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왕골화문석 문양/제작방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 가늘게 쪼갠 청올치 두가닥을 꼬아 만든 노끈을 고드랫돌에 감는다. | * 가늘게 쪼갠 청올치 두가닥을 꼬아 만든 노끈을 고드랫돌에 감는다. | ||
* 청올치 노끈이 감긴 고드랫돌 두 개를 연결하여 자리를 앞뒤에 매단다. | * 청올치 노끈이 감긴 고드랫돌 두 개를 연결하여 자리를 앞뒤에 매단다. | ||
− | * 왕골을 일정한 굵기로 엮는다. | + | * 왕골을 일정한 굵기로 엮는다. <ref> 강화화문석문화관 http://www.ghss.or.kr/src/article.php?menu_cd=0804010100</ref> |
2019년 8월 15일 (목) 20:00 판
목차
개요
강화 왕골화문석은 전국에서 유일한 왕골 백색자리로 자리틀에 백색 왕골과 물을 들인 왕골을 덧겹쳐 엮어서 무늬에 따라 잘라내면서 제직한다.
해설
화문석 재료 손질
왕골(완초)는 한국 특유의 작물로 4월 중순부터 5월 초순 경에 포기 사이를 15cm 정도로 옮겨 심었다가 8월 상순부터 9월 사이에 수확한다.br/>
- 왕골는 8월 중순 이전이면 채취되며 줄기뽑기가 끝나는 대로 분할 작업을 하여 건조시킨다.
- 왕골를 건조시킬 때는 삼각형으로 된 완초의 각(角)을 세 쪽으로 나누어 쪼개며 햇볕에 말리는 도중에 왕골는 습기와 비에 약해서 날씨가 궂거나 비가 오면 습기가 스며들어 썩기가 쉬워 본래의 제 빛을 잃게 되기 때문에 볕에 오랫동안 바짝 말리기 위해 이른 새벽부터 널어야 한다.
- 한편 말릴 때 찬이슬이 내리는 3∼4일간 말려야 되는데, 그것은 줄기 아랫부분은 희고, 윗부분은 푸르기 때문에 윗부분만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리는 과정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그렇게 해야만 누런 색이 하얗게 바래져 윤기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주: 햇볕을 이용한 자연정련 및 표백 과정으로 볼 수 있다)
- 이슬을 못 맞힐 때는 물이라도 축여서 완전히 바래게 한 뒤 다시 물에 넣어 골을 부드럽게 하고 또 똘똘 말린 것도 편다.
- 이어서 다시 햇볕에 바짝 말리는데 보통 90∼100쪽씩 엮어서 널어 놓는다. 이 건조과정에서 미흡하면 변질하기 쉬운 어려운 점이 있다.[1]
화문석 염색 작업
- 품질이 좋은 왕골의 중간용의 대를 사용하여 문양을 내는 데 사용되는 왕골에는 염색을 한다.
- 중간대 가장자리를 젖어 있는 상태에서 30∼50cm정도로 잘라 추려서 하루 종일 우물이나 날물에 담가서 그 이튿날 칼로 속을 훑어 낸 것을 분량에 따라 염색한다. 이 때 외피(外皮)만 남겨 놓아야 염료(染料)가 적게 들고 맑은 색깔을 얻을 수 있다.
- 왕골에 들이는 염법(染法)은 목적하는 색상(色相)의 염료를 적당한 농도로 용해하여 염색을 만든 다음 완초를 넣어 염색하는 침염법(浸染法)이다.
- 한번 염색물을 들일 중간대는 왕골의 피와 피가 없는 깨끗하고 품질이 좋은 것이라야 색이 날지 않는다.
- 물들이는 색깔은 문양에 따라 색도를 정해 쓰기 좋게 한 단씩을 한 죽으로 엮어 습기가 차지않는 건조한 곳에 걸어 놓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쓴다.
