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관련 정보 1 : (1784))  | 
				Skypink002  (토론)   (→관련 지식)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File:cheolrik.jpg|300px|right|철릭: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 ||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
| 10번째 줄: | 6번째 줄: | ||
| − | ==  | + | === 관련 지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 ! 관계  | |
| − | + | ! 대상 문서  | |
| + | ! 설명  | ||
| + | |-  | ||
| + | |직책  | ||
| + | |[[병방]]  | ||
| + | |[[안릉신영도]]에 철릭을 착용하는 모습으로 표현된 직책  | ||
| + | |-  | ||
| + | |복식  | ||
| + | |[[갓]], [[말군]]    | ||
| + | |병방이 철릭과 함께 착용한 복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관 복식 ===  | 
| − | *[[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5200&contentsParamInfo=isList%3Dtrue%26navCategoryId%3D46671&cid=46671&categoryId=46671 갑옷], [[동다리]], [[까치등거리]], [http://digerati.aks.ac.kr/dnu/ency/중치막_E0053946.xml 중치막], [[소창의]], [[전복]], [[도포]], [[전립]], [[복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61798&cid=49278&categoryId=49278 투구], [[전모]], [[쓰개치마]], [[화관]], [[여자 저고리|저고리]], [[치마]],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8476&cid=46671&categoryId=46671 장옷], [[속바지]]  | ||
| + | |||
| + | ----  | ||
| + | Writer : [[김아람]]  | ||
| + | |||
| + | |||
| + | |||
| + |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의 철릭 ==  | ||
| + | [[File:Chunlik.jpg]]  | ||
| + | |||
| + | *(위의 그림) 이익정(1699-1782)의 철릭 유물이다.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단국대학교 선주선기념박물관(2005) 『名選』中, p. 97.</ref> 18세기 철릭의 형태를 참고할 수 있다.  | ||
| + | |||
| + | |||
| + | === 문효세자(원자)의 철릭 ===  | ||
| + | *왕세자는 [[단령|곤룡포]] 아래에 [[답호]]를 입고, 그 아래에 철릭을 착용하였다. [[문효세자|문효세자(원자)]]도 이렇게 착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 |||
| + | *『[[상방정례]]』에 따르면 왕세자의 [[단령|곤룡포]] 아래에 입은 철릭은 초록색일 것으로 추정된다.   | ||
| + | |||
| + | |||
| + | === 무관의 철릭 ===  | ||
| + | [[File:Mugwan 1.png|100px|당상관 무관]] [[File:Mugwan 2.png|150px|당하관 무관]]   | ||
| + |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철릭 착용 무관|무관]]은 철릭을 착용하고 있다. 좌측의 무관은 당상관으로 남색 철릭을 입고 있으며, 우측의 무관은 당하관으로 청현색 철릭을 입고 있다.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그림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
| + | |||
| + | |||
| + | === 별감의 철릭 ===  | ||
| + | [[File:Byulgam 2.png|200px|별감]]  | ||
| + |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붉은색 철릭을 입고 있는 [[별감]]이 있다.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그림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
| + | |||
| + | |||
| + | === 갈도의 철릭 ===  | ||
| + | [[File:Galdo.png|120px|갈도]]  | ||
| + |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갈도]]는 붉은색 [[반비의]] 아래에 철릭을 착용하고 있다.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그림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
| − | |||
| − | |||
*[[갈도]]는 나장으로 명칭이 통합되기 때문에 [[경국대전|『경국대전』]]의 나장 복식을 참고할 수 있다.  | *[[갈도]]는 나장으로 명칭이 통합되기 때문에 [[경국대전|『경국대전』]]의 나장 복식을 참고할 수 있다.  | ||
| − | ==관련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관련 지식 ===  | 
| − | !관계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 관계  | ||
| + | ! 대상 문서  | ||
| + | ! 설명  | ||
|-  | |-  | ||
| − | |인물  | + | |인물  | 
| + | |[[문효세자]], [[철릭 착용 무관|무관]], [[별감]], [[갈도]]  | ||
| + | |받침옷 또는 겉옷으로 착용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복장  | 
| − | + | |[[왕세자 관례 전 책복제도]], [[융복]]  | |
| − | *  | + | |문효세자와 무관의 차림새  | 
| − | *  | + | |-  | 
| − | *  | + | |-  | 
| + | |복식  | ||
| + | |  | ||
| + | *문효세자 - [[공정책]], [[옥잠]], [[단령|아청단령]], [[답호|대홍색 답호]], [[용보|사조룡보]], [[옥대]], [[흑피화|흑궤자피화]], [[정|백양모정]]  | ||
| + | *무관 - [[갓|립]], [[광다회대]], [[세조대]], [[수화자]], [[혜]]  | ||
| + | *별감 - [[조건]], [[세조대]], [[혜]]  | ||
| + | *갈도 - [[조건]], [[반비의]], [[세조대]], [[혜]]  | ||
|철릭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구성  | |철릭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구성  | ||
|-  | |-  | ||
| − | |||
|-  | |-  | ||
| − | |  | + | |회화  | 
| − | |  | +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 |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 행사 그림  | ||
| + | |-  | ||
| + | |-  | ||
| + | |문헌  | ||
| + | |[[경국대전]], [[속대전]], [[국조속오례의보서례]], [[현종실록]], [[정조실록]], [[상방정례]]  | ||
| + | |복식 관련 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Writer : [  | + | Writer: [[김현승]]  | 
| − | + | ||
|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 |||
| + | [[분류:복식콘텐츠]]  | ||
2016년 5월 23일 (월) 20:26 판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철릭은 상의와 치마[下裳]를 따로 재단한 다음 치마 윗부분에 주름을 잡아서 상의에 꿰매 이은 옷이다. 양쪽 소매 혹은 한쪽 소매에 매듭단추를 달아 소매를 떼었다 붙였다할 수 있게 만들기도 하였는데 이는 활동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 철릭은 시대에 따라 상의와 치마의 길이 비례가 달라지는데 상의와 치마를 연결한 허리선의 위치는 철릭의 시대를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의와 상의 비율을 보면 조선 초기에는 의가 상보다 길어 ‘의:상’의 비율이 1.2:1이다. 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점차 상이 더 길어져 19세기 말에는 의와 상의 비율이 1:3.6에 이른다. 치마의 허리부분 주름은 0.2㎝ 내외로 가늘게 잡기도 하고, 2~3㎝ 정도로 넓게 잡기도 한다.
 
