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역사문화 주제 탐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 ||
| − | + | ===주요 노드=== | |
* 사찰 : 백련사, 청련사 및 원통암, 적석사 | * 사찰 : 백련사, 청련사 및 원통암, 적석사 | ||
* 지형 : 고려산 | * 지형 : 고려산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 ===전설에 대한 기록=== | |
*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었던 것은 1696년 『강도지』에 처음 언급됨 | *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었던 것은 1696년 『강도지』에 처음 언급됨 | ||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416년'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됨 | * '416년'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됨 | ||
| − | + | ===노드 리스트===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No. || Class || Node | ! No. || Class || Node | ||
| 210번째 줄: | 210번째 줄: | ||
|} | |} | ||
| + | ===관계 리스트=== | ||
'''백련사 안내판 동사''' | '''백련사 안내판 동사''' | ||
| 239번째 줄: | 240번째 줄: | ||
#보여주다 | #보여주다 | ||
#지정되다 | #지정되다 | ||
| − | |||
'''적석사 안내판 동사''' | '''적석사 안내판 동사''' | ||
2019년 4월 9일 (화) 12:09 판
린지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주요 노드
- 사찰 : 백련사, 청련사 및 원통암, 적석사
- 지형 : 고려산
- 전설 : 오련사 전설
- 기록 : 적석사 사적비, 강도지, 강화부지
- 사건 : 몽골 침략, 병자호란, 병인양요
- 인물 : 천축조사
전설에 대한 기록
-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었던 것은 1696년 『강도지』에 처음 언급됨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1783 『강화부지』 : 홍련(紅蓮) --> 적련(赤蓮)
- 1932 『숙수증보강도지』 : 벽련(碧蓮) --> 흑련(黑蓮), 자련(紫蓮) --> 황련(黃蓮)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전설은 1783년 『강화부지』에 처음 언급됨;
- '오색의 연꽃'
- "이곳에 붉은 연꽃이 떨어지면 그이름을 적련사라 하였고, 흰 연꽃이면 또한 백련사라 하였다 한다. 그리하여 국정사의 동쪽에는 청련사의 터가 있는데..."
- '416년'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됨
노드 리스트
| No. | Class | Node |
|---|---|---|
| 1 | 사찰 | 백련사 |
| 2 | 사찰 | 청련사(국정 아랫절) |
| 3 | 사찰 | 적석사(적련사) |
| 4 | 사찰 | 황련사 |
| 5 | 사찰 | 흑련사 |
| 6 | 사찰 | 원통암(국정 윗절) |
| 7 | 지형 | 고려산(오련산) |
| 8 | 지형 | 오련지 |
| 9 | 시대 | 고려 |
| 10 | 시간 | 고구려 장수왕 4년 병진년(416) |
| 11 | 인물 | 장수왕 |
| 12 | 인물 | 천축조사 |
| 13 | 개념 | 오방색 |
| 14 | 식물, 개념 | 연꽃 |
| 15 | 시간 | 조선 순조 20년(1821) |
| 16 | 인물 | 포겸 스님 |
| 17 | 건축물 | 청련사 큰 법당 |
| 18 | 시간 | 1979 |
| 19 | 문화유산 |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787호) |
| 20 | 시간 | 13세기 고려 |