- 시골에서는 다락이나 시렁 위에다 보관을 하고 염색을 할 때는 물감을 먼저 물에 풀어서 색의 농도를 맞춘 다음 온도조절을 하여 왕골의 중간대를 담근 다음 골고루 뒤집어 제쳐서 솥뚜껑을 닫고 100℃로 완전히 끊인 후 왕골를 건져 내고 찬물에 수세를 해서 말린다.
- 화학염료(인공 염료)를 사용할 경우는 끊는 물에 물감을 먼저 넣고 왕골을 넣어 삶는다. 이때 물이 너무 뜨거우면 얼룩이 지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왕골을 넣어 삶는 시간은 색깔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1분에서 2분 정도 걸리는 것에는 초록색, 노랑색 파랑색이 있으며, 5분 정도 걸리는 것에는 빨간색, 주황색이 있다. 적당히 삶아진 것은 건져내어 긴 줄에 걸치거나 바닥에 펼쳐 놓아 건조를 시킨다. [2]
화문석 색상
문양을 내는 데 사용되는 왕골에는 염색을 해야 하는데, 주로 중간용의 대가 염색용으로 이용되며, 천연재료로 화문석의 문양 색깔을 내는 데 사용되는 염료는 다음과 같다.
- 회색(灰色)과 흑색(黑色) : 떡갈나무 껍질을 벗겨 날물에 담가 두었다가 따뜻한 아랫목에다 놓고 하루이틀이 지나면 색깔이 우러나와 엷은 회색이 되며 더 오래 두면 흑색이 된다.
- 적색(赤色) : 다목나무를 쪼개 속의 붉은 부분을 날물에 담가 따뜻한 아랫목에 두고 5∼10일이 지나면 꺼내 사용하기도 하며, 완초에 물들이고자 할 때는 삶아서 붉은 색을 추출해 사용했다.
- 황색(黃色) : 소방목(蘇芳木)의 뿌리에서 황색의 염료를 추출하여 사용했다. 흰색만큼 이용도가 높았으며 고귀(高貴)의 상징으로서 왕실용(王室用)으로 애용되었다.
- 진황(眞黃) : 치자나무에 맺은 열매 속의 씨덩어리를 물에 담가서 으깨면 진한 황색이 우러나오는데, 색의 농도는 물에 담가 놓은 시간의 장단(長短)에 의하여 달라진다.
- 자적(紫赤) : 일명 지초(芝草)라 불리우는 자초(紫草)를 꺽어 보면 색이 희고 매화반점이 박힌 것이 좋은 것인데, 살짝 겉가루와 속가루를 따로 받아 반죽하는 체로 쳐 시루떠 반죽만큼 물을 주어 많이 저어서 덩어리가 생기거든 단물에 풀어 담갔다가 하룻밤 재운 다음 좋은 불을 데워 밥소래에 지초를 담근 것을 국자로 하나씩 타 겉가루 물은 뜨게 해서 굵은 명주를 들이는 방법과 같으며, 노란 재의 첫물을 따로 받아 위를 덮을 때 쓰고 나중 물은 먼저 쓰되 돗자리를 펴고 멍석을 깔아 명개를 낱낱이 다 턴 후 잿물에 두어 번 골고루 주물러 짠다. 잿물에 타기 전 마지막 들인 물에 넣어 씻어 낸 후 다시 5번 물에 이긴 다음 또 재를 씌우고 씻기를 전과 같이 해서 완초(莞草)를 큰 가마솥에다 넣고 삶아 건져 내 응달로부터 서서히 햇볕에 말린다. 그래야만 염색이 날지 않으며 혼합색으로 완초에 물을 들일 수 있다.
- 남(藍) : 서늘한 날을 가리어 물들이되 쪽잎을 따서 물에 담그고 큰 바가지에 쪽을 돌로 세워 놓고 물을 쳐 가며 힘써 갈아 조빙하여 체에 다른 그릇을 받쳐 완초에 물들이되, 빛의 선도(鮮度)를 살리려면 물을 타지 말고 앞물을 받아 들여 냉수에 얼음을 넣어 여러 번 헹군 다음 다시 얼음에 담가 두면 된다. 말릴 때는 음지에서 통풍을 이용하여 되도록 빨리 건조시킨다.
