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問天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心問天答은 크게 心門편과 天答편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정도전의 마음이 하늘에게 물어보고, 하늘이 답하는 내용이다. ----- =心文= ::此...)
 
1번째 줄: 1번째 줄:
心問天答은 크게 心門편과 天答편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정도전의 마음이 하늘에게 물어보고, 하늘이 답하는 내용이다.
+
心問天答 1375년 정도전이 나주로 귀향갔을때 쓴 글이다. 글 구성은 크게 心門편과 天答편으로 나눠서, 정도전의 마음이 하늘에게 물어보고 하늘이 답하는 내용이다.
 
-----
 
-----
 
=心文=
 
=心文=

2019년 4월 21일 (일) 13:47 판

心問天答 1375년 정도전이 나주로 귀향갔을때 쓴 글이다. 글 구성은 크게 心門편과 天答편으로 나눠서, 정도전의 마음이 하늘에게 물어보고 하늘이 답하는 내용이다.


心文

此篇, 述心問天之辭. 人心之理, 卽上帝之所命, 而其義理之公, 或爲物欲所勝, 而其善惡之報, 亦有顚倒, 善或得禍, 而惡乃得福. 福善禍淫之理, 有所不明, 故世之人, 不知從善而去惡, 唯務趨於功利而已. 此人之所以不能無惑於天者也, 故托於心之主宰, 以問上帝而質之也.
이 편은, 마음이 하늘에 질문하는 말을 서술한 것이다. 사람 마음의 이치[理]는 상제가 명한 것이나 그 의리의 공변됨이 간혹 물욕에 굴복되어 선악에 대한 보응에 또한 어긋남이 있게 되어서 선한 자가 어떤 때엔 재앙을 얻기도 하고, 악한 자는 도리어 복을 얻기도 한다. [이렇게] 선[을 행한 자]에게 복을 주고 악[을 행한 자]에게 재앙을 주는 이치가 분명치 못한 바가 있기에, 세상 사람들은 선을 좇고 악을 없앨 줄을 모른 채 오직 공리(功利)만을 힘써 취할 뿐이다. 이에 사람은 하늘에게 의혹이 없을 수가 없어서 마음의 주재함에 의탁하여 상제에게 따져 묻게 된 것이다.[1]


乙卯季冬, 幾望之夕, 天淨月明, 群動就息.
을묘년(우왕 원년, 1375) 늦겨울 14일 저녁에 하늘은 맑고 달은 밝으니 뭇 움직임이 그친다.


季冬, 涸陰沍寒之極, 而春陽欲生之時. 幾望, 月光漸滿, 而其明復圓之日, 以譬人欲昏蔽之中, 而天理之復萌也. 天淨月明, 群動就息, 以譬人欲淨盡, 天理流行, 方寸之間, 瑩徹光明, 而外物不能以動其中.
‘늦겨울’은 혹독한 추위가 극심하나, 봄볕이 생하려는 때이다. ‘14일’은 달빛이 점점 차올라서 그 다음 날 다시 둥글게 되는 날이니, 인욕이 어둡게 가린 가운데 천리가 다시 싹트는 것을 비유하였다. ‘하늘은 맑고 달은 밝으니 뭇 움직임이 그친다’는 것은 인욕이 깨끗하게 사라지고 천리가 유행하여 마음속이 투명하고 밝으므로 외물이 그 마음을 동요할 수 없음을 비유하였다. [2]


若有一物, 朝于上淸, 立于玉帝之庭, 稱臣而告曰, 臣受帝命, 爲人之靈.
한 물건이 상청(上淸) ‘상청(上淸)’은 도교의 용어로, 인간이 바랄 수 있는 도교 최고의 이상향인 삼청(옥청(玉淸)·상청(上淸)·태청(太淸)) 중 하나이다. ‘삼청(三淸)’에 조회하고자 옥황상제의 뜰에 서서 [자신을] 신(臣)이라고 칭하며 고하기를, “신은 상제의 명을 받아서 사람에게 신령스러운 [물건이] 되었습니다”라고 하였다.


一物, 指心而言, 上淸, 上帝之所居也. 玉帝, 卽上帝, 貴而重之之稱也. 稱臣者, 心之自稱也. 臣受帝命, 爲人之靈者, 心自言其受上帝所命之理, 以爲人之主宰, 而最靈於萬物也. 此章, 設言吾心主宰之靈, 朝見上帝之庭, 稱臣而問之也. 然其曰朝者, 豈別有一物爲帝, 而又有一物朝之者哉? 方寸之間, 私欲淨盡, 則吾心之理, 卽在天之理, 在天之理, 卽吾心之理, 脗合而無間者也, 其曰朝者, 設言以明之也.
‘한 물건’이란 마음을 가리켜 말한 것이고, ‘상청’이란 상제가 거처하는 곳이다. ‘옥제’란 곧 상제로서, 귀중하게 받드는 칭호이다. ‘신(臣)이라고 칭하’는 것은 마음이 스스로를 일컫는 것이다. ‘신은 상제의 명을 받아 사람에게 신령스러운 [물건이] 되었습니다’라는 것은 마음이 상제가 명한 리(理)를 받아 사람의 주재가 되어 만물 가운데 가장 신령함을 스스로 말한 것이다. 이 장은 내 마음의 주재하는 신령함이 상제의 뜰에 조회하여 [자신을] 신(臣)이라 칭하면서 질문하는 것을 가설하였다. 그러나 ‘조회한다[朝]’고 말했다고 해서 어찌 별도의 한 물건이 있어 상제가 되고, 또 다른 한 물건이 있어 [상제에게] 조회를 한 것이겠는가? 마음속에 사욕이 깨끗하게 없어지면 내 마음의 이치가 곧 하늘에 있는 이치이고, 하늘에 있는 이치가 곧 내 마음의 이치로서 [이 두 가지는] 꼭 같아서 차이가 없으니 ‘조회한다’고 말한 것은 가설하여 [마음의 신령함을] 밝힌 것이다.[3]


