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욕망하는 여성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차미미와 이플로의 관계) |
(→네트워크 그래프) |
||
452번째 줄: | 452번째 줄: | ||
{{NetworkGraph | title=팔이피플.lst }} | {{NetworkGraph | title=팔이피플.lst }} | ||
+ | |||
+ | ```mermaid | ||
+ | graph LR | ||
+ | A[시작] --> B[중간 단계] | ||
+ | B --> C[끝] | ||
+ | ``` |
2025년 6월 3일 (화) 02:16 판
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마스크걸》, 《위대한 방옥숙》, 《팔이피플》을 중점으로 작가의 작품 세계 이해하기
목차
기획의도
매미/희새 작가는 네이버 웹툰을 통해 《마스크걸》, 《위대한 방옥숙》, 《팔이피플》 등의 작품을 연재하며, 대중성과 작품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특히 《마스크걸》과 《위대한 방옥숙》은 OTT 드라마로 제작되며 하나의 강력한 IP(Intellectual Property)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들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분석 요소는 바로 ‘복수’라는 주제에 대한 통찰이다. 《마스크걸》, 《위대한 방옥숙》, 《팔이피플》 모두 인물 간의 복수를 중심축으로 한 서사를 구성하며, 작가가 꾸준히 반복적으로 다루는 서사 패턴을 보여준다.
작품 속 인물들은 대체로 이기적이고 오만하며, 욕망에 의해 움직이는 캐릭터들이다. 그들은 자신의 분수를 넘어서는 삶을 추구하며, 빠르고 편리한 방식으로 성공하거나 부를 얻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대부분 비윤리적인 선택과 맞물려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고, 그 결과 또 다른 인물의 복수로 이어진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복수 구조가 단순히 ‘가해 → 피해 → 복수’의 선형 구조로 끝나지 않고, 복수 → 피해 → 또 다른 복수로 이어지는 연쇄적인 복수의 고리로 반복된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를 작품 전반에 걸쳐 하나의 서사 구조로 패턴화하며, 이 구조는 각기 다른 작품 속에서도 유사하게 반복된다.
따라서 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세계를 분석할 때는 사건 중심의 분석보다 인물 간의 관계와 감정의 변화, 그리고 복수의 동기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 복수를 하는가?"보다 "왜 그런 방식으로 복수하는가?", "그 인물은 어떤 경험이나 인물의 영향을 받아 복수를 결심하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이 작가의 핵심 메시지에 더 가까워진다.
이러한 복잡한 감정 구조와 인물 간의 영향 관계를 정교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멘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방법이 효과적이다. 시멘틱 데이터는 인물, 사건, 감정, 관계 등을 유의미하게 연결할 수 있어 복수의 서사를 구성하는 구조적 연결망을 시각화하고 추적하는 데 적합하다.
결론적으로, 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서사 구조로서의 ‘복수’**를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 복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멘틱 데이터를 활용한 관계 중심의 연구가 효과적인 접근법이 될 것이다.
연구 히스토리와 연구 전략
연구 히스토리
4/28
본 연구는 처음에 매미/희새 작가의 최신작 《팔이피플》을 중심으로, 복수를 핵심 주제로 얽힌 인물들 간의 관계를 시멘틱 데이터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작가의 전작 《마스크걸》과 《위대한 방옥숙》이 드라마 및 OTT 플랫폼으로 매체 전환되며 큰 주목을 받은 것처럼, 《팔이피플》 또한 매체 전환 가능성이 높은 매력적인 IP로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팔이피플》은 앞선 두 작품에 비해 서사의 볼륨이 크고 등장인물도 많으며, 그들 사이의 관계 역시 복수를 축으로 얽혀 있어 단순 감상만으로는 서사를 온전히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를 띤다. 이 복잡성 때문에 작품을 시멘틱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구조를 시각화하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연구를 실제로 진행하면서 한 가지 중요한 한계에 부딪혔다. 《팔이피플》의 후반부 서사가 구조적으로 불완전하고 인물의 동기나 행위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시멘틱 데이터를 정리하더라도 왜 특정 인물이 특정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납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이로 인해 단일 작품에 대한 분석으로는 안정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현실적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연구의 방향을 조정하게 되었으며, 단순히 《팔이피플》 한 작품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매미/희새 작가가 구축해온 일관된 서사 구조와 복수 서사의 패턴을 분석 대상으로 확장하였다. 이는 매력적인 IP를 지속적으로 창조해온 작가의 작품 세계를 구조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향후 등장할 작품들에 대한 이해와 소비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5/13
진행상황 보고
위대한 방옥숙, 팔이피플을 다시 읽음. 마스크걸은 진행중
위대한 방옥숙과 팔이피플에서 사용할 주요 사건을 정리함, 마스크걸은 진행중
선택한 사건을 네트워크그래프로 수기로 그려봄
온톨로지 중 class, relation, node를 정리함, link는 진행중, 정리된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네트워트 그래프 제작 중
방향성 변화/특이 사항
Class Theme의 노드를 정리하던 중, 각 작품의 공통된 주제 의식을 정리함. 이를 통해 매미/희세 작가의 작품 세계가 복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기보다 인간의 추악한 모습과 그에 따른 이해관계 그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발견, 방향성 변화
수기 네트워크그래프를 보니 작품 세계를 나타낸다기보다, 콘텐츠의 사건 중심 줄거리 요약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Emotion, Theme, Context class를 추가해 이를 해결하고자 함.
