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오두어화(鼇頭漁火)"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248. 오두어화(鰲頭漁火) 碧鰲頭上白鷗翩오두리 푸른 하늘에 백구가 날아오르고, 漁火如星海色鮮고기잡이불 별처럼 빛나니 바다색이 선명...)  |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認是權公開別墅권율 장군 세운 별장 있음을 알게 하니,  | 認是權公開別墅권율 장군 세운 별장 있음을 알게 하니,  | ||
疎松晩翠舊堂前만취당 앞에는 큰 소나무가 서있네.  | 疎松晩翠舊堂前만취당 앞에는 큰 소나무가 서있네.  | ||
| − | ○ 도원수 권율(權慄)530)의 별장이 오두정(鰲頭亭)에 있었는데 그  | + | ○ 도원수 권율(權慄)530)의 별장이 오두정(鰲頭亭)에 있었는데 그 당의 이름을 만취당(晩翠堂)이라고 하였다.  | 
| − | 당의 이름을 만취당(晩翠堂)이라고 하였다.  | + | |
○ 오두의 고기잡이불도 강화부 10경(景)의 하나이다.  | ○ 오두의 고기잡이불도 강화부 10경(景)의 하나이다.  | ||
위로 합격하였다.  | 위로 합격하였다.  | ||
| − | 529) 고득종(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자부(  | + | 529) 고득종(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자부(子傅), 호는 영곡(靈谷). 1413년 효행으로 천거받아 관직에 나간 후 예조참  | 
| − | + | 의 동지중추원사·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했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
| − | 의 동지중추원사·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했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 + | 530) 권율(1537∼1599) 조선 중기의 문신·명장. 본관은 안동.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晚翠堂)·모악(暮嶽).  | 
| − |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 | ==인물==  | 
| − | 530) 권율(1537∼1599) 조선 중기의 문신·명장. 본관은 안동. 자는 언신(彦愼),  | + | |
| − | 호는 만취당(晚翠堂)·모악(暮嶽).  | + | ==참고==  | 
2019년 4월 16일 (화) 08:31 판
248. 오두어화(鰲頭漁火) 碧鰲頭上白鷗翩오두리 푸른 하늘에 백구가 날아오르고, 漁火如星海色鮮고기잡이불 별처럼 빛나니 바다색이 선명하네. 認是權公開別墅권율 장군 세운 별장 있음을 알게 하니, 疎松晩翠舊堂前만취당 앞에는 큰 소나무가 서있네. ○ 도원수 권율(權慄)530)의 별장이 오두정(鰲頭亭)에 있었는데 그 당의 이름을 만취당(晩翠堂)이라고 하였다. ○ 오두의 고기잡이불도 강화부 10경(景)의 하나이다. 위로 합격하였다. 529) 고득종(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자부(子傅), 호는 영곡(靈谷). 1413년 효행으로 천거받아 관직에 나간 후 예조참 의 동지중추원사·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했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530) 권율(1537∼1599) 조선 중기의 문신·명장. 본관은 안동.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晚翠堂)·모악(暮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