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선교기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선교기지) |
(→Story)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Story== | ==Story== | ||
+ | <div align="justify"> | ||
===광주선교기지=== | ===광주선교기지=== | ||
− |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은 식민지 근대가 도래하기 전 개신교 선교사들의 계몽적 근대가 먼저 당도한 지역이다. 미국 남장로회 소속 선교사들은 광주 선교를 위해 양림동의 땅을 사들였다. 중심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데다, 땅값이 쌌기 때문이다. 선교사들은 교회와 사택을 짓고, 학교와 병원을 세우면서 양림동에 ‘서양촌’을 형성해 나갔다. 일제강점기 들어 광주 중심부는 조선총독부의 계획 아래 근대 도시가 되었으나, 양림동은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광주 제중원 등 종교와 교육과 의료를 통해 근대를 접하게 되었다.<br>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은 식민지 근대가 도래하기 전 개신교 선교사들의 계몽적 근대가 먼저 당도한 지역이다. 미국 남장로회 소속 선교사들은 광주 선교를 위해 양림동의 땅을 사들였다. 중심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데다, 땅값이 쌌기 때문이다. 선교사들은 교회와 사택을 짓고, 학교와 병원을 세우면서 양림동에 ‘서양촌’을 형성해 나갔다. 일제강점기 들어 광주 중심부는 조선총독부의 계획 아래 근대 도시가 되었으나, 양림동은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광주 제중원 등 종교와 교육과 의료를 통해 근대를 접하게 되었다.<br> | ||
유진 벨(Eugene Bell, 한국이름 배유지), 클레멘트 오웬(Clement Owen, 한국이름 오기원) 등 선교사들은 교회와 사택을 짓고, 교육과 의료 사업에 착수했다. 선교사들은 1904년부터 10여 년 동안 오늘날의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일대에 10여 곳의 건물을 세웠다. 선교사들이 지었던 사택 가운데 유진 벨 선교사 등의 사택은 한국전쟁 시기에 불탔고, 윌슨(Robert M. Willson, 한국이름 우일선)<ref>[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B2%84%ED%8A%B8_M._%EC%9C%8C%EC%8A%A8 우일선], 위키백과</ref> 선교사의 사택이 양림산에 남아 있다.<br> | 유진 벨(Eugene Bell, 한국이름 배유지), 클레멘트 오웬(Clement Owen, 한국이름 오기원) 등 선교사들은 교회와 사택을 짓고, 교육과 의료 사업에 착수했다. 선교사들은 1904년부터 10여 년 동안 오늘날의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일대에 10여 곳의 건물을 세웠다. 선교사들이 지었던 사택 가운데 유진 벨 선교사 등의 사택은 한국전쟁 시기에 불탔고, 윌슨(Robert M. Willson, 한국이름 우일선)<ref>[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B2%84%ED%8A%B8_M._%EC%9C%8C%EC%8A%A8 우일선], 위키백과</ref> 선교사의 사택이 양림산에 남아 있다.<br>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광주 제중원=== | ===광주 제중원=== | ||
+ | |||
+ | |||
+ | </div>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2023년 5월 10일 (수) 21:38 판
목차
[숨기기]Story
광주선교기지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은 식민지 근대가 도래하기 전 개신교 선교사들의 계몽적 근대가 먼저 당도한 지역이다. 미국 남장로회 소속 선교사들은 광주 선교를 위해 양림동의 땅을 사들였다. 중심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데다, 땅값이 쌌기 때문이다. 선교사들은 교회와 사택을 짓고, 학교와 병원을 세우면서 양림동에 ‘서양촌’을 형성해 나갔다. 일제강점기 들어 광주 중심부는 조선총독부의 계획 아래 근대 도시가 되었으나, 양림동은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광주 제중원 등 종교와 교육과 의료를 통해 근대를 접하게 되었다.
유진 벨(Eugene Bell, 한국이름 배유지), 클레멘트 오웬(Clement Owen, 한국이름 오기원) 등 선교사들은 교회와 사택을 짓고, 교육과 의료 사업에 착수했다. 선교사들은 1904년부터 10여 년 동안 오늘날의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일대에 10여 곳의 건물을 세웠다. 선교사들이 지었던 사택 가운데 유진 벨 선교사 등의 사택은 한국전쟁 시기에 불탔고, 윌슨(Robert M. Willson, 한국이름 우일선)[1] 선교사의 사택이 양림산에 남아 있다.
우일선선교사사택
우일선선교사사택의 정확한 건축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905~1911년 사이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1921년 증축되었다. 선교사들이 자신들 고향에서 가져다 심은 이국적인 고목들 속에 2층으로 지어진 건물이며 입구 현관이 인상적이다. 고급 사교장의 역할을 하기도 했고, 한국전쟁 시기에는 고아원으로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광주에 현존하는 양식 주택으로서는 가장 오래된 건물로 양림산 기슭에 동향으로 세워진 고색창연한 2층 벽돌 건물이다. 평면은 정방형으로 1층은 거실, 가족실, 다용도실, 부엌, 욕실로 구성되어 있고, 2층은 사생활공간으로서 침실이 배치되었다. 지하층에는 보일러실이 있다. 한국의 전통건축과는 달리 현관이 남향에 위치하지 않고 동향으로 된 것이 특이하다.
이 건물은 근대에 들어서면서 서구 열강들이 그들의 주거문화를 한국에 소개해 주는 귀중한 근대건축사적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우일선
로버트 M. 윌슨(Robert M. Wilson, 1880-1963)은 미국 남장로교 소속의 의료선교사로, 한국명은 우일선(禹一善) 또는 우월손(禹越孫)이다. 미국 아칸사스주 콜럼버스에서 태어나서 1907년 한국부임을 통보받고 뉴욕 화이트 성경학교에서 6개월간 연수과정을 마친 후 1908년 1월 광주로 파견되었다.
광주제중병원(현 광주기독병원) 2대 원장으로 지내며, 1911년 최흥종의 기부로 한국 최초의 한센병 환자를 위한 광주나병원을 광주시 봉선리에 설립하였다. 1926년 조선총독부로 부터 수용소 이전 허가를 받아1927년 여수 신풍리에 애양원을 설립하고 이전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 미 군정청은 그를 소록도, 애양원 등 한센인 시설을 총괄하는 군정 자문관에 임명하였고, 그의 아들 존 윌슨도 아버지의 사역을 이어 한국 땅에서 젊음을 불살랐다. 1948년 귀국 후 미국에서 신학 공부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1963년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서 83세를 일기로 영면하였다.
광주 제중원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근대문화 역사유산 | 양림동역사문화마을 | 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4548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우일선선교사사택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074 | |
해설 | 위키 | 로버트 M. 윌슨 | https://ko.wikipedia.org/wiki/로버트_M._윌슨 | |
참고 | 평양대부흥 | 내한선교사 Willson Robert Manton | http://www.1907revival.com/bbs/view.html?idxno=2826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광주기독병원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234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RISS:A106397882 | 논문 | 이영식, 초기 광주선교부 활동이 사회변혁 및 근대문화에 끼친 영향, 성경과 신학 91호 (2019) | RISS | http://www.riss.kr.openlink.aks.ac.kr:8080/link?id=A106397882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