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정의)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고려 성종이 손수 차를 맷돌에 갈았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이인로의 <승원다마 僧院茶磨>라는 제목의 시와 이규보가 다마를 선물받았던 사실들, 그리고 개경에서 발굴된 다마들이 역사적 고증을 나타내주고 있다.  | 고려 성종이 손수 차를 맷돌에 갈았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이인로의 <승원다마 僧院茶磨>라는 제목의 시와 이규보가 다마를 선물받았던 사실들, 그리고 개경에서 발굴된 다마들이 역사적 고증을 나타내주고 있다.  | ||
| + | |||
| + | ==브랜드==  | ||
| + | 해성요   | ||
| + | |||
| + | 온라인 다기 쇼핑 사이트  | ||
| + |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 ||
| + | |||
| + | [[파일:Company.jpg]]  | ||
==기여==  | ==기여==  | ||
*[[전문구]]: 처음 작성  | *[[전문구]]: 처음 작성  | ||
| + | *[[황문이]]: 텍스트 추가, 이미지 추가, 하이퍼 링크 추가  | ||
[[분류:전문구]]  | [[분류:전문구]]  | ||
| + | [[분류:황문이]]  | ||
[[분류:한국의 전통차]]  | [[분류:한국의 전통차]]  |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 ||
2016년 6월 18일 (토) 21:14 판
정의
다마(茶磨)[1]
본래 이름은 연다마(碾茶磨)이며, 그것을 줄여서 다마라고 부른다. 음다(飮茶)[2]가 유행한 고려시대에, 다양한 다구 또한 발달했고, 이는 고려청자의 발달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특히 여러차중에 말차(抹茶)[3]가 유행했었기에, 그것을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맷돌을 개발되었다.
고려 성종이 손수 차를 맷돌에 갈았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이인로의 <승원다마 僧院茶磨>라는 제목의 시와 이규보가 다마를 선물받았던 사실들, 그리고 개경에서 발굴된 다마들이 역사적 고증을 나타내주고 있다.
브랜드
해성요
온라인 다기 쇼핑 사이트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