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고아의 죄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미지)
(주석)
76번째 줄: 76번째 줄:
  
 
=='''주석'''==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references/>
 
<references/>
 +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2025년 6월 7일 (토) 21:12 판




개요(정의)

황제의 아득한 신화급 성좌들에게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존재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내용[1]

특징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 수렴동을 지배하던 원순왕 미후왕
  • 천계와의 사기계약에 당해 마구간을 관리하던 시절인 필미온
  • 서유기의 주요 파트를 맡은 긴고아를 차고 삼장을 따라 여정을 가는 중인 제천대성
  • 모든 여정 끝에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된 투전승불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작중행적

초기 심연의 흑염룡, 악마 같은 불의 심판자, 은밀한 모략가와 함께 가장 오랫동안 김독자(주인공)을 지켜본 4인의 애청자 중 하나이다. 초중반 관망에 가까운 태도로 김독자를 지켜봐왔기에 행적이 드러나지 않았었지만 서유기 리메이크 에피소드에서 김독자를 자신의 형제로 받아들이면서 시나리오에 이변을 일으킨다.

서유기 에피소드 속 행적

메인 시나리오 # 94 ―서유기 리메이크

분류 : 메인
난이도 : ???
클리어 조건 : 다른 성좌 또는 화신들과 함께 ‘설화방’을 만들어 서유기를 리메이크하십시오.
리메이크된 서유기는 실시간으로 심사위원들과 관객들을 통해 평가되며, ‘인기도’, ‘원작 반영도’, ‘참신함’ 등의 평가항목을 통해 총점이 매겨집니다.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설화가 시나리오의 우승자가 됩니다.
제한시간 : ―
보상 : ‘서유기’와 관련된 거대 설화, 성운 <황제>의 호의, 3,000,000코인, ???
실패시 : ―
* 재구성된 설화들의 저작권은 성운 <황제>와 참가자가 공동 소유합니다.
* 심사위원 득표수에 따라 ‘전설급’ 또는 ‘역사급’의 설화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참가자 1인당 하나의 역할만을 맡을 수 있습니다(엑스트라 제외).
* 순위 별로 추가 코인이 지급됩니다.

위와 같은 메인 시나리오에 김독자와 일행은 참여한다. 일행은 탁월한 능력으로 가파른 순위 상승을 꾀하고 본래 우승자로 내정되어 있던 성운 <황제>의 화신들을 위협할 수준이 되자 성운 <황제>에서 김독자 일행을 공격해 일행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 이 때 제천대성은 성운 <황제> 소속 심사위원으로 있었는데 자신의 성운인 <황제>를 등지고 김독자를 자신의 형제(다섯째)로 받아들여 김독자와 그 일행을 돕는다.

정단사자(저팔계), 금신나한(사오정) 등의 동료들과 함께 성운 <황제>에 맞서 싸워 다시 한 번 천계와 싸움을 벌인다. 석가의 후예인 유상아의 도움으로 긴고아의 봉인이 풀리고 넷으로 나뉘어 있던 손오공들은 하나로 합쳐져 '가장 오래된 해방자' 라는 수식언을 가진 존재로 탈바꿈 된다. 이후 서유기 에피소드에서 다시 한 번 펼쳐진 손오공과 천계의 전투는 손오공의 승리로 막을 내린다.

시맨틱 스토리텔링

전지적 독자 시점 속 서유기


모티브(문화원형)

중국 고전소설 서유가 의 주인공인 원숭이 수인.

멀티미디어

이미지

주석

  1. 나무위키_긴고아의_죄수
  2. 위키피디아,손오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