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깊은 나무(드라마, 201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인물 설명) |
(→인물 설명)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등장인물'''== | =='''등장인물'''== | ||
− | + | '''채윤의 수사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파일:정별감.jpg | 파일:정별감.jpg | ||
105번째 줄: | 49번째 줄: | ||
− | + | '''정기준의 비밀조직''' | |
+ | |||
+ | |||
<gallery> | <gallery> | ||
파일:심종수.jpg | 파일:심종수.jpg | ||
124번째 줄: | 70번째 줄: | ||
− | + | '''그 외 인물''' | |
+ | |||
+ | |||
<gallery> | <gallery> | ||
파일:목야.jpg | 파일:목야.jpg |
2025년 3월 31일 (월) 22:48 판
뿌리깊은 나무 | |
![]() 뿌리깊은 나무, 나무위키. |
|
작품명(국문) | 뿌리깊은 나무 |
---|---|
작품명(영문) | Deep Rooted Tree |
제작연도 | 2011 |
국가 | 대한민국 |
채널 | SBS |
감독 | 장태유, 신경수 |
각본 | 김영현, 박상 |
방송기간 | 2011년 10월 5일 ~ 2011년 12월 22일 |
등급 | 15세 이상 시청 |
장르 | 퓨전 사극, 미스터리, 드라마 |
방송횟수 | 24부작 + 3부작(스페셜) |
기획의도
한글을 창제한 왕! 세종의 이야기다. 이 드라마는 실록에 나와있지 않는 창제의 과정과 창제를 하게 된 이유와 배경,
또한 그것을 반대한 세력의 이유와 배경들을 유추,창작하여 세종은 어떤 조선을 꿈꿨는지,
또한 그것을 이룩하는 과정에서의 세종의 고뇌와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이러저러한 이면 등을 통해 세종을 재해석 하려 한다.[1]
등장인물
채윤의 수사팀
- 정별감 : 겸사복[2]의 별감(김종국) - 태종의 사저 시절 노복으로 있었던 연으로 겸사복의 별감까지 오르게 된 인물. 현재는 양반 신분을 유지하기 위해 철저히 문제될 만한 일에 휘말리지 않으며, 철칙을 세우고 매사 신중하게 행동한다. 그러나 누군가 족보를 걸고 시비를 걸면 순식간에 광분하는 성격. 세속적이고 실리를 따지는, 전형적인 말단 공무원의 모습이다.
- 초탁 : 채윤의 친구이자, 겸사복 내 부하(김기방) - 채윤의 군 동료로 함께 북방에서 한양으로 내려왔다. 북방 시절, 치열한 전투 중 채윤에게 목숨을 구원받은 뒤로 친구이면서도 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채윤이 속마음을 털어놓는 유일한 인물로, 그가 이도를 죽이려 한다는 사실까지 알고 있다. 키는 작지만 단단하고 야무지며, 날렵한 움직임을 자랑하는 인물이다.
- 박포 : 채윤과 초탁과 함께 수사팀의 일원(신승환) - 기골이 장대하고 천하장사의 힘을 자랑하며, 궁 내에서 힘쓰는 일이라면 누구나 그를 먼저 찾는다. 항상 거친 짐승남인 척하며 어깨에 힘을 주지만, 사실은 겁이 많아 이를 들키지 않기 위해 더욱 강한 척한다. 초탁과 늘 티격태격하지만, 수사에 있어서는 환상적인 팀워크를 자랑하는 명콤비. 내금위 사정에 정통하며, 거대한 덩치와는 달리 약삭빠른 면모도 지닌 인물이다.
정기준의 비밀조직
- 심종수 : 집현전의 젊은 학사(한상진) - 장안 최고의 엄친아로, 문장과 서예, 학문은 물론 무예까지 두루 뛰어나다. 장은의 호사가들 사이에서는 조선에서 무예로는 무휼 다음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문무를 겸비한 인재이자 야망가다. 사람을 다루는 능력이 탁월하며, 강한 카리스마와 자신감 넘치는 언행으로 많은 젊은 유생들의 신망을 얻고 있지만, 그 내면에는 잔혹한 일면이 숨어 있다.
- 도담댁 : 반촌의 수장(송옥숙) - 반촌노비들에게 어머니 같은 존재다. 하지만 그녀의 정체는 밀본 비밀결사의 반촌조직의 수장으로 오래 전부터 밀본의 일원이었다. 표면적으로는 성균관[3]에 들어가는 모든 음식과 탕약을 책임지는 역할을 맡고 있다. 반촌의 노비들은 그의 인자함과 동시에 단호한 면모에 이끌려, 누구랄 것 없이 그에게 충성을 다한다.
