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금강 속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최종 기획안)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최종 기획안== | ==최종 기획안== | ||
[https://acrobat.adobe.com/id/urn:aaid:sc:AP:a9ee8179-2c55-4c68-8831-5e035a3d7ded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최종 기획안] | [https://acrobat.adobe.com/id/urn:aaid:sc:AP:a9ee8179-2c55-4c68-8831-5e035a3d7ded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최종 기획안] | ||
+ | |||
+ | == 주요 클래스 설계 및 클래스별 주요 노드 예시 == | ||
+ | |||
+ | === 핵심 클래스 (Core Class)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style="text-align:center;" | 클래스 !! style="text-align:center;" | 설명 !! style="text-align:center;" | 예시 노드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Place || style="text-align:left;" | 백제의 역사적 중심지 및 지형 || style="text-align:left;" | 공주, 부여, 익산, 금강, 백마강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Site || style="text-align:left;" | 각 지역의 주요 유적지 || style="text-align:left;" | 공산성, 무령왕릉과 왕릉원,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부여왕릉원, 나성, 왕궁리유적, 미륵사지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Event || style="text-align:left;" |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 || style="text-align:left;" | 웅진천도(475), 사비천도(538), 황산벌전투(660), 백제멸망(660)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Actor || style="text-align:left;" | 백제의 왕 및 인물 || style="text-align:left;" | 무령왕, 성왕, 의자왕, 계백, 김유신, 소정방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Object || style="text-align:left;" | 각 지역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 || style="text-align:left;" | 옻칠갑옥, 무령왕릉 지석, 무령왕 금제 관식, 진묘수, 무령왕릉 청동거울, 연꽃무늬 수막새, 금동제허리띠, 정림사지 오층석탑, 금제방형 사리함, 금동여래 입상, 금제사리 봉영기, 사리호와 사리병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caption-side:bottom;" |'''표 1. 핵심 클래스(Core Class) 정의''' | ||
+ | |} | ||
+ | |||
+ | === 문맥 클래스 (Context Class)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style="text-align:center;" | 클래스 !! style="text-align:center;" | 설명 !! style="text-align:center;" | 예시 노드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Institution || style="text-align:left;" | 지역별 유물 소장 기관 || style="text-align:left;" |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Designation || style="text-align:left;" | 문화유산 지정 명칭 || style="text-align:left;" | 유네스코세계유산, 국보, 보물, 공주16, 공주619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Document || style="text-align:left;" | 유물/유적/사건이 언급된 논문 또는 고문헌 || style="text-align:left;" | 사비도성의 불교정책과 건축양식, 왕궁리유적의 고고학적 의의, 백제멸망과 삼국통일, 황산벌전투의 전개와 계백의 의미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WebResource || style="text-align:left;" | 디지털 기반 해설 자료 || style="text-align:left;"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가유산포털, 관련 신문기사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Multimedia || style="text-align:left;" | 2D 시각자료 || style="text-align:left;" | 소장기관별 이미지 뷰어 링크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TimePeriod || style="text-align:left;" | 각 시대의 역사 구분 || style="text-align:left;" | 웅진시기, 사비시기, 사비후기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Technique || style="text-align:left;" | 전통적 기법 및 양식적 특징 || style="text-align:left;" | 판축기법, 벽주건물지, 벽돌무덤, 가람배치, 횡혈식석실묘, 토심 석축 공법, 남북중심축_대칭구조, 배수시설, 왕궁_내_사찰배치, 3탑3금당_가람배치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Concept || style="text-align:left;" | 전통적 기법이 지닌 인류유산적 가치 || style="text-align:left;" | 왕권강화, 불교문화중흥, 국토통일의지, 후기백제전략, 불교문화, 건축기술, 불교건축, 목탑양식, 신선사상, 산지입지, 고대 동아시아 문화교류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caption-side:bottom;" |'''표 2. 문맥 클래스(Context Class) 정의''' | ||
