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답사)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문화유산에 대한 학술적 탐구를 기반으로 문화적 활용가치가 있는 지식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법을 교육함을 이 강좌의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고고학 분야의 학술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토대 위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편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 * 문화유산에 대한 학술적 탐구를 기반으로 문화적 활용가치가 있는 지식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법을 교육함을 이 강좌의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고고학 분야의 학술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토대 위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편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 ||
| − | ==참여교수==  | + | ===참여교수===  | 
* [[김현|김현(인문정보학)]], [[오강원|오강원(한국사학)]]  | * [[김현|김현(인문정보학)]], [[오강원|오강원(한국사학)]]  | ||
| − | ==수강생==  | + | ===수강생===  | 
* [[김사현|김사현(인문정보학)]]  | * [[김사현|김사현(인문정보학)]]  | ||
* [[김현종|김현종(인문정보학)]]  | * [[김현종|김현종(인문정보학)]]  | ||
2016년 6월 6일 (월) 14:32 판
목차
강의개요
- 한국문화의 정수를 전하는 문화유적의 문화유산 자료를 디지털 문화콘텐츠로 가공하는 역량을 배양한다.
 - 문화유산에 대한 학술적 탐구를 기반으로 문화적 활용가치가 있는 지식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법을 교육함을 이 강좌의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고고학 분야의 학술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토대 위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편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여교수
수강생
- 김사현(인문정보학)
 - 김현종(인문정보학)
 - 장선옥(서울기독대학교)
 - 김미정(인문정보학)
 - 장원석(인문정보학)
 - 김지선(인문정보학)
 - 김누리(인문정보학)
 - 강원규(민속학)
 - 이제현(한국사학)
 - 신은혜(민속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