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혜의 아차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클래스 구성)  |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고구려 대장간 마을]]  | **[[고구려 대장간 마을]]  | ||
| − | |||
| − | + | == '''온톨로지 설계 주안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계 주안점  | * 설계 주안점  | ||
** 장소를 중심으로 연계되는 관계의 교차점을 파악  | ** 장소를 중심으로 연계되는 관계의 교차점을 파악  | ||
2016년 6월 26일 (일) 17:15 판
신은혜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신은혜 작성 기사 목록
- 유적
 
- 기록
 
- 콘텐츠
 
- 캐릭터
 
- 장소
 
온톨로지 설계 주안점
-  설계 주안점
- 장소를 중심으로 연계되는 관계의 교차점을 파악
 - 공간의 절대 좌표 정보 없이 텍스트 만으로 파악 가능한 공간 인지 정도 파악
 
 
작업의 한계
-  Class와 Relation에 Atribute를 설정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
- Class의 상세 분류를 반영하지 못함
 - Relation의 동사군이 매우 상세해짐
 
 
- 예)행정구역인지 산인지 강인지 - 예)A는 B를 만들다 / 증축하다 / 보수하다 / 복원하다
-  Class의 Attribute가 적당한지 새로운 노드의 연결성이 적절한지
- 인물과 시대를 Node로 구별할지 인물의 속성으로 시대를 넣을지
 
 
-  장소의 시간성을 동시에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
- 행정구역 소속 및 변화 문제
 
 
- 예) 조선시대 행정구역 중심인지, 현재 행정구역중심인지
-  장소의 상대적 위치 표현 문제
- 네트워크 만으로는 상대적인 위치도, 순서도 표현하지 못함
 
 
- 예) 산맥 순서 등
-  시각화 방법 개선 필요
- 색깔이 아닌 선의 두께로 링크 조정 필요
 - Node의 크기가 글자가 아니라 중요도에 따라서 조정할 필요있음.
 
 
개선 방안
- gis 솔루션과의 연계방안
 - 건물/장소 들의 공간 재활용성
 -  지명의 역사지리적 변화
- 풍양천 -> 양주의 역사지리
 - 풍양조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