- 윤평 : 정도광의 호위무사였던 윤서진의 아들(이수혁) - 윤서진은 끝내 정도광을 지키지 못한 죄책감 속에서 죽었으며, 임종 순간까지 아들 윤평에게 대를 이어 3대 본원을 모시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 이후 윤평은 3대 본원 정기준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치게 된다.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 윤서진의 뜻에 따라 이방지에게 무술을 사사받았으며, 정기준의 명이라면 그 어떤 임무도 망설임 없이 수행한다. 말수가 적고 어두우며 차가운 인상을 지닌 그는, 실제 성격 또한 냉혹하고 잔인하다. 뛰어난 무공의 소유자로, 신출귀몰한 움직임과 정공술이 뛰어나 순간적으로 말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누구보다 출상술에 능해, 항상 채윤의 수사망을 피해가는 인물이다.
그 외 인물
- 목야 : 한글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수행하는 궁녀(신소율) - 구희를 대대로 이어온 집안에서 자란 인물로, 팔도 사투리에 능하며 각종 소리와 창을 두루 섭렵하였다. 평소에는 매우 근엄하고 진지한 태도로 일관하며, 그 말투 하나만으로도 ‘목소리만 영의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러나 이도가 사투리를 명하는 순간, 언제 그랬냐는 듯 돌변하여 걸쭉하고 구성진 사투리를 능청스럽게 풀어낸다. 그 극명한 반전이 오히려 더욱 깊은 인상을 남긴다. 구희 명인으로 이름난 반촌의 옥떨이와는 남매지간이다.
- 이방지 : 북방시절, 채윤의 무술스승(우현) - 무술 실력을 숨기고 말직무관으로 살아가는 인물. 출상술에 있어서는 대가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조선 제일검이라 일컬어지는 무휼이 유일하게 패배를 맛본 전설적인 고수다. 무휼과는 같은 스승 아래서 수련한 사형제로, 평생을 두고 경쟁과 존경을 오가는 영원한 라이벌 관계다. 수련을 마친 뒤 무휼이 조정의 길로 나아가 입신양명을 도모했다면, 이방지는 세상의 이면에 남아 후학을 기르는 데 힘을 쏟아왔다. 채윤 역시 그의 문하에서 출상술을 익혔으며, 채윤이 떠난 뒤에는 윤평 또한 그에게서 수련을 이어받았다.
- 연두 : 반촌 주모의 딸(정다빈) - 체구는 작고 연약해 보이나, 내면에는 강단이 깃들어 있으며 밝고 생기 넘치는 성정을 지녔다. 반촌 사람들 누구도 제대로 소통하지 못했던 개파이와 유일하게 마음을 나누는 존재. 짐승과도 같던 개파이조차 연두 앞에서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돌변한다. 연두가 그의 귀에 대고 조용히 말을 건네면, 개파이는 마치 모든 말을 이해한 듯 순순히 따르니, 두 사람 사이에는 말 이상의 교감이 오가는 듯하다.
- 옥떨이 : 입으로 모든 소리를 다 내는 능력의 소유자(정종철) - 온갖 동물과 사물의 소리는 물론, 사람의 목소리와 말투까지 정확히 흉내 내는 재주를 지녔다. 그 능력은 실로 뛰어나, 당사자가 직접 나타나지 않아도 그의 목소리만으로 마치 그 자리에 함께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때로는 그 흉내 하나로 상황을 뒤흔들 만큼, 말의 무게와 존재감을 자유자재로 조율할 수 있는 인물이다.
인물 관계도
동영상
수상이력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
2011 | SBS 연기대상 | 대상 | 한석규 |
2011 | SBS 연기대상 | 작품상 | 뿌리깊은 나무 |
2011 | SBS 연기대상 | 프로듀서상 | 송중기 |
2011 | SBS 연기대상 | 드라마 스페셜 조연상 | 송옥숙 |
2011 | SBS 연기대상 | 10대 스타상 | 한석규, 장혁 |
2012 | 한국방송대상 | 대상 | 뿌리깊은 나무 |
2012 | 한국방송대상 | 중단편드라마T | 뿌리깊은 나무 |
2012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프로그램 우수상 | 뿌리깊은 나무 |
2012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대상 | 뿌리깊은 나무 |
2012 | 한국PD대상 | TV드라마 작품상 | 뿌리깊은 나무 |
2012 | 백상예술대상 | 대상 | 뿌리깊은 나무 |
2012 | 백상예술대상 | 극본상 | 김영현, 박상연 |
2012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연출상 | 장태유 |
촬영지 정보
역사적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