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역사문화 주제 탐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린지== | ==린지== | ||
|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 ||
| − | {| class= | + | {| class="wikitable-sortable" | 
| ! Class || Node | ! Class || Node | ||
| |-   | |-   | ||
2019년 4월 9일 (화) 10:05 판
린지
주제 : 강화도 고려산의 다섯 개의 연꽃 사찰 (五蓮寺)
| Class | Node | 
|---|---|
| 사찰 | 백련사 | 
| 사찰 | 청련사(국정 아랫절) | 
| 사찰 | 적석사(적련사) | 
| 사찰 | 황련사 | 
| 사찰 | 흑련사 | 
| 사찰 | 원통암(국정 윗절) | 
| 지형 | 고려산(오련산) | 
| 지형 | 오련지 | 
| 시대 | 고려 | 
| 시간 | 고구려 장수왕 4년 병진년(416) | 
| 인물 | 장수왕 | 
| 인물 | 천축조사 | 
| 개념 | 오방색 | 
| 식물, 개념 | 연꽃 | 
| 시간 | 조선 순조 20년(1821) | 
| 인물 | 포겸 스님 | 
| 건축물 | 큰 법당 | 
| 시간 | 1979 | 
| 문화유산 |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787호) | 
| 시간 | 13세기 고려 | 
| 묘사 | 13세기 고려 불상의 조형적, 양식적 특성 | 
| 사건 | 몽골의 침략 | 
| 시간 | 1232~1270 사이 | 
| 묘사 | 고려 불교미술이 추구했던 우아하고 세련된 아름다움 | 
| 묘사 | 완성도 높은 | 
| 시간 | 2012 | 
| 문화유산, 식물 | 보호수 4-9-11 느티나무 | 
| 시간 | 조선 순조 6년 병인년(1806) 3월 | 
| 인물 | 서산대사 제6세손 천봉후인 의해당 처활대사 | 
| 문화유산 | 처활대사의 사리비 | 
| 문화유산 | 처활대사의 부도탑 | 
| 시간 | 조선 고종 광무9년 을미년(1905) 봄 | 
| 인물 | 인암화상 | 
| 건축물 | 백련사 본 가람 | 
| 시간 | 1967 장미년 본 | 
| 인물 | 비구니 한성탐 | 
| 건축물 | 백련사 극락전 | 
| 건축물 | 백련사 삼성각 | 
| 시간 | 1983 | 
| 도로 불사 | |
| 시간 | 1986 | 
| 문화유산 | 백련사 범종 | 
| 문화유산 | 철불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5호) | 
| 시간 | 1989 | 
| 시간 | 2006~2007 | 
| 개념 | 기록 | 
| 문화유산, 기록 | 팔만대장경 | 
| 기록 | 강화부지 | 
| 기록 | 전등사 본말사지 | 
| 기록 | 강도지 | 
| 묘사 | 고려산 서쪽 낙조봉 아래 | 
| 건축물, 지형 | 적석사 우물 | 
| 묘사 | 맑고 깨끗하고 차고 달다 | 
| 묘사 | 나라에 재난이 다가오면 물이 마르거나 탁해져 마실 수 없다 | 
| 묘사 | 명승고적으로 유명한 곳 | 
| 묘사 | 일물의 경관이 빼어나 | 
| 장소 | 적석사 낙조 | 
| 개념 | 강도팔명 | 
| 시간 | 1998년 8월 | 
| 개념 | 수해 | 
| 시간 | 2015 | 
| 건축물 | 적석사 대웅전 | 
| 묘사 | 예로부터 | 
백련사 안내판 동사
- 답사하다
- 피어 있다
- 발견하다
- 채취하여 공중에 날려
- 세우다
- 걸립되다
- 중건케하다
- 중수하다
- 조성하다
- 지정되다
- 개축되다
- 에 의하다
- 봉안되다
청련사 안내판 동사
- 찾다
- 올라
- 중수하다
- 날다, 퇴락하다
- 새로 짓다
- 따고 있다
- 피하다
- 천도하다
- 모시다
- 추정되다
- 보여주다
- 지정되다
적석사 안내판 동사
- 날리다
- 떨어지다
- 창건하다
- 짓다
- 바뀌다
- 에 의하다
- 있다
- 라고 한다
- 선입되다
- 기록되다
- 것으로 보아
- 큰 피해를 입다
- 힘쓰다
- 새롭게 중건 복원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