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이한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정재 :   | + | == 정재 : 의식 요소로서의 정재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  | 
* 정해년진찬에서 행해진 정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 정해년진찬에서 행해진 정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
| − | + | = 온톨로지 설계 =  | |
| − | * 온톨로지 설계   | + | * 의식으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 절차, 음악, 정재의 시계열적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 네트워크와 별개의 Process 네트워크 설계  | ** 절차, 음악, 정재의 시계열적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 네트워크와 별개의 Process 네트워크 설계  | ||
** 상위 개념 (Story) - 중간 개념 (Topic) - 하위 개념 (Episode)를 수직-수평으로 연결 (피라미드 형태로 시각화)  | ** 상위 개념 (Story) - 중간 개념 (Topic) - 하위 개념 (Episode)를 수직-수평으로 연결 (피라미드 형태로 시각화)  | ||
| − | ** 각 노드들은   | + | ** 각 노드들은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노드와 연결  | 
| + |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
| + | ** 정재 별 여령 구성, 정재에 따른 특징적인 물품 & 도열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5433 창사] (있는 경우), 모든 정재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물품 & 도열 등  | ||
| + | ** 복식, 음악, 악장 등의 타 연구 내용과 연결  | ||
2021년 5월 14일 (금) 01:54 판
정재 : 의식 요소로서의 정재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  정해년진찬에서 행해진 정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온톨로지 설계
 
 
-  데이터 소스
-  권수 
- 연향 시 행사 광경, 공연된 각종 정재의 모습 (무대연출 포함), 반주음악, 사용된 악기, 정재에 쓰인 의장, 전악, 악공, 여령의 복식
 
 
 -  권수 
 
-  권일 
- 의주 : 대왕대비전이 주빈인 정월 17일의 내진찬과 야진찬, 왕이 주빈인 정월 28일의 회작과 야연, 왕세자가 주빈인 정월 29일의 회작과 야연의 의식 절차와 그에 수반되는 악곡과 정재
 
 
-  권일 
 
| *1887년(고종24) 정월 27일 내진찬에서 절차에 따른 음악과 정재에서 정재가 추어지는 순서 | 
 *정재목록
 
  | 
-  권삼
- 공령 : 정재 종목 및 악기 편성
 - 악기풍물 : 악기와 정재 도구
 
 
-  권삼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온톨로지 설계
-  의식으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절차, 음악, 정재의 시계열적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 네트워크와 별개의 Process 네트워크 설계
 - 상위 개념 (Story) - 중간 개념 (Topic) - 하위 개념 (Episode)를 수직-수평으로 연결 (피라미드 형태로 시각화)
 - 각 노드들은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노드와 연결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정재 별 여령 구성, 정재에 따른 특징적인 물품 & 도열 & 창사 (있는 경우), 모든 정재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물품 & 도열 등
 - 복식, 음악, 악장 등의 타 연구 내용과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