Event 와 구별되는 Action Class를 추가함. Event는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주요 사건(주로 주제와 연결)을 뜻하고, Action은 인물의 행동에 초점이 맞춰진 사건을 말함. 예를 들어, 누명 복수 살인 등.
누명 node와 어울리는 가짜 증거 isFakeEvidenceOf relation을 추가함
고민되는 점
node복수는 Action이 아니라 Effect로 정의해야하는지 고민중. 예를 들면, Action 살인 Effect 복수 혹은 Action 투옥 Effect 복수,아니면 relationd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어떤 게 더 효과적인지 Emotion class의 node는 네이버 웹툰 댓글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임의로 작성함. 그러나 통계적 데이터로서 평가하기에 다소 부족. 따라서 네이버 웹툰 댓글을 기반으로 이용자가 느끼는 정서의 통계 데이터가 요구됨. 통계적 데이터 수집 방법: 1. 20개의 회차를 무작위로 선정, 그 중 10-20개의 댓글을 무작위로 선정해 챗 GPT에게 node 분석을 맡긴다. -> 실현 가능성 높지만 통계적인 데이터로 부족함 2. 파이썬 3에 코드를 입력해 모든 회차의 모든 댓글을 분석한다. -> 실현 가능성 미지, 통계적 자료로는 제일 적합. 스토리텔링 전략 고민중. 기획 의도 단계에서 작가의 작품 세계를 스토리텔링의 대상으로 설정함. 그러나 작가 정보 부족, 데이터 부족으로 내용이 연구를 해보지 않아도 알 수 있을만큼 얄팍해짐. 이에 대한 고민
시멘틱 데이터 범위
예희와 주연
1. 예희와 주연은 주연의 집착과 질투로 인한 애증관계를 가지고 있다.
(팔이피플)박주연 (팔이피플)김예희 wantsToBeLike
(팔이피플)김예희 예쁨 hasBackgroundIn
예쁨 질투 isRelatedTo
(팔이피플)박주연 질투 feel
2. 이것은 김예희 임신 소문 event와 관련이 있다.
(팔이피플)김예희 김예희_임신 hasBackground
(팔이피플)박주연 김예희_임신소문 leads
김예희_임신소문 김예희_임신 isCausedBy
(팔이피플)김예희 분노 feel
분노 (팔이피플)박주연 target
분노 박주연_왕따 leads
3. 주연은 나르시시즘의 상처로 인해 예희를 파괴하고
(팔이피플)박주연 속물적인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이기적인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유혹에_약한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자존감_낮은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자격지심_있는 tendToBe
(팔이피플)박주연 못생김 hasBackgroundIn
(팔이피플)김예희 김예희_누명 victimOfEvent
김예희_투옥 김예희_누명 isCausedBy
4. 속물적인 성격을 충족하기 위해 예희를 감옥에 보낸다.
