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에 따른 염료의 색채별 염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음양오행)
 
잔글
17번째 줄: 17번째 줄:
 
:중간색(中間色)은 하위의 색으로 여겼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윗도리는 '''양''', 아랫도리는 '''음'''이므로 양의 색인 적색을 피해 음의 색인 홍색을 다홍치마나 속옷의 색에 이용하였다.
 
:중간색(中間色)은 하위의 색으로 여겼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윗도리는 '''양''', 아랫도리는 '''음'''이므로 양의 색인 적색을 피해 음의 색인 홍색을 다홍치마나 속옷의 색에 이용하였다.
  
==='''적색계 염료'''===
+
'''적색계 염료'''
  
  
==='''청색계 염료'''===
+
'''청색계 염료'''
  
  
==='''황색계 염료'''===
+
'''황색계 염료'''
  
  
==='''자주색계 염료'''===
+
'''자주색계 염료'''
  
  
==='''갈색계 염료'''===
+
'''갈색계 염료'''
  
  
==='''흑색계 염료'''===
+
'''흑색계 염료'''
  
  
==='''녹색계 염료'''===
+
'''녹색계 염료'''
  
  

2020년 12월 2일 (수) 19:18 판

활옷
(割衣, 豁衣)
[[file:
활옷.jpg
|360px|thumb|center|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표명칭 활옷
한자표기 割衣, 豁衣
이칭별칭 화의
착용신분 공주,옹주
착용성별 여자



선조들은 음양오행이라는 사상적 근거를 바탕으로 독특한 색채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이것은 우리 색채 문화의 밑바탕을 이룬다.
전통 복식의 색깔을 논의할 때 집중적으로 언급되는 것은 방위에 따른 오방색이다.
의복 배색에도 음양의 조화를 추구하였는데, 정색(正色)인 청색*적색*황색*흑색*백색은 주로 저고리, 겉옷, 안감보다는 겉감에 사용하였다.
중간색(中間色)은 하위의 색으로 여겼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윗도리는 , 아랫도리는 이므로 양의 색인 적색을 피해 음의 색인 홍색을 다홍치마나 속옷의 색에 이용하였다.

적색계 염료


청색계 염료


황색계 염료


자주색계 염료


갈색계 염료


흑색계 염료


녹색계 염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