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정보학 입문 202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강의 일정)  | 
				 (→강의 일정)  |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차수 || 일자 || 강의 주제 || 비고  | ! 차수 || 일자 || 강의 주제 || 비고  | ||
|-  | |-  | ||
| + | | 1  || 2024/03/08  || 제1강 디지털 큐레이션과 디지털 아카이브 ||  | ||
|-  | |-  | ||
| − | |   | + | | 2  || 2024/03/15  || 1-1  디지털 큐레이션: 디지털 인문학의 실천방법 ||  | 
|-  | |-  | ||
| − | |   | + | | 3  || 2024/03/22  || 1-2  디지털 큐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와 기술 ||  | 
|-  | |-  | ||
| − | |   | + | | 4  || 2024/03/29  || 1-3  시맨틱 데이터 모델링의 첫걸음 ||  | 
|-  | |-  | ||
| − | |   | + | | 5  || 2024/04/05  || 제2강 디지털 큐레이션의 현장 ||  | 
|-  | |-  | ||
| − | |   | + | | 6  || 2024/04/12  || 2-1  '한양도성 타임머신'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  | 
|-  | |-  | ||
| − | |   | + | | 7  || 2024/04/19  || 현장학습 ||  | 
|-  | |-  | ||
| − | |   | + | | 8  || 2024/04/26  || 2-2  '한국 바로 알리기'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  | 
|-  | |-  | ||
| − | |   | + | | 9  || 2024/05/03  || 2-3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 
|-  | |-  | ||
| − | |   | + | | 10  || 2024/05/10  || 제3강 디지털 큐레이션을 위한 정보기술 인프라 ||  | 
|-  | |-  | ||
| − | |   | + | | 11  || 2024/05/17  || 3-1  한국문화 시맨틱 데이터 온톨로지 ||  | 
|-  | |-  | ||
| − | |   | + | | 12  || 2024/05/24  || 3-2  디지털 큐레이션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운용 ||  | 
|-  | |-  | ||
| − | |   | + | | 13  || 2024/05/31  || 3-3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환경: 정보 시스템 구축과 운용 ||  | 
|-  | |-  | ||
| − | + | | 14  || 2024/06/07  || 제4강 인공지능과 디지털 큐레이션 ||  | |
| − | + | ||
| − | | 14  || 2024/06/07  || 제4강 인공지능과 디지털 큐레이션   | + | |
|-  | |-  | ||
| 15  || 2024/06/14  || 과제 발표 및 평가 ||  | | 15  || 2024/06/14  || 과제 발표 및 평가 ||  | ||
2024년 3월 8일 (금) 05:22 판
강좌 개요
- 강좌명: 인문정보학 입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 2024년 1학기 수업
 - 담당 교수: 김현[1]
 - 강의실: 문형관 103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세미나실)
 - 디지털 강의실: http://dh.aks.ac.kr/Edu/wiki, ftp://digerati.aks.ac.kr (User ID: student)
 
인문지식의 학제적 소통과 사회적 보급을 위한 도구로서 정보 기술을 이해하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강좌이다. 미래의 정보 통신 기술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회적 비전을 파악하고, 그 가운데 인문과학이 담당해야 할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지, 그 임무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문지식의 연구가 어떻게 변화해야 되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그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인문학 연구자들이 도입·활용해야 할 정보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강의 일정
| 차수 | 일자 | 강의 주제 | 비고 | 
|---|---|---|---|
| 1 | 2024/03/08 | 제1강 디지털 큐레이션과 디지털 아카이브 | |
| 2 | 2024/03/15 | 1-1 디지털 큐레이션: 디지털 인문학의 실천방법 | |
| 3 | 2024/03/22 | 1-2 디지털 큐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와 기술 | |
| 4 | 2024/03/29 | 1-3 시맨틱 데이터 모델링의 첫걸음 | |
| 5 | 2024/04/05 | 제2강 디지털 큐레이션의 현장 | |
| 6 | 2024/04/12 | 2-1 '한양도성 타임머신'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 |
| 7 | 2024/04/19 | 현장학습 | |
| 8 | 2024/04/26 | 2-2 '한국 바로 알리기'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 |
| 9 | 2024/05/03 | 2-3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
| 10 | 2024/05/10 | 제3강 디지털 큐레이션을 위한 정보기술 인프라 | |
| 11 | 2024/05/17 | 3-1 한국문화 시맨틱 데이터 온톨로지 | |
| 12 | 2024/05/24 | 3-2 디지털 큐레이션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운용 | |
| 13 | 2024/05/31 | 3-3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환경: 정보 시스템 구축과 운용 | |
| 14 | 2024/06/07 | 제4강 인공지능과 디지털 큐레이션 | |
| 15 | 2024/06/14 | 과제 발표 및 평가 | 
수강생
- 류현정 교육학 석사과정
 - 구현회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 김서윤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 조하영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 임이로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 정송이 인문정보학 박사과정
 - 신은선 인문정보학 박사과정
 - 조경민 인문정보학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