(팔이피플)박주연 김예희_누명 leads
(팔이피플)박주연 조종_차미미 leads
조종_차미미 (팔이피플)차미미 target
(팔이피플)박주연 조종_살해유도 leads
조종_살해유도 이플로_살해 target
조종_차미미 김예희_누명 isRelatedTo
조종_살해유도 질투 isCausedBy
김예희_누명 (팔이피플)차미미 protect
속물적인 부유함 isCausedBy
속물적인 부유함 isRelatedTo
5. 예희의 복수
아직 링크로 만들지 않음
이플로와 차미미
1. 이플로와 차미미는 연인이며 이플로는 한물간 아이돌이고 차미미는 재벌 상속녀이지만 사생아다. 차미미는 사생아지만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자랐다. 폭력적이고 다혈질인 성격이다.
(팔이피플)차미미 (팔이피플)이플로 isPartnerOf
(팔이피플)차미미 혼외자 hasBackgroundIn
혼외자 음울한 isRelatedTo
(팔이피플)차미미 음울한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자기파괴적인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자극만을_추구하는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단순한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자유로운 tendToBe
(팔이피플)차미미 폭력적인 tendToBe
2. 차미미는 자해 소동 등을 벌이며 이플로의 연예계 활동을 지원해주고 경제적인 지원도 아까지 않는다.
(팔이피플)차미미 차미미_이플로_지원 leads
(팔이피플)이플로 차미미_이플로_지원 target
차미미_이플로_지원 부유함 hasBackgroundIn
차미미_이플로_지원 한물간_아이돌 hasBackgroundIn
3. 둘은 서로 사랑하지만 서로에게 유해한 관계이다.
이플로는 차미미의 애정결핍 어린 집착에 숨막히고 동시에 자격지심도 느끼지만 그녀의 지원 때문에 벗어나지 못한다.
이플로는 그녀 옆에서만 살아갈 수 있을 것 같은 동시에 그녀 옆에서 제일 불행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아직 link로 만들지 않음
4. 그래서 이플로는 바람을 폈고,
(팔이피플)이플로 이플로_바람 leads
(팔이피플)이플로 질투 feel
질투 (팔이피플)차미미 target
질투 부유함 isCausedBy
질투 자격지심_있는 isCausedBy
질투 이플로_바람 leads
5. 차미미는 분노해서 이플로를 죽였다.
(팔이피플)차미미 분노 feel
분노 이플로_바람 isCausedBy
분노 이플로_살해 leads
이플로_살해 폭력적인 isRelatedTo
이플로_살해 이플로_바람 isCausedBy
(팔이피플)이플로 이플로_살해 victimOfEvent
이플로_살해 차미미저택 isRelatedTo
스토리텔링
매미/희새 작가의 작품 세계 고찰-캐릭터분석
주연과 예희의 애증 관계
주연은 예희를 좋아하면서도 싫어하는 양가감정을 느낀다. 즉, 주연은 예희를 애증한다. 그녀를 우상화 하며 '완전한 선'으로 숭배하면서도 그녀를 은근히 얕보고 망가뜨리고 싶어한다. 이 관계는 이상화/탈이상화, 나르시시즘의 상처와 관계 있으며, 질투와 시기라는 감정과 밀접히 관계가 있다. 이런 감정과 관계는 꾸준히 인기 있어 왔고 문화콘텐츠에서 원형으로 재현되어왔다. 주연의 심리에 집중해 애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애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심리학 이론을 통해 알아보기
1. 이상화(Idealization)와 탈이상화(De-idealization) 이상화: 상대를 나보다 우월한 존재로 보며 ‘그 사람만이 완전하다’고 느끼는 상태 탈이상화: 상대의 허점을 보거나 좌절감을 느끼며 이상화가 깨지는 순간 연인이든 친구든, 친밀한 애착 관계를 가진 인간관계에서 처음엔 열광하다가 곧 실망하고 증오하게 되는 ‘애증 관계’가 만들어진다.
2. 멜라니 클라인의 양가감정 인간은 초기(생후 수개월)부터 어머니(초기 대상)를 사랑하고 미워하는 감정을 동시에 경험하고 이때 아이는 이 두 감정을 통합하지 못해 분열(split) 상태에 빠진다.