人有耳目, 欲色欲聲, 動靜語默, 手執足行, 凡所以爲臣之病者, 日與臣爭.
사람은 이목(耳目)을 갖기에 빛을 보고자 하고 소리를 듣고자 하며, 움직이기도 고요하기도 하며 말하기도 침묵하기도 하고, 손으로 잡거나 발로 걷기도 하니, [이] 모든 것은 신(臣)의 병통이 되는 것들로서 날마다 신과 싸우는 것들입니다.


此章, 言物欲害吾心之天理也. 蓋凡有聲色貌相而盈於天地之間者, 皆物也, 日與人之身相接. 而人之有目, 莫不欲色, 有耳莫不欲聲, 至於四肢百骸, 莫不欲安佚. 故天理雖根於吾心固有之天, 而其端甚微, 人欲雖生於物我相形之後, 而其發難制, 是其日用云爲, 順理爲難而從欲爲易. 書曰, 人心惟危, 道心惟微, 此之謂也. 且人之此身, 不能一日離物而獨立, 小有不謹則凡外物之害此心者, 投間抵隙, 攻之甚衆矣, 此天理之所以病也
이 장에선 물욕이 내 마음의 천리를 해치는 것을 말하였다. 대개 소리, 빛, 모양은 천지 사이를 가득채우니 모두 ‘외물’로서, 날마다 사람의 몸과 서로 맞닿는다. 사람은 눈이 있어, 빛을 보고자 하지 않음이 없고, 귀가 있어 소리를 듣고자 하지 않음이 없으며 사지(四肢)와 백해(百骸)에 이르러서도 안일하고자 하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천리가 비록 내 마음의 고유한 천[성]에 뿌리내리고 있으나 그 실마리는 매우 은미하고, 인욕은 비록 외물과 내가 서로 접촉한 후에야 생기는 것이지만 [인욕의] 발함은 제어하기가 어려우니, 이 때문에 일상에서 말하고 행위함에 있어 천리를 따르기는 어려우나 인욕을 좇기는 쉬운 것이다. [그래서] 󰡔서경󰡕에서는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다”고 하였으니 이를 이른다. 또 사람의 이 몸은 하루라도 외물을 떠나 홀로 살 수 없으니 조금이라도 삼가지 않으면 외물이 이 마음을 해쳐 [마음의] 틈새를 타고서 매우 심하게 [마음을] 공격하므로 이 때문에 천리가 병들게 되는 것이다.[4]

天答

주석

  1. 「心問」편은 ‘선한 자가 복을 받고, 악한 자가 벌을 받는’ 원리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아서 사람들이 공리(功利)만 취하게 되자, 사람이 하늘에게 왜 선악보응(善惡報應)의 이치가 준행되지 않는지에 대해 질문하고자 하는 것을 마음과 상제가 문답하는 상황에 의탁하여 표현한 글이다.
  2. 권근은 본 문단(1)에서, 봄볕이 들기 직전의 가장 추운 때와 가장 환한 빛을 발하는 보름달이 뜨기 직전의 날(14일)에 모든 움직임이 잦아든다는 표현을, 마치 인욕 가운데 천리가 싹트기 시작하여 마음속에서 유행하게 되면 외물에 의해 마음이 동요하지 않게 되는 상태를 비유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3. 권근은 본 문단(2)의 ‘한 물건[一物]’과 ‘신(臣)’은 마음을 의인화한 것이라 풀이하였고, ‘신이 상제의 명을 받아 가장 신령스러운 존재가 되었다’는 것은 인간의 마음[臣]이 하늘[上帝]로부터 리(理)-곧 하늘의 이치[天理]와 동일한 리-를 품부받았기에 만물 가운데 가장 신령하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4. 권근은 인간의 마음[臣]이 비록 하늘[上帝]로부터 [천]리를 부여받았기에 만물 가운데 가장 신령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육체를 지닌 한, 인간의 신령한 마음은 이목(耳目)에 따른 감각적 욕구 및 신체적 행동[語默動靜]과 늘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으므로 현실적으로 천리를 발현하기가 어려움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본 문단(3)을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