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1592(드라마, 201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잔글 |
잔글 |
||
97번째 줄: | 97번째 줄: | ||
===사용 무기=== | ===사용 무기=== | ||
* '''조선''' | * '''조선''' | ||
− | ** 거북선 - 임진왜란 당시 수전에서 활약한 거북 모양의 전투선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833 거북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833 거북선]''' - 임진왜란 당시 수전에서 활약한 거북 모양의 전투선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1833 거북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 판옥선 |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9680 판옥선]- 조선시대 명종 때 개발한 것으로, 널빤지로 지붕을 덮은 전투선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9680 판옥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3403 현자총통] - 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유통식(有筒式) 화포(火砲)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3403 현자총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 지자총통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4339 지자총통] - 1557년(명종 12) 제조된 우리나라 고유의 대포(大砲)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4339 지자총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 비격진천뢰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079 비격진천뢰] - 조선 선조 때 이장손(李長孫)이 만든 포탄(砲彈)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079 비격진천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 화차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882 화차] - 조선시대 때 수레 위에 총을 수십개 장치하여 이동이 손쉽고, 한번에 여러 개의 총을 쏠 수 있게 한 무기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882 화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일본''' | * '''일본''' |
2025년 3월 29일 (토) 17:04 판
임진왜란 1592 | |
작품명(국문) | 임진왜란 1592 |
---|---|
작품명(영문) | Imjin War 1592 |
제작연도 | 2016년 |
국가 | 대한민국 |
채널 | KBS 1TV |
방송기간 | 2016년 9월 3일 ~ 2016년 9월 23일 |
장르 | 시사교양, 사극 |
방송횟수 | 5부작 |
목차
[숨기기]기획 의도
임진왜란 당시 상황을 드라마로 재구성한 국내 최초의 팩추얼 드라마[1]
등장인물
- 조선
- 명나라
- 만력제(장과연) - 명나라의 제 13대 황제
- 진린(조항훤) - 명나라의 장수
- 등자룡(황검봉) - 진린의 부하
- 일본
- 도요토미 히데요시(김응수) - 일본 전국 시대의 마지막 최고 권력자이자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
- 와키자카 야스하루(타케다 히로미츠) - 임진왜란 당시 수군을 담당했던 무장
- 가토 기요마사(이우승) -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선봉대장
- 고니시 유키나가(박동하) - 전쟁을 반대하였으나 결국 참전하게 된 일본의 무장
임진왜란 관련 자료
주요 인물 사진 자료
드라마 영상 자료
수상 이력
- 2016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9월의 좋은 프로그램상
- 2016년 제29회 그리메상
- 백홍종, 진아영 - 우수작품상
- 김한솔 - 연출상
- 김응수 - 남자 최우수 연기자상
- 2017년 제 44회 한국방송대상 작품상
촬영지 정보
- 수원 KBS 드라마센터 야외 운동장 - 관련 기사
역사적 정보
임진왜란
연표
시간정보 | 내용 |
---|---|
1592년 4월 | 임진왜란 발발. |
1592년 5월 | 선조 평향으로 피신. |
1592년 7월 | 이순신 장군 한산도 대첩 승리. |
1593년 1월 | 독성산성 전투 발발. |
1593년 7월 | 이순신 장군 삼도 수군 통제사로 임명. |
1593년 10월 | 선조 환궁. |
1597년 1월 | 정유재란 발발, 이순신 하옥. |
1597년 7월 | 이순신 장군 삼도 수군 통제사 지위 복귀. |
1597년 10월 | 명량해전 승리. |
1598년 9월 |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
1598년 11월 | 노량해전 중 이순신 장군 전사, 왜군 철수. |
사용 무기
- 조선
- 일본
- 일본도
- 가마야리
- 나이카마
- 아타케부네
- 세키부네
- 고바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