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나의 위키 콘텐츠 제작 구상)  | 
				 (→나의 위키 콘텐츠 제작 구상)  |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나의 위키 콘텐츠 제작 구상===  | ===나의 위키 콘텐츠 제작 구상===  | ||
| − | + | 1. 내가 만들어 보고 싶은 위키 콘텐츠 주제: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한)한국의 신화, 전설, 요괴  | |
| + | |||
| − | + | 2. 내가 이 주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 나는 판타지 스토리텔링을 좋아한다. 스토리텔링의 기본은, 광범위하며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수집에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판타지 콘텐츠는 보통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통이나 전설 등을 원형으로 하고 있다고 본다. 그 원형은 그냥 생겨난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생성되었을 것이다. 때문에 나는 우리나라의 대중적으로 알려진 신화적 내용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알지 못했던 사소한 것까지 속속들이 찾아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 신화에 담긴 문화적 통찰과 철학적 사유를 포함하여 그저 유흥거리에만 그치지 않는 의미있는 판타지 스토리의 기반을 닦고자 한다.    | |
| − | + | ||
| + | 3. 이 콘텐츠에 담을 개별 기사의 제목  | ||
#* 대표 기사 제목: 한국의 신화적 원형과 그 배경  | #* 대표 기사 제목: 한국의 신화적 원형과 그 배경  | ||
#* 관련 기사 제목:    | #* 관련 기사 제목:    | ||
| 69번째 줄: | 71번째 줄: | ||
#** 6) 한국신화를 기반으로 한 작품들  | #** 6) 한국신화를 기반으로 한 작품들  | ||
| − | + | ||
| + | 4. 콘텐츠 제작 계획  | ||
#* 자료 조사 계획 : 인터넷, 교양도서, 관련 작품 접해보기(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  | #* 자료 조사 계획 : 인터넷, 교양도서, 관련 작품 접해보기(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  | ||
#* 현장 취재 계획 : 박물관 방문, 신화가 살아있는 현 장소의 방문  | #* 현장 취재 계획 : 박물관 방문, 신화가 살아있는 현 장소의 방문  | ||
2016년 4월 26일 (화) 20:46 판
목차
기본정보
- 이름 : 이소미[1]
 - 영문 : Lee So Mee
 - 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 소속 : 건국대학교
 - 학번 : 15
 - 메일 : som3521@naver.com
 
| Wiki 명함 | |
|---|---|
  
 | |
| 이름 | 이소미 | 
| 영문 | Lee So Mee | 
| 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 
| 소속 | 건국대학교 | 
| 학번 | 15 | 
| 메일 | som3521@naver.com | 
| 위키ID | |
상세정보
나와 관련있는 것들
| 주어 | 관계 | 목적어 | 
|---|---|---|
| 이소미 | 는 ~에 재학중이다 | 건국대학교 | 
| 이소미 | 는 ~에 갔었다 | ku시네마테크 | 
| 이소미 | ~와 서먹서먹하다 | 배승희 | 
| 이소미 | 가 좋아하는 음식은 | 티라미수 | 
수업에 임하는 각오
나는 이소미이다.
이소미이기 때문이다.
이 강의를 같이 듣는 친구들
웹에 존재하는 내 흔적들
나의 위키 콘텐츠 제작 구상
1. 내가 만들어 보고 싶은 위키 콘텐츠 주제: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한)한국의 신화, 전설, 요괴
2. 내가 이 주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 나는 판타지 스토리텔링을 좋아한다. 스토리텔링의 기본은, 광범위하며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수집에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판타지 콘텐츠는 보통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통이나 전설 등을 원형으로 하고 있다고 본다. 그 원형은 그냥 생겨난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생성되었을 것이다. 때문에 나는 우리나라의 대중적으로 알려진 신화적 내용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알지 못했던 사소한 것까지 속속들이 찾아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 신화에 담긴 문화적 통찰과 철학적 사유를 포함하여 그저 유흥거리에만 그치지 않는 의미있는 판타지 스토리의 기반을 닦고자 한다. 
3. 이 콘텐츠에 담을 개별 기사의 제목
- 대표 기사 제목: 한국의 신화적 원형과 그 배경
 -  관련 기사 제목: 
- 1) 한국의 신화(세기별 신과 동물 및 자연)
 - 2) 전설(세기별 실존인물을 중심으로)
 - 3) 요괴(탄생 배경)
 - 4) 문화와 관련한 신화
 - 5) 역사와 관련한 신화
 - 6) 한국신화를 기반으로 한 작품들
 
 
4. 콘텐츠 제작 계획
- 자료 조사 계획 : 인터넷, 교양도서, 관련 작품 접해보기(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
 - 현장 취재 계획 : 박물관 방문, 신화가 살아있는 현 장소의 방문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계획 : 한국의 신화를 총망라하는 영상이나 ppt 제작
 
각주
- ↑ 밝을 昭 아름다울 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