3. 하인츠 코헛, 오토 컨버그의 나르시시즘의 상처 주연은 예희의 성공으로 인해 자기애적 자아상이 손상됨“나는 가치 있는 존재여야 하는데, 왜 나보다 예희가 더 인기야?” 이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 예희를 파괴하거나 낮춤으로써 자기 가치를 복원하려는 행동을 보임
4. 적용
4-1. 과거 임신 소문 사건의 주연 심리 "예희는 너무 예쁘고 사교성 있어. 그녀는 최고야" →이상화 (Idealization): 예희를 자기보다 우월한 존재로 인식하고 숭배
"그렇지만 내가 가진 걸 못 가져서 너무 부럽고 내가 너무 작아 보여."
→열등감/시기심: 우상화된 존재에 대한 질투
"그런데 그녀는 비정상이야. 일탈에. 나같은 모범생과는 나중에 미래가 엄청나게 다를걸? 그런데 그녀가 고등학생임에도 임신했다고?
내가 더 나아보일 지경인데."
→합리화(Rationalization): 예희를 끌어내림으로써 자기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자기기만
"어쩔 수 없이 내가 도와줘야겠다. 베풀어줄게. 난 정상이니까."
→ 도덕적 우월감 (Moral superiority): 스스로의 열등감을 보상하기 위한 자아방어(나르시시즘의 상처에서 비롯)
"예희와 나만의 비밀이 생긴 것 같아 기쁜데 오히려? 다른 애들과 난 달라. 난 예희랑 비밀까지 공유하는 친밀한 진정한 친구라고."
→ 의존 욕구와 친밀 환상: 예희와의 독점적 관계를 통해 소속감, 중요성 확보(이상을 쫓음)
"그런데 주변 애들이 뭣도 모르면서 예희 얘기하는 거 너무 열받는다. 내가 한 번 떠들어볼까? 얘들아, 예희는 그런 애가 아니야."
→ 투사적 동일시 (Projective Identification): 예희를 도우면서 동시에 예희에게 자신을 동일시시키고 통제하려는 욕구
4-2. 1부 주연의 심리
핫한 인플루언서가 된 예희와 그녀를 따라 인스타그램을 하지만 인기가 없는 주연. 주연은 몰래 인스타 계정으로 예희의 안티/저격 계정을 만들면서도 겉으로는 예희와 친하게 지내고 그녀와의 친분을 과시함.
→ 나르시시즘의 상처, 양가감정
4-3. 2부 주연의 심리
주연이 브리트니최와 차미미와 함께 누명을 씌워 예희가 감옥에 가게 되고 이후 예희가 석방된다. 주연은 예희가 차미미와 브리트니최와 협력해 자신에게 복수하는 줄 알고 예희가 자존심도 없는 멋없는 인간이 되었다며 실망한다.
주연은 자신에게 복수 준비를 하는 예희에게 복잡한 감정을 느낀다. "난 널 정말 좋아했는데 왜 이러는 거야!"
→ 양가감정의 폭발: 그녀는 예희를 정말로 좋아했고, 동시에 질투했고, 조종하고 싶었으며, 결국 무너뜨렸음. 그런데 이제 예희가 복수를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녀의 '지배적 위치'를 위협하고 있음 “난 널 좋아했는데 왜 날 미워해? 왜 내가 공격당해야 해?”
