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왕본풀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 |||
+ | =='''개요'''== | ||
제주도 무속의 본풀이 가운데 하나. 모든 굿의 맨 처음에 시행하는 초감제 때 배포도업치는 대목에서 노래불린다. '배포도업침'이란 굿하는 장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천지혼합 때로 거슬러 올라가 천지개벽, 일월성신의 발생 등 자연현상의 형성과 국토 · 국가의 형성 등 인문현상의 형성을 노래하여 내려오는 것을 말한다. | 제주도 무속의 본풀이 가운데 하나. 모든 굿의 맨 처음에 시행하는 초감제 때 배포도업치는 대목에서 노래불린다. '배포도업침'이란 굿하는 장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천지혼합 때로 거슬러 올라가 천지개벽, 일월성신의 발생 등 자연현상의 형성과 국토 · 국가의 형성 등 인문현상의 형성을 노래하여 내려오는 것을 말한다. | ||
+ | |||
+ | |||
+ | =='''원전 설명'''== | ||
그 내용을 보면, 태초에 천지가 서로 맞붙어 혼합되고 있었는데, 갑자년 갑자월 갑자일 갑자시에 하늘의 머리가 자방(子方)으로 열리고, 을축년 을축월 을축일 을축시에 땅의 머리가 축방(丑方)으로 열려 천지는 금이 가 개벽되었다. 이때 하늘에서는 청이슬이 내리고 땅에서는 흑이슬이 솟아나 서로 합수되어 만물이 생겨났는데, 먼저 여러가지 별이 생기고, 다음에 해와 달이 둘씩이나 생겨났다. 이 때문에 낮에는 더워서 살 수 없고, 밤에는 추워서 살 수 없게 되어 있었다. 이때 두개의 해와 달리 각각 하나로 정리되어 자연의 질서가 잡히게 되었는데, 그대목의 이야기가 바로 천지왕본풀이인 것이다. | 그 내용을 보면, 태초에 천지가 서로 맞붙어 혼합되고 있었는데, 갑자년 갑자월 갑자일 갑자시에 하늘의 머리가 자방(子方)으로 열리고, 을축년 을축월 을축일 을축시에 땅의 머리가 축방(丑方)으로 열려 천지는 금이 가 개벽되었다. 이때 하늘에서는 청이슬이 내리고 땅에서는 흑이슬이 솟아나 서로 합수되어 만물이 생겨났는데, 먼저 여러가지 별이 생기고, 다음에 해와 달이 둘씩이나 생겨났다. 이 때문에 낮에는 더워서 살 수 없고, 밤에는 추워서 살 수 없게 되어 있었다. 이때 두개의 해와 달리 각각 하나로 정리되어 자연의 질서가 잡히게 되었는데, 그대목의 이야기가 바로 천지왕본풀이인 것이다. | ||
10번째 줄: | 15번째 줄: | ||
이 본풀이는 [[천지개벽신화]]의 한 형태로 천지분리, 이승 · 저승의 분치(分治), 복수일월(複數日月)의 사락(射落), 그밖에 자연질서의 정리 등의 화소(話素)가 주내용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화소로 짜여진 이야기는 함경남도의 '센굿', 서울의 '시루말'등 서사무가에도 전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태양이 함께 나타난 것을 없애 하나만 남긴 이야기는 <도솔가> 배경설화로 기술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본풀이는 개벽신화가 장구한 세월에 걸쳐 전승되면서 무속과 결부되어 전국에 분포된 것중의 하나라고 추정되고 있다. | 이 본풀이는 [[천지개벽신화]]의 한 형태로 천지분리, 이승 · 저승의 분치(分治), 복수일월(複數日月)의 사락(射落), 그밖에 자연질서의 정리 등의 화소(話素)가 주내용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화소로 짜여진 이야기는 함경남도의 '센굿', 서울의 '시루말'등 서사무가에도 전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태양이 함께 나타난 것을 없애 하나만 남긴 이야기는 <도솔가> 배경설화로 기술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본풀이는 개벽신화가 장구한 세월에 걸쳐 전승되면서 무속과 결부되어 전국에 분포된 것중의 하나라고 추정되고 있다. | ||
− | |||
=='''클래스'''== | =='''클래스'''== |
2016년 6월 21일 (화) 16:59 판
개요
제주도 무속의 본풀이 가운데 하나. 모든 굿의 맨 처음에 시행하는 초감제 때 배포도업치는 대목에서 노래불린다. '배포도업침'이란 굿하는 장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천지혼합 때로 거슬러 올라가 천지개벽, 일월성신의 발생 등 자연현상의 형성과 국토 · 국가의 형성 등 인문현상의 형성을 노래하여 내려오는 것을 말한다.
