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무청 관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110번째 줄: | 110번째 줄: | ||
| A member B | | A member B | ||
|- | |- | ||
| − | | | + | | [[경무청(경무청 관제)|경무청]] |
| − | [[경무청 관제|경무청]] | + | |
| 경무관 | | 경무관 | ||
| A에 B가 소속된다 | | A에 B가 소속된다 | ||
2020년 11월 15일 (일) 04:09 판
| 1895년 경무청 조직체계(警務廳) | |
| 대표명칭 | 1895년 경무청 조직체계 |
|---|---|
| 한자표기 | 警務廳 |
| 영문명칭 | Gyeongmucheong system |
| 이칭 | 경무청 관제 |
| 유형 | 단체 |
| 창립시대 | 조선~대한제국 |
| 창립일 | 1894.07.14. |
| 해체일 | 1900.06.13. |
| 담당업무 | 경찰사무 |
| 관련기관 | 내무아문, 경부, 경시청 |
정의
경무청 체제(1894.07.14. ~ 1900.06.13.)에서의 경찰 관제 변화 정리이다.
| 분류 | 제정 | 칙령 | 내용 | 관보 |
|---|---|---|---|---|
| 관제 (官制) |
1894.07.14. | - | <경무청관제직장> 반포로 경무청 창설 |
개국503년 7월 14일 |
| 1895.04.29. | 제85호 | 경무청관제 | 개국504년 5월 1일 | |
| 1895.07.15. | 제137호 | 경무청관제 개정 | 개국504년 7월 15일 |
내용
| 1894년 |
|
1895년 |
|
이때의 직급은 종래의 1~9품까지였던 것을 칙임관·주임관·판임관으로나눈다. 경무청관제와 함께 반포된 ‘문관임명규정(文官任命規定)’에 의하면, 칙임(勅任)은 정1품부터 종2품까지이고, 주임(奏任)은 3품부터 6품까지, 판임(判任)은 7품부터 9품까지이다.[2] |
지식관계망
클래스
|
|
|
|
관계정보
| 항목 A | 항목 B | 관계 | Relation |
|---|---|---|---|
| 내무아문 |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A member B |
| 경무청 | 경무관 | A에 B가 소속된다 | A member B |
| 경무청 관제 | 총순 | A에 B가 소속된다 | A member B |
| 경무청 관제 | 순검 | A에 B가 소속된다 | A member B |
| 경무관 | 상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wears B |
| 경무관 | 예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wears B |
| 총순 | 상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wears B |
| 총순 | 예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wears B |
| 순검 | 상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wears B |
| 상복 | 하복 | A는 B를 포함한다 | dcterms:hasPart |
| 상복 | 동복 | A는 B를 포함한다 | dcterms:hasPart |
| 상장 | 상복 |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 A sameAs B |
| 예장 | 예복 |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 A sameAs B |
| 경관표상식 | 喪章 |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 A sameAs B |
주석
- ↑ 『高宗實錄』 開國 503년(1894) 7월 14일.
- ↑ 『관보』 開國 503년(1894) 7월 14일: “文官授任式. 第一條, 文官授任 一曰勅任 自正一品至從二品二曰奏任 自三品至六品 三曰判任 自七品至九品.”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議奏)』, 『일성록(日省錄)』, 『주본(奏本)』, 『칙령(勅令)』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