+ | |} | ||
+ | |||
+ | === 관계 (Relation)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style="text-align:center;" | Domain !! style="text-align:center;" | Range !! style="text-align:center;" | Relation !! style="text-align:center;" | Description !! style="text-align:center;" | 표준출처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Place || style="text-align:left;" | site || style="text-align:left;" | linkedWith || style="text-align:left;" | 명칭이나 지리적으로 연관된 공간 간 연결 표시 || style="text-align:left;" | EKC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Place || style="text-align:left;" | Institution || style="text-align:left;" | hasRouteTo || style="text-align:left;" | 특정 장소에서 관람 가능한 기관 또는 관람 루트 연결 || style="text-align:left;" | EKC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Actor || style="text-align:left;" | Event || style="text-align:left;" | participatedIn || style="text-align:left;" | 인물이 역사적 사건에 참여했음을 명시 || style="text-align:left;" | EKC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Actor || style="text-align:left;" | site || style="text-align:left;" | ruledAt || style="text-align:left;" | 인물이 특정 도시나 지역을 통치한 장소 정보 || style="text-align:left;" | CIDOC CRM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Event || style="text-align:left;" | site || style="text-align:left;" | occurredAt || style="text-align:left;" | 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명시 || style="text-align:left;" | EKC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Event || style="text-align:left;" | Event/Concept || style="text-align:left;" | resultedIn || style="text-align:left;" | 역사적 사건의 결말과 그 결말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설명하는 정보 || style="text-align:left;" | EDM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Object || style="text-align:left;" | Site || style="text-align:left;" | wasDiscoveredAt || style="text-align:left;" | 유물이 발굴된 유적지의 위치 명시 || style="text-align:left;" | EKC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Object || style="text-align:left;" | Institution || style="text-align:left;" | isPreservedAt || style="text-align:left;" | 유물의 현재 보관 장소나 관리 기관 표시 || style="text-align:left;" | EKC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Object / Stie || style="text-align:left;" | Designation || style="text-align:left;" | hasDesignation || style="text-align:left;" | 유적지가 세계유산 또는 국가문화재 등으로 지정됨 || style="text-align:left;" | CIDOC CRM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Site || style="text-align:left;" | Technique || style="text-align:left;" | hasFeature || style="text-align:left;" | 유적지에 해당하는 세계유산적 가치를 지닌 기법/특징을 명시 || style="text-align:left;" | CIDOC CRM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Site || style="text-align:left;" | TimePeriod || style="text-align:left;" | hastimeon || style="text-align:left;" | 해당유적지와 연결되는 시대적 상황을 명시 || style="text-align:left;" | EDM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Technique || style="text-align:left;" | Concept || style="text-align:left;" | signifies || style="text-align:left;" | 해당 기법과 양식이 지닌 세계유산적 가치를 명시 || style="text-align:left;" | EDM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Document || style="text-align:left;" | Site/Object/Event || style="text-align:left;" | mentionedIn || style="text-align:left;" | 문헌이나 논문에서 특정 유적, 유물, 사건을 언급함 || style="text-align:left;" | EDM | ||
