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포(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67번째 줄: 67번째 줄:
 
====외부링크(참고사이트)====
 
====외부링크(참고사이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356&cid=49266&categoryId=49266 고려시대 복식의 개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356&cid=49266&categoryId=49266 고려시대 복식의 개요]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40758&cid=51636&categoryId=51636 한복의 역사(백제, 통일신라, 고려, 발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40758&cid=51636&categoryId=51636 한복의 역사(백제, 통일신라, 고려, 발해)]
  

2020년 12월 2일 (수) 14:32 판

질손
(質孫)
대표명칭 질손
한자표기 質孫
이칭별칭 고려양
착용신분 왕, 훈척, 대신, 근시, 악공, 위사
착용성별 남성





개요

고려시대 남자포류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내용

고려시대

고려는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고 세운 나라이다. 474년간 한반도를 지배했다. 고려청자와 팔만대장경 등 많은 문화재를 남겼으며, 활발한 무역 활동으로 고려라는 이름을 세계에 알리기도 했다. 후기에는 몽골의 침입과 간섭을 받다가 1392년에 이성계에 의해 멸망했다. [1]


고려의영토변화

"History of Goryeo (892~1392)", YOUTUBE, 작성일:2020년 1월 20일.

고려시대 왕

민족을 재통일하고 중세의 사회질서를 수립한 고려 왕조의 계보. 고려는 태조 왕건으로부터 공양왕까지 34대 왕을 거치면서 475년간 존속했다. [2]

1대 태조 918∼9432대 혜종 943-9453대 정종 945-9494대 광종 949-9755대 경종 975-9816대 성종 981-9977대 목종 997-10098대 현종 1009-10319대 덕종 1031-103410대 정종 1034-104611대 문종 1046-108312대 순종 1083-108313대 선종 1083-109414대 헌종 1094-109515대 숙종 1095-110516대 예종 1105-112217대 인종 1122-114618대 의종 1146-117019대 명종 1170-119720대 신종 1197-120421대 희종 1204-121122대 강종 1211-121323대 고종 1213-125924대 원종 1259-127425대 충렬왕 1274-1298, 1298-130826대 충선왕 1298-1298, 1308-131327대 충숙왕 1313-1330, 1332-1339 28대 충혜왕 1330-1332, 1339-134429대 충목왕 1344-134830대 충정왕 1349-135131대 공민왕 1351-137432대 우왕 1374-138833대 창왕 1388-138934대 공양왕 1389-1392


고려시대 남자 포류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고려 초·중기에 관모는 복두를 쓰고 속대(束帶)를 띠었다고 하였는데 이는 송나라 제도와는 다르다. 『고려사』 「여복지(輿服志)」에 의하면 국초에는 자황포(柘黃袍)를 착용하였으며, 그 후 의종대에는 때에 따라 자황포(赭黃袍)와 치황의(梔黃衣)를 입었다. 충렬왕 때에는 복색이 중국과 같다고 하여 지황(芝黃)으로 자황(赭黃)을 대신하였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황포를 사용하였다. 한편, 원 간섭기에는 원나라의 ‘질손(質孫)’을 왕의 조복으로도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3]

고려시대 남자포류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나타난 고려시대 관복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은 1123년(인종 원)에 송(宋)의 국신사(國信使) 일행으로 고려에 온 서긍(徐兢)이 저술한 기록이다. 서긍은 한 달 남짓 고려에 머물면서 사신으로 공식적인 일정을 수행하였고 그 사이에 5~6차례의 외유를 다녀올 수 있었다. 서긍은 3개월간의 고려 방문 왕복 일정을 상세히 기록하였고 한 달 남짓의 고려 체류 기간 동안에 보고 들은 고려의 역사, 정치, 경제, 종교, 문화 등 각 방면의 정보를 글과 그림으로 세세히 서술하였다. 선화봉사고려도경은 고려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송나라 사신이 기록한 보고서로,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 한정된 고려시대의 기록을 보완해주는 매우 귀중한 사료이다. [4]

관복(冠服), 왕의 복식[王服], 영관의 복식[令官服, 재상의 복식[國相服], 근시의 복식[近侍服], 종관의 복식[從官服], 경과 감의 복식[卿監服], 조관의 복식[朝官服], 서관의 복식[庶官服]


외부링크(참고사이트)

고려시대 복식의 개요

한복의 역사(백제, 통일신라, 고려, 발해)


관련항목

조선시대 포(袍)



참고문헌

  1. [네이버 지식백과] 시대 (연표로 보는 한국사사전, 2015. 2. 10., 김한종, 이성호, 문여경, 송인영, 이희근, 최혜경, 박승범, 이승수)
  2. 국사편찬위원회, [국사], 교육과학기술부, 2011; 김아네스ㆍ최선혜 지음, [고교생이 알아야 할 한국사 스페셜] 1, 신원문화사, 2009.
  3. 국사편찬위원회. 필자 김문자. (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P1.
  4. [http://db.history.go.kr/introduction/intro_cnkd.html#topju1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