→나르시시즘 손상에 따른 배신감: 주연은 자신이 중심인 서사를 만들고 있었음 ("나는 정상이고, 넌 불안정해. 나는 도와줬어")
그러나 예희의 복수는 주연에게 "내가 주인공이 아니었네?"라는 정서적 충격을 줌“난 너를 좋아했는데”라는 표현은 사실상 “넌 내가 생각한 대로 행동하지 않아. 그래서 실망이야.”라는 의미
이는 상대를 사랑한 게 아니라, 조종하고 싶었던 자기애적 애정이었다는 방증
→ 배신자의 자기기만(Betrayal Rationalization)과 자기합리화
주연은 자신이 누명을 씌우고 감옥에 보내놓고도, 예희가 자신에게 복수를 한다는 사실에 분노함. 이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예희를 과장되게 비난함으로써 죄책감을 회피하려는 전형적 반응
관계 요약
이상화 → 질투 → 조종 → 파괴
겉으로는 친밀, 속으로는 경쟁과 시기
주체와 객체의 역전 (조종하던 자가 조종당함)
양가감정과 자기애의 충돌
"내가 널 좋아했는데 왜 나를 배신해?"라는 왜곡된 감정의 터짐
유사한 문화콘텐츠 속 관계
1. 영화 <블랙 스완> (Black Swan, 2010) – 니나 & 릴리 니나는 릴리를 이상화하면서도 시기함. 겉으로는 친구인 척하지만, 무대 위 경쟁 속에서 질투와 자기 파괴로 이어짐.“넌 내가 되길 원하지?”라는 대사 → 투사, 조종, 애증의 복합 감정
2. 고전소설 <폭풍의 언덕>– 캐서린 & 히스클리프 서로에 대한 양가감정이 극대화됨 →“당신은 나의 영혼이고 지옥이야” → 예희와 주연의 애증적 서사와 유사
3. 드라마 <부부의 세계> – 지선우 & 여다경 여다경은 지선우를 이상화하면서도 조종하려 하고, 지선우는 복수를 통해 관계의 위계를 뒤집음. 애증, 우월감과 열등감, 관계 중독 → 주연의 심리와 매우 유사
차미미와 이플로의 관계
일명 "정병사람" "혐관" "애증" "피폐물"은 최근 웹소설, 웹툰 등에서 인기 있는 소재이다.
차미미와 이플로의 관계, 심리에 집중해 연인 관계에서 애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이플로와 차미미의 캐릭터를 분석해 이 소재들의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온톨로지
class 구성
Class | Definition | Remarks | 비고 | Example |
---|---|---|---|---|
Work | 작품 | 웹툰, 드라마 | 이 위키 문서에 사용되는 작품 | (웹툰)마스크걸, (드라마)마스크걸 |
Character | 작품 속 인물 | 작품 안에 등장하는 인물 | 김예희, 차미미 | |
Person | 인물 | 연출자, 작가, 원작 소설의 저자, 제작자, PD 등 | 매미, 희새 | |
SourceWork | 원작 | 드라마의 웹툰 원작 | 마스크걸 | |
Place | 장소 | 사건이 일어난 공간적 배경 | 신도시, 노블 캐슬 아파트, 차미미 저택 | |
Object | 물품 | 인물과 관련 있는 유물, 물품 사건의 증거물이 되기도 한다, | 반대 사인 명부, 버킨백 | |
Effect | 효과 |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기대되는 효과 | 집값상승, 집값하락 | |
Event | 사건 | 작품 속 중심 사건 | 박주연 살인 사건, 이플로 살인 사건 | |
Group | 단체 | 캐릭터가 소속된 단체 | 진분홍회, 노블캐슬부녀회 | |
Context | 사회적 맥락 | 작품의 주요 소재에 대한 사회적 맥락 | 수도권집값문제, 외모지상주의, 인플루언서영향력, sns중독 | |
Theme | 주제 | 작품의 주제 | 복수의 허망함, 추악한 인간의 모습 | |
Emotion | 정서 | 작품 전반의 정서 | 찝찝함, 파멸적인, 불쾌한, 자극적인 | |
Background | 캐릭터 배경 | 각 캐릭터의 과거 성장 환경, 영향 끼친 중요한 사건 | 혼외자, 빈곤한_환경, 부유한_환경, 자수성가 |
relation 구성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Example |
---|---|---|---|---|
writer | Work | Person | A의 작가는 B이다 | 위대한 방옥숙 - [writer] → 매미/희새 |
appearsIn | Character | Work | A는 B에 등장한다 | 방옥숙 - [appearsIn] → 위대한방옥숙 |
hasSon | Character | Character | A의 아들은 B이다 | 방옥숙 - [hasSon] → 이동훈 |
hasDaughter | Character | Character | A의 딸은 B이다 | 방옥숙 - [hasDaughter] → 이재희 |
adopt | Character | Character | A는 B를 입양했다 | 박주연 - [adopt] → 박건우 |
hasHusband | Character | Character | A의 남편은 B이다 | 박주연 - [hasHusband] → 유성국 |