원전 설명
그 내용을 보면, 태초에 천지가 서로 맞붙어 혼합되고 있었는데, 갑자년 갑자월 갑자일 갑자시에 하늘의 머리가 자방(子方)으로 열리고, 을축년 을축월 을축일 을축시에 땅의 머리가 축방(丑方)으로 열려 천지는 금이 가 개벽되었다. 이때 하늘에서는 청이슬이 내리고 땅에서는 흑이슬이 솟아나 서로 합수되어 만물이 생겨났는데, 먼저 여러가지 별이 생기고, 다음에 해와 달이 둘씩이나 생겨났다. 이 때문에 낮에는 더워서 살 수 없고, 밤에는 추워서 살 수 없게 되어 있었다. 이때 두개의 해와 달리 각각 하나로 정리되어 자연의 질서가 잡히게 되었는데, 그대목의 이야기가 바로 천지왕본풀이인 것이다.
본풀이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늘의 천지왕이 지상에 내려와 총맹부인과 동침을 하고 돌아갔는데, 부인은 아들형제를 낳았다. 형는 대별왕, 아우는 소별왕이라 이름지었다. 형제는 자라나 아버지를 찾아가려고 천지왕이 남기고 간 박씨를 심었다. 그뒤 박씨는 싹이 나고 자라서 하늘로 줄기가 뻗어갔다. 형제는 그 박줄을 타고 아버지를 찾아가니, 천지왕은 형인 대별왕에게 이승을, 아우인 소별왕에게 저승을 차지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승을 탐낸 아우는 수수께끼 · 꽃가꾸기 등의 내기를 하여 이기는 자가 이승을 차지하기로 하자는 제안을 하고, 속임수로 이겨서 이승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이승에 오고 보니 해와 달이 둘씩이나 뜨고, 나무와 짐승들이 말을 하고, 귀신과 인간의 구분이 없고, 인간의 불화 · 역적 · 도둑 · 간음 등이 들끓고 있었다. 아우가 형에게 이승의 질서를 바로잡아 달라고 간청하였다. 형은 활로 해와 달을 하나씩 쏘아 없애 하나씩만 남기고, 송피가루를 뿌려 짐승의 혀를 저리게 하여 나무와 짐승들이 말을 못하게 하였으며, 무게를 달아 그 경중으로 귀신과 인간을 구분지어주었다. 그러나 인간의 사회질서는 바로잡아주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불화 · 역적 · 도둑 · 간음 등 죄악은 지금까지도 그대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 본풀이는 천지개벽신화의 한 형태로 천지분리, 이승 · 저승의 분치(分治), 복수일월(複數日月)의 사락(射落), 그밖에 자연질서의 정리 등의 화소(話素)가 주내용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화소로 짜여진 이야기는 함경남도의 '센굿', 서울의 '시루말'등 서사무가에도 전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태양이 함께 나타난 것을 없애 하나만 남긴 이야기는 <도솔가> 배경설화로 기술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본풀이는 개벽신화가 장구한 세월에 걸쳐 전승되면서 무속과 결부되어 전국에 분포된 것중의 하나라고 추정되고 있다.
클래스
- 원전
관련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천지왕본풀이 | 는 ~에 속해있다. | 천지개벽신화 |
천지왕본풀이 | 은 ~에 등장한다. | 천지왕 |
천지왕본풀이 | 은 ~에 등장한다. | 대별왕 |
천지왕본풀이 | 은 ~에 등장한다. | 소별왕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천지왕본풀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기여
- 윤혜준: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