의자왕_641_660
+
의자왕_641_660 역사인물 의자왕(재위:641-660)
계백 역사인물 계백_백제장군
+
계백 역사인물 계백(백제장군)
김유신 역사인물 김유신_신라장군
+
김유신 역사인물 김유신(신라장군)
소정방 역사인물 소정방_당나라장군
+
소정방 역사인물 소정방(당나라장군)
  
공산성 역사유적 공산성_웅진왕도
+
공산성_웅진왕도 역사유적 공산성(웅진왕도)
 
무령왕릉 역사유적 무령왕릉
 
무령왕릉 역사유적 무령왕릉
관북리유적 역사유적 관북리유적_사비왕궁
+
관북리유적_사비왕궁 역사유적 관북리유적(사비왕궁)
 
정림사지 역사유적 정림사지
 
정림사지 역사유적 정림사지
 
미륵사지 역사유적 미륵사지
 
미륵사지 역사유적 미륵사지
  
무령왕릉_금제관식 출토유물 무령왕릉_금제관식
+
무령왕릉_금제관식 출토유물 무령왕릉 금제관식
백제금동대향로 출토유물 백제금동대향로
+
백제금동대향로 출토유물 백제 금동대향로
  
 
국립공주박물관 기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기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기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기관 국립부여박물관
  
웅진천도 역사사건 웅진천도_475
+
웅진천도_475 역사사건 웅진천도(475)
사비천도 역사사건 사비천도_538
+
사비천도_538 역사사건 사비천도(538)
황산벌전투 역사사건 황산벌전투_660
+
황산벌전투_660 역사사건 황산벌전투(660)
백제멸망 역사사건 백제멸망_660
+
백제멸망_660 역사사건 백제멸망(660)
  
 
삼국사기 문헌 삼국사기
 
삼국사기 문헌 삼국사기
 
일본서기 문헌 일본서기
 
일본서기 문헌 일본서기
불교문화 문화개념 백제_불교문화
+
백제_불교문화 문화개념 백제의 불교문화
건축기술 문화개념 백제_건축기술
+
백제_건축기술 문화개념 백제의 건축기술
  
백제역사유적지구 문화개념 유네스코_세계유산
+
유네스코_세계유산 문화개념 백제역사유적지구
  
 
#Links
 
#Links
71번째 줄: 71번째 줄:
 
부여_사비 사비시대_538_660 수도였다
 
부여_사비 사비시대_538_660 수도였다
  
무령왕 웅진시대_475_538 통치했다
+
무령왕_501_523 웅진시대_475_538 통치했다
무령왕 공산성_웅진왕도 건설되었다
+
무령왕_501_523 공산성_웅진왕도 건설되었다
무령왕 무령왕릉 건설되었다
+
무령왕_501_523 무령왕릉 건설되었다
무령왕 무령왕릉_금제관식 예시이다
+
무령왕_501_523 무령왕릉_금제관식 예시이다
  
성왕 사비천도_538 참여했다
+
성왕_523_554 사비천도_538 참여했다
성왕 부여_사비 통치했다
+
성왕_523_554 부여_사비 통치했다
성왕 정림사지 건설되었다
+
성왕_523_554 정림사지 건설되었다
성왕 관북리유적_사비왕궁 건설되었다
+
성왕_523_554 관북리유적_사비왕궁 건설되었다
  
의자왕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
의자왕_641_660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계백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계백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김유신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김유신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97번째 줄: 97번째 줄:
 
일본서기 백제멸망_660 언급한다
 
일본서기 백제멸망_660 언급한다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산성_웅진왕도 포함한다
+
유네스코_세계유산 공산성_웅진왕도 포함한다
백제역사유적지구 정림사지 포함한다
+
유네스코_세계유산 정림사지 포함한다
백제역사유적지구 미륵사지 포함한다
+
유네스코_세계유산 미륵사지 포함한다
  
 
#End
 
#End

2025년 5월 8일 (목) 00:51 판


#Class
역사유적 #FFD700 circle
출토유물 #4169E1 box
역사인물 #DC143C ellipse
역사사건 #8A2BE2 ellipse
장소 #FF8C00 ellipse
기관 #2F4F4F ellipse
문헌 #228B22 ellipse
문화개념 #00BFFF ellipse
역사시기 #A0522D ellipse

#Relation
연결된다
건설되었다
참여했다
발생했다
수도였다
포함한다
소장처이다
언급한다
예시이다
통치했다

#Node
공주_웅진 장소 공주(웅진)
부여_사비 장소 부여(사비)
익산 장소 익산
금강 장소 금강
기벌포 장소 기벌포

웅진시대_475_538 역사시기 웅진시대(475-538)
사비시대_538_660 역사시기 사비시대(538-660)

무령왕_501_523 역사인물 무령왕(재위:501-523)
성왕_523_554 역사인물 성왕(재위:523-554)
의자왕_641_660 역사인물 의자왕(재위:641-660)
계백 역사인물 계백(백제장군)
김유신 역사인물 김유신(신라장군)
소정방 역사인물 소정방(당나라장군)

공산성_웅진왕도 역사유적 공산성(웅진왕도)
무령왕릉 역사유적 무령왕릉
관북리유적_사비왕궁 역사유적 관북리유적(사비왕궁)
정림사지 역사유적 정림사지
미륵사지 역사유적 미륵사지

무령왕릉_금제관식 출토유물 무령왕릉 금제관식
백제금동대향로 출토유물 백제 금동대향로

국립공주박물관 기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기관 국립부여박물관

웅진천도_475 역사사건 웅진천도(475)
사비천도_538 역사사건 사비천도(538)
황산벌전투_660 역사사건 황산벌전투(660)
백제멸망_660 역사사건 백제멸망(660)

삼국사기 문헌 삼국사기
일본서기 문헌 일본서기
백제_불교문화 문화개념 백제의 불교문화
백제_건축기술 문화개념 백제의 건축기술

유네스코_세계유산 문화개념 백제역사유적지구

#Links
금강 공주_웅진 연결된다
금강 부여_사비 연결된다
공주_웅진 웅진시대_475_538 수도였다
부여_사비 사비시대_538_660 수도였다

무령왕_501_523 웅진시대_475_538 통치했다
무령왕_501_523 공산성_웅진왕도 건설되었다
무령왕_501_523 무령왕릉 건설되었다
무령왕_501_523 무령왕릉_금제관식 예시이다

성왕_523_554 사비천도_538 참여했다
성왕_523_554 부여_사비 통치했다
성왕_523_554 정림사지 건설되었다
성왕_523_554 관북리유적_사비왕궁 건설되었다

의자왕_641_660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계백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김유신 황산벌전투_660 참여했다
소정방 백제멸망_660 참여했다

무령왕릉_금제관식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이다
백제금동대향로 국립부여박물관 소장처이다

정림사지 백제_불교문화 예시이다
관북리유적_사비왕궁 백제_건축기술 예시이다

삼국사기 웅진천도_475 언급한다
삼국사기 성왕_523_554 언급한다
삼국사기 무령왕_501_523 언급한다
일본서기 백제멸망_660 언급한다

유네스코_세계유산 공산성_웅진왕도 포함한다
유네스코_세계유산 정림사지 포함한다
유네스코_세계유산 미륵사지 포함한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