목차
관련 지식
|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 직책 | 병방 | 안릉신영도에 철릭을 착용하는 모습으로 표현된 직책 | 
| 복식 | 갓, 말군 | 병방이 철릭과 함께 착용한 복식 | 
연관 복식
갑옷, 동다리, 까치등거리, 중치막, 소창의, 전복, 도포, 전립, 복건, 투구, 전모, 쓰개치마, 화관, 저고리, 치마, 장옷, 속바지
Writer : 김아람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의 철릭
- (위의 그림) 이익정(1699-1782)의 철릭 유물이다.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 18세기 철릭의 형태를 참고할 수 있다.
 
문효세자(원자)의 철릭
무관의 철릭
-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무관은 철릭을 착용하고 있다. 좌측의 무관은 당상관으로 남색 철릭을 입고 있으며, 우측의 무관은 당하관으로 청현색 철릭을 입고 있다.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
 
별감의 철릭
-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붉은색 철릭을 입고 있는 별감이 있다.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
 
갈도의 철릭
-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갈도는 붉은색 반비의 아래에 철릭을 착용하고 있다.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
 
관련 지식
|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 인물 | 문효세자, 무관, 별감, 갈도 | 받침옷 또는 겉옷으로 착용하였다. | 
| 복장 | 왕세자 관례 전 책복제도, 융복 | 문효세자와 무관의 차림새 | 
| 복식 | 철릭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구성 | |
| 회화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 행사 그림 | 
| 문헌 | 경국대전, 속대전, 국조속오례의보서례, 현종실록, 정조실록, 상방정례 | 복식 관련 자료 | 
Writer: 김현승
- ↑ 단국대학교 선주선기념박물관(2005) 『名選』中, p. 97.
 - ↑ 그림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그림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그림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