| 21 | 묘사 | 13세기 고려 불상의 조형적, 양식적 특성 |
| 22 | 사건 | 몽골의 침략 |
| 23 | 시간 | 1232~1270 사이 |
| 24 | 묘사 | 고려 불교미술이 추구했던 우아하고 세련된 아름다움 |
| 25 | 묘사 | 완성도 높은 |
| 26 | 시간 | 2012 |
| 27 | 문화유산, 식물 | (청련사) 보호수 4-9-11 느티나무 |
| 28 | 시간 | 조선 순조 6년 병인년(1806) 3월 |
| 29 | 인물 | 처활대사 |
| 30 | 문화유산 | 처활대사의 사리비 |
| 31 | 문화유산 | 처활대사의 부도탑 |
| 32 | 시간 | 조선 고종 광무9년 을미년(1905) 봄 |
| 33 | 인물 | 인암화상 |
| 34 | 건축물 | 백련사 본 가람 |
| 35 | 시간 | 1967 장미년 본 |
| 36 | 인물 | 비구니 한성탐 |
| 37 | 건축물 | 백련사 극락전 |
| 38 | 건축물 | 백련사 삼성각 |
| 39 | 시간 | 1983 |
| 40 | 사건 | 도로 불사 |
| 41 | 시간 | 1986 |
| 42 | 문화유산 | 백련사 범종 |
| 43 | 문화유산 | (백련사) 철불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5호) |
| 44 | 시간 | 1989 |
| 45 | 시간 | 2006~2007 |
| 46 | 개념 | 기록 |
| 47 | 문화유산, 기록 | 팔만대장경 |
| 48 | 기록 | 강화부지(1783, 김노진) |
| 49 | 기록 | 전등사본말사지(1942, 안진호) |
| 50 | 기록 | 강도지(1696, 이형상) |
| 51 | 묘사 | 고려산 서쪽 낙조봉 아래 |
| 52 | 건축물, 지형 | 적석사 우물 |
| 53 | 묘사 | 맑고 깨끗하고 차고 달다 |
| 54 | 묘사 | 나라에 재난이 다가오면 물이 마르거나 탁해져 마실 수 없다 |
| 55 | 묘사 | 명승고적으로 유명한 곳 |
| 56 | 묘사 | 일물의 경관이 빼어나 |
| 57 | 장소 | 적석사 낙조 |
| 58 | 개념 | 강도팔명 |
| 59 | 시간 | 1998년 8월 |
| 60 | 개념 | 수해 |
| 61 | 시간 | 2015 |
| 62 | 건축물 | 적석사 대웅전 |
| 63 | 묘사 | 예로부터 |
| 64 | 인물 | 서산대사 |
| 65 | 인물 | 취허환열 |
| 66 | 인물 | 석주 권필 |
| 67 | 사건 | 병인양요 |
| 68 | 건축물 | 장년전 |
| 69 | 문화유산 | 영조 어진 |
| 70 | 문화유산 | 숙조 어진 |
| 71 | 문화유산 | 권필 유허비 |
| 72 | 기록, 문화유산 | 적석사 사적비(1714) |
| 73 | 시간 | 1714 |
| 74 | 시간 | 1866 |
| 75 | 시간 | 1905 |
| 76 | 인물 | 김노진 |
| 77 | 기록 | 해동지도(1750) |
| 78 | 기관 | 보창학교 |
| 79 | 인물 | 이동휘 |
| 80 | 인물 | 최아무개 |
| 81 | 개념 | 승려 |
| 82 | 개념 | 강화지위대 |
| 83 | 인물 | 정명공주 (선조의 딸) |
| 84 | 사건 | 병자호란 |
| 85 | 시간 | 1761 |
| 86 | 인물 | 윤기 |
| 87 | 기록 | 무명자집(1761, 윤기) |
| 88 | 기록 | 백련사중건기(1905, 혜안) |
| 89 | 기록 | 심도기행(1906, 고재형) |
| 90 | 기록 | 속수증보강도지(1932, 박헌용) |
| 91 | 기록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 92 | 기록 | 여지도서 강도부지(1760) |
관계 리스트
백련사 안내판 동사
- 답사하다
- 피어 있다
- 발견하다
- 채취하여 공중에 날려
- 세우다
- 걸립되다
- 중건케하다
- 중수하다
- 조성하다
- 지정되다
- 개축되다
- 에 의하다
- 봉안되다
청련사 안내판 동사
- 찾다
- 올라
- 중수하다
- 날다, 퇴락하다
- 새로 짓다
- 따고 있다
- 피하다
- 천도하다
- 모시다
- 추정되다
- 보여주다
- 지정되다
적석사 안내판 동사
- 날리다
- 떨어지다
- 창건하다
- 짓다
- 바뀌다
- 에 의하다
- 있다
- 라고 한다
- 선입되다
- 기록되다
- 것으로 보아
- 큰 피해를 입다
- 힘쓰다
- 새롭게 중건 복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