hasBrother | Character | Character | A의 남자형제는 B이다 | 유채린 - [hasBrother] → 박건우 |
hasSister | Character | Character | A의 여자형제는 B이다 | 이동훈 - [hasSister] → 이재희 |
hasBoss | Character | Character | A의 상사는 B이다 | 박건우 - [hasBoss] → 박주연 |
isPartnerOf | Character | Character | A는 B의 연인이다 | |
isAffairWith | Character | Character | A는 B와 바람피운다 | 유성국 - [isAffairWith] → 이소민 |
obey | Character | Character | A는 B에게 복종한다 | 브리트니최 - [hasSister] → 차영훈 |
isCausedBy | Event | Event,Object | 사건A는 B로 인해 일어났다 | |
participatesIn | Character | Event | A는 사건B에 참여했다 | 예사모 - [participatesIn] → 김예희복수계획 |
leads | Character | Event,Action | A는 사건B를 주도하였다 | 박주연 - [leads] → 김예희누명사건 |
isPartOf | Event | Event,Action | 사건A는 사건B에 포함된다 | 차미미살인 - [isPartOf] → 김예희복수계획 |
isRelatedTo | ANY | ANY | A와 B는 관련이 있다 | |
isFakeEvidenceOf | Object | Event | A는 상사는 사건B의 가짜 증거이다 | 버킨백 - [isFakeEvidenceOf] → 김예희투옥사건 |
isEvidenceOf | Object | Event,Action | A는 상사는 사건B의 증거이다 | 버킨백 - [isFakeEvidenceOf] → 김예희투옥사건 |
isBelongTo | Character | Group | A는 단체B에 소속되어있다 | 김예희 - [isBelongTo] → 진분홍회 |
oppose | Character,Group | Event | A는 사건B에 반대한다 | 노블캐슬부녀회 - [oppose] → 재개발 |
agree | Character,Group | Event | A는 사건B에 반대한다 | 윤태웅 - [agree] → 재개발 |
live | Character | Place | A는 B에 거주한다 | 방옥숙 - [live] → 노블캐슬아파트 |
Protect | Character | Character,Object,Place | A는 B를 지킨다 | 노블캐슬아파트부녀회 - [Protect] → 노블캐슬아파트집값 |
isAmbivalent | Character | Character | A는 B를 애증한다 | 박주연 - [isAmbivalent] → 김예희 |
isThemeOf | Theme | Work | A는 B의 주제이다 | 팔이피플 - [isThemeOf] → 복수의허망함 |
tendToBe | Character | Personality | A는 B인 성격이다. | 탁남철 - [tendToBe] → 속물적인 |
hasBackgroundIn | Character | Background | A는 B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 | 차미미 - [hasBackgroundIn] → 혼외자 |
node 구성
Class | Definition | Node |
---|---|---|
Work | 작품 | (웹툰)마스크걸, (드라마)마스크걸, (웹툰)위대한 방옥숙, (웹툰)팔이피플 |
Character | 작품 속 인물 | (팔이피플)박주연, (팔이피플)김예희, (위대한방옥숙)방옥숙, (위대한방옥숙)윤태웅, (마스크걸)김모미, (마스크걸)김경자 |
Person | 인물 | 매미, 희세 |
Place | 장소 | 희세2지구, 노블캐슬아파트, 차미미저택 |
Object | 물품 | 조합해산동의서, 버킨백 |
Effect | 효과 | 집값상승, 집값하락, 인기하락, 인기상승 |
Action | 사건 | 복수, 살인, 누명, 폭행, 고문, 위협 |
Event | 사건 | 김예희투옥, 희세2구재개발, 폭로방송 |
Group | 단체 | 진분홍회, 예사모, 노블캐슬아파트부녀회, 비대위, 재개발조합 |
Context | 사회적 맥락 | 수도권집값문제, 외모지상주의, 인플루언서의_영향력, sns중독, 가정해체문제, 성공을_위한_비인간적_세태 |
Theme | 주제 | 복수의 허망함, 추악한_인간상, 이기적인_인간의_파멸, 연대의_중요성 |
Emotion | 정서 | 찝찝함, 파멸적인, 불쾌한, 자극적인, 반면교사의, 반성적인 |
Personality | 성격 | 이기적인, 속물적인, 자극만을_추구하는, 똑똑한, 단순한, 냉혈한인, 따뜻한_마음, 자유로운 |
네트워크 그래프
```mermaid
graph LR
A[시작] --> B[중간 단계] B --> C[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