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참고) |
(→참고)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참고'''== | =='''참고'''== | ||
최종택,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 경영>, 서경문화사, 2013. | 최종택,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 경영>, 서경문화사, 2013. | ||
+ | |||
최종택,「아차산 고구려 보루 발굴 10년, 성과와 의의」, 한국사 시민강좌, 44, 199-216. | 최종택,「아차산 고구려 보루 발굴 10년, 성과와 의의」, 한국사 시민강좌, 44, 199-216. | ||
2016년 6월 23일 (목) 21:38 판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1] | |
---|---|
시대 | 삼국시대 |
발견지 | 아차산 4보루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 |
개관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는 정수리를 가리는 복발과 여기에 가죽으로 연결되었던 여러 매의 소찰로 이루어진 투구이다. 안악 3호분 벽화 투구와 같이 벽화를 통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고구려 투구가 확인되는데, 실물로 출토된 자료는 매우 드물다.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는 아차산 4보루 온돌의 아궁이에서 거꾸로 뒤집힌 채 출토되었는데, 고고미술사학과 최종택은 고구려군이 이 보루에서 철수할 때 고장난 투구를 던져버린 것이라 추정했다. 또한 투구가 발견된 건물지는 아차산 4보루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아차산 3보루와 연결되는 통로 쪽에 축조되어 있는 점 등으로 보아 이 유적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 기거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 투구의 출토 사례가 많지 않고, 함께 발견된 아차산 4보루 등자와 아차산 4보루 재갈, 그리고 투구 발견지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는 장수가 착용하던 것으로, 장수는 일반 병사와는 달리 투구와 갑옷을 착용하고 있었고, 말을 타고 산 정상부까지 올라갔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지도
클래스
- 사물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 아차산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 아차산성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 서울대학교 박물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서울대학교 박물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에 만들어졌다 | 고구려시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와 관련된다 | 아차산성 토우 |
아차산성 철제 초두 | A는 B와 같은 형태이다 | 반월산성 초두 |
주석
- ↑ 아래 사진출처: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참고
최종택,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 경영>, 서경문화사, 2013.
최종택,「아차산 고구려 보루 발굴 10년, 성과와 의의」, 한국사 시민강좌, 44, 199-216.
기여
- 김지선: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