+ | |- | ||
+ | | style="text-align:left;" | WebResource/Multimedia || style="text-align:left;" | Object || style="text-align:left;" | hasExplanation || style="text-align:left;" | 웹 리소스가 논문이나 문헌의 내용을 설명 또는 인용 || style="text-align:left;" | EDM | ||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caption-side:bottom;" |'''표 3. 온톨로지 관계어(Relation) 정의''' | ||
+ | |} | ||
==스토리라인== | ==스토리라인== |
2025년 6월 11일 (수) 20:54 판
목차
최종 기획안
주요 클래스 설계 및 클래스별 주요 노드 예시
핵심 클래스 (Core Class)
클래스 | 설명 | 예시 노드 |
---|---|---|
Place | 백제의 역사적 중심지 및 지형 | 공주, 부여, 익산, 금강, 백마강 |
Site | 각 지역의 주요 유적지 | 공산성, 무령왕릉과 왕릉원,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부여왕릉원, 나성, 왕궁리유적, 미륵사지 |
Event |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 | 웅진천도(475), 사비천도(538), 황산벌전투(660), 백제멸망(660) |
Actor | 백제의 왕 및 인물 | 무령왕, 성왕, 의자왕, 계백, 김유신, 소정방 |
Object | 각 지역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 | 옻칠갑옥, 무령왕릉 지석, 무령왕 금제 관식, 진묘수, 무령왕릉 청동거울, 연꽃무늬 수막새, 금동제허리띠, 정림사지 오층석탑, 금제방형 사리함, 금동여래 입상, 금제사리 봉영기, 사리호와 사리병 |
문맥 클래스 (Context Class)
클래스 | 설명 | 예시 노드 |
---|---|---|
Institution | 지역별 유물 소장 기관 | 국립공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
Designation | 문화유산 지정 명칭 | 유네스코세계유산, 국보, 보물, 공주16, 공주619 |
Document | 유물/유적/사건이 언급된 논문 또는 고문헌 | 사비도성의 불교정책과 건축양식, 왕궁리유적의 고고학적 의의, 백제멸망과 삼국통일, 황산벌전투의 전개와 계백의 의미 |
WebResource | 디지털 기반 해설 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가유산포털, 관련 신문기사 |
Multimedia | 2D 시각자료 | 소장기관별 이미지 뷰어 링크 |
TimePeriod | 각 시대의 역사 구분 | 웅진시기, 사비시기, 사비후기 |
Technique | 전통적 기법 및 양식적 특징 | 판축기법, 벽주건물지, 벽돌무덤, 가람배치, 횡혈식석실묘, 토심 석축 공법, 남북중심축_대칭구조, 배수시설, 왕궁_내_사찰배치, 3탑3금당_가람배치 |
Concept | 전통적 기법이 지닌 인류유산적 가치 | 왕권강화, 불교문화중흥, 국토통일의지, 후기백제전략, 불교문화, 건축기술, 불교건축, 목탑양식, 신선사상, 산지입지, 고대 동아시아 문화교류 |
관계 (Relation)
Domain | Range | Relation | Description | 표준출처 |
---|---|---|---|---|
Place | site | linkedWith | 명칭이나 지리적으로 연관된 공간 간 연결 표시 | EKC |
Place | Institution | hasRouteTo | 특정 장소에서 관람 가능한 기관 또는 관람 루트 연결 | EKC |
Actor | Event | participatedIn | 인물이 역사적 사건에 참여했음을 명시 | EKC |
Actor | site | ruledAt | 인물이 특정 도시나 지역을 통치한 장소 정보 | CIDOC CRM |
Event | site | occurredAt | 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명시 | EKC |
Event | Event/Concept | resultedIn | 역사적 사건의 결말과 그 결말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설명하는 정보 | EDM |
Object | Site | wasDiscoveredAt | 유물이 발굴된 유적지의 위치 명시 | EKC |
Object | Institution | isPreservedAt | 유물의 현재 보관 장소나 관리 기관 표시 | EKC |
Object / Stie | Designation | hasDesignation | 유적지가 세계유산 또는 국가문화재 등으로 지정됨 | CIDOC CRM |
Site | Technique | hasFeature | 유적지에 해당하는 세계유산적 가치를 지닌 기법/특징을 명시 | CIDOC CRM |
Site | TimePeriod | hastimeon | 해당유적지와 연결되는 시대적 상황을 명시 | EDM |
Technique | Concept | signifies | 해당 기법과 양식이 지닌 세계유산적 가치를 명시 | EDM |
Document | Site/Object/Event | mentionedIn | 문헌이나 논문에서 특정 유적, 유물, 사건을 언급함 | EDM |
WebResource/Multimedia | Object | hasExplanation | 웹 리소스가 논문이나 문헌의 내용을 설명 또는 인용 | EDM |
스토리라인
부여 탐방
공주 탐방
익산 탐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