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고아의 죄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모티브(문화원형))
(이미지)
56번째 줄: 56번째 줄: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이미지'''===
 
==='''이미지'''===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File:플루토신.jpeg | 플루토(Pluto)<br/>고대 신<ref>[https://en.wikipedia.org/wiki/Pluto_(mythology) 위키피디아,Pluto (mythology)]</ref>
 
File:거신병.png | 거신병(巨神兵)<br/><바람계곡의 나우시카><ref>[https://i.namu.wiki/i/8iyYBGiHA4u5ydiIltz-Da0AbMK6PbPwB5C9UtVl4d-ZpucNDpfHh5UE53a_hu4rupc-gESRMMUj7m5b1_6MaD6WFVO2jJjY8qKAN2Aceg7OotHiw9vDpj6MafH3jWMKJSHpL4ZLv8H4rsA2XGp2EA.webp 나무위키, 애니메이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거신병]</ref>
 
</gallery>
 
  
 
=='''주석'''==
 
=='''주석'''==

2025년 6월 7일 (토) 19:06 판




개요(정의)

황제의 아득한 신화급 성좌들에게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존재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내용[1]

특징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 수렴동을 지배하던 원순왕 미후왕
  • 천계와의 사기계약에 당해 마구간을 관리하던 시절인 필미온
  • 서유기의 주요 파트를 맡은 긴고아를 차고 삼장을 따라 여정을 가는 중인 제천대성
  • 모든 여정 끝에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된 투전승불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작중행적

시맨틱 스토리텔링

전지적 독자 시점 속 서유기


모티브(문화원형)

멀티미디어

이미지

주석

  1. 나무위키, 전지적 독자 시점/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