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의 역사문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bswhdgns08 (토론 | 기여) (→삼국시대 전후의 강릉) |
Dbswhdgns08 (토론 | 기여)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동예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3세기 후반에 편찬된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찾을 수 있다<ref>"예는 남쪽으로 진한, 북쪽으로 고구려/옥저와 접하였고, 동쪽으로 큰 바다에 닿았으니, 조선의 동쪽이 모두 예의 땅이다"</ref>. 당시 동예의 위치는 북으로 함경남도 정평에서 남으로 강원도 영동지역에 걸치는 동해안 일대로 비정되고 있으니, 지금의 강릉은 동예에 속해있었다고 볼 수 있다. | 동예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3세기 후반에 편찬된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찾을 수 있다<ref>"예는 남쪽으로 진한, 북쪽으로 고구려/옥저와 접하였고, 동쪽으로 큰 바다에 닿았으니, 조선의 동쪽이 모두 예의 땅이다"</ref>. 당시 동예의 위치는 북으로 함경남도 정평에서 남으로 강원도 영동지역에 걸치는 동해안 일대로 비정되고 있으니, 지금의 강릉은 동예에 속해있었다고 볼 수 있다. | ||
− | 한반도에 삼국체제가 형성되면서부터의 영동지방은 신라와 고구려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신라는 일찍부터 동해안 영동지방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는데, 문헌상으로 신라의 영향력이 영동지방에 최초로 미치는 것은 2세기 무렵이다<ref>파사왕 23년(102) 8월의 기사에서 실직국과 음즙벌국 사이에 경계 다툼이 일어나 파사왕에게 이에 대한 판결을 요청였다고 한다. 이 기사에서 등장한 음즙벌국과 실직국의 분쟁이 신라가 동해안 해상권을 장악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는 견해가 있다.</ref>. | + | 한반도에 삼국체제가 형성되면서부터의 영동지방은 신라와 고구려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신라는 일찍부터 동해안 영동지방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는데, 문헌상으로 신라의 영향력이 영동지방에 최초로 미치는 것은 2세기 무렵이다<ref>파사왕 23년(102) 8월의 기사에서 실직국과 음즙벌국 사이에 경계 다툼이 일어나 파사왕에게 이에 대한 판결을 요청였다고 한다. 이 기사에서 등장한 음즙벌국과 실직국의 분쟁이 신라가 동해안 해상권을 장악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는 견해가 있다.</ref>. 강릉일대가 언제 신라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내물왕 42년(397) 이전즈음의 시기로 보인다. 북쪽 변경의 하슬라에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굶주리자 왕이 죄수들을 놓아주고 1년간의 세금을 면제해 주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강릉이 신라의 역역으로 편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강릉을 비롯한 동해안 일대는 신라와 고구려간의 군사적 대립상황에 따라 그 지배권이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다.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의 확장에 따라 하슬라성, 실직성 등의 동해안 일대는 고구려에게 점령당하였다. 신라와 고구려의 동해안 국경선은 오늘날 흥해지방에 해당되는 미질부성이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강릉은 하서량(河西良)이라 기술되어 있음이 확인 가능하다. |
+ | |||
+ | 신라가 고구려에게 빼앗긴 동해안 영토를 다시 수복하는 것은 6세기 초 지증왕 때에 와서이다. 지증왕 6년(505)에 주군현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제일 먼저 실직주를 설치하고 거기에 신라에서 가장 명망 있는 인물인 이사부를 군주로 파견하였다. 7년 후에는 이사부를 실직보다 북쪽에 위치한 하슬라주 군주로 파견하였다. 선덕영왕 8년(639)에는 하슬라주를 폐지하고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북소경을 설치하였으나, 무열왕 5년(658)에 이르러 하슬라 지역이 말갈과 이웃하게 됨에 따라 불안한 상태가 계속되자 소경을 폐지하고 군사적 성격의 주(州)체제로 환원하였다. 이 때 하슬라주는 국방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었기에 6정(停) 중의 하나인 하서정이 설치되어 있었다<ref><삼국사기>권35, 지리지2</ref>. | ||
=강릉의 문화= | =강릉의 문화= |
2022년 9월 29일 (목) 23:13 판
강릉의 역사
삼국시대 전후의 강릉
학계의 역사/고고학적 지표조사와 발굴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강릉 지역에서는 구석기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고 신석기시대를 거쳐 청동기/철기시대의 단계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로 전해지고 있는 고조선은 한(漢)나라의 침략으로 멸망당하였는데, 이 때 한나라는 고조선의 세력권 안에 한사군(낙랑/진번/임둔/현도)을 설치하게 된다. 한사군이 처음 설치되었을 때 영동지역은 임둔군에 편제되었으나 군현 경영의 어려움으로 인해 기원전 82년에 임둔군의 15개 현 가운데 일부는 현도군에 이속되고 나머지는 폐지되었다. 이후 토착세력의 저항으로 기원전 75년에 현도군이 중국 동북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자, 현도군에 이속되었던 현 중 단단대령의 동쪽 영동7현[1]>은 새로 설치된 낙랑동부도위의 관할 아래로 들어갔다. 기원전 30년에 이 낙랑동부도위가 폐지되면서 영동7현은 중국의 통치로부터 벗어나 독립된 정치체를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 무렵 강원 영동지역에서 동예(東濊)라는 초기국가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확인된다.
동예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3세기 후반에 편찬된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찾을 수 있다[2]. 당시 동예의 위치는 북으로 함경남도 정평에서 남으로 강원도 영동지역에 걸치는 동해안 일대로 비정되고 있으니, 지금의 강릉은 동예에 속해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한반도에 삼국체제가 형성되면서부터의 영동지방은 신라와 고구려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신라는 일찍부터 동해안 영동지방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는데, 문헌상으로 신라의 영향력이 영동지방에 최초로 미치는 것은 2세기 무렵이다[3]. 강릉일대가 언제 신라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내물왕 42년(397) 이전즈음의 시기로 보인다. 북쪽 변경의 하슬라에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굶주리자 왕이 죄수들을 놓아주고 1년간의 세금을 면제해 주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강릉이 신라의 역역으로 편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강릉을 비롯한 동해안 일대는 신라와 고구려간의 군사적 대립상황에 따라 그 지배권이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다.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의 확장에 따라 하슬라성, 실직성 등의 동해안 일대는 고구려에게 점령당하였다. 신라와 고구려의 동해안 국경선은 오늘날 흥해지방에 해당되는 미질부성이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강릉은 하서량(河西良)이라 기술되어 있음이 확인 가능하다.
신라가 고구려에게 빼앗긴 동해안 영토를 다시 수복하는 것은 6세기 초 지증왕 때에 와서이다. 지증왕 6년(505)에 주군현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제일 먼저 실직주를 설치하고 거기에 신라에서 가장 명망 있는 인물인 이사부를 군주로 파견하였다. 7년 후에는 이사부를 실직보다 북쪽에 위치한 하슬라주 군주로 파견하였다. 선덕영왕 8년(639)에는 하슬라주를 폐지하고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북소경을 설치하였으나, 무열왕 5년(658)에 이르러 하슬라 지역이 말갈과 이웃하게 됨에 따라 불안한 상태가 계속되자 소경을 폐지하고 군사적 성격의 주(州)체제로 환원하였다. 이 때 하슬라주는 국방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었기에 6정(停) 중의 하나인 하서정이 설치되어 있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