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고아의 죄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미지)
(내용나무위키, 전지적 독자 시점/설정)
34번째 줄: 34번째 줄: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내용'''<ref>[https://namu.wiki/w/%EC%A0%84%EC%A7%80%EC%A0%81%20%EB%8F%85%EC%9E%90%20%EC%8B%9C%EC%A0%90/%EC%84%A4%EC%A0%95 나무위키, 전지적 독자 시점/설정]</ref>==
+
=='''내용'''<ref>[https://namu.wiki/w/%EA%B8%B4%EA%B3%A0%EC%95%84%EC%9D%98%20%EC%A3%84%EC%88%98 나무위키_긴고아의_죄수]</ref>==
 
==='''특징'''===
 
==='''특징'''===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43번째 줄: 43번째 줄: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작중행적'''==
 
=='''작중행적'''==

2025년 6월 7일 (토) 19:34 판




개요(정의)

황제의 아득한 신화급 성좌들에게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존재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내용[1]

특징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 수렴동을 지배하던 원순왕 미후왕
  • 천계와의 사기계약에 당해 마구간을 관리하던 시절인 필미온
  • 서유기의 주요 파트를 맡은 긴고아를 차고 삼장을 따라 여정을 가는 중인 제천대성
  • 모든 여정 끝에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된 투전승불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작중행적

시맨틱 스토리텔링

전지적 독자 시점 속 서유기


모티브(문화원형)

멀티미디어

이미지

주석

  1. 나무위키_긴고아의_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