- 두록(豆綠) : 황백(黃栢)나무 껍질의 두꺼운 것을 잘게 뜯어 한 번 씻어 냉수에 담가 서늘한 데 달포 가량 두어 진이 많이 우러나 물이 미끄럽고 걸거든 완초에 염색을 한다.
- 반물 : 쪽잎 성한 것을 가리어 물을 부처 쪽대를 씻어 위를 덮고 정한 돌로 눌러 두었다가 다음날 하루가 됐을 때 꺼내 물을 쏟으면 약간 푸른 빛을 띠는데, 이 때 명아주 잿물을 받아 두었다가 그 물에 섞고 쪽대를 왼손으로 저으면 푸른 꽃거품이 일게 될 때 완초를 곧바로 염색하면 된다.[3]
(주:최근에는 화학염료로 염색한다)
화문석 제작
- 화문석 무늬 디자인을 먼저 그래프 위에다 그려놓는데, 이는 정확한 날을 세어야 하기 때문이다.
- 칫수에 따라 고드레를 골라 자리들에다 얹는다.
- 5자 5푼 5리를 짤 경우 고드레가 108∼109날, 6자 6푼으로 짤 경우 고드레가 99∼100날, 6자 6푼 5리로 짤 경우 고드레가 90∼92날 앉는다. 자리의 넓이에 따라 굵어지고 좁아지며 날수도 적고 많음이 분리되고 날 한 날에 고드레가 양쪽에 하나씩 2개가 달려야 한다.
- 자리를 매 올라가기 전 그릇에다 물을 떠다 놓고 완초(莞草)를 약간 담갔다 꺼내는데, 약간 축축해져 부들부들할 때 매는 이유는, 왕골가 마르면 갈라져 부서지고 바짝 펴지지 않으므로 주름이져서 쭈글쭈글해지기 때문에 반드시 축여서 맨다.
- 날실로는 나일론실을 준비하여 고드렛돌에 감아 놓는다. 예전에는 칡넝쿨을 가공하여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나일론실을 사용한다.
- 고드랫돌에 감긴 날실 두개를 하나로 묶어 1.5cm 간격으로 자리틀을 매단다.
- 왕골 겉감과 솔감을 한데 모아서 엮고 무늬는 도안에 따라 색 왕골을 덧겹치고 엮어서 무늬에 따라 잘라낸다.
- 휘갑(가장 자리가 풀리지 않도록 꿰매는 일)은 두쪽 왕골을 남겨두고 세번째 왕골을 엮어 안감 속으로 밀어 넣고 휘감아 엮는다.
- 화문석이 다 짜여지면 나일론실로 매듭을 지어 끝을 맺은 후 완성시킨다. [4][5]
화문석 문양
- 호문양(虎紋樣) : 호문양(虎紋樣)은 학(鶴)이나 까치를 동반해서 잘 표현되며, 이 밖에도 대나무ㆍ소나무ㆍ바위 등이 어우려져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패턴은 민화(民畵)에서도 보이고 있다.
- 원앙과 봉황 : 바깥사슬과 안사슬을 지어 놓고 문자를 좌우사방에 배치, 원앙을 짝지어 부부애를 상징하는 무늬로 많이 사용되었다. 길상적(吉祥的) 의미를 지닌 봉황문은 아름다운 색채가 곁들여져 화문석에 즐겨 사용되었다.
- 학문양(鶴紋樣) : 장수길상(長壽吉祥)을 상징하는 학의 우아 청초한 형태감이 풍부한 표현으로 표현되었다. 대개 한쌍으로 화문석(花紋席)에 많이 사용되었고 배경은 구름무늬가 주류를 이룬다. 학의 형태는 조용히 허공을 스치는 형, 구름을 박차고 오르는 형, 짝지어 나르는 형 등 다양하다. 학무늬는 구름무늬와 더불어 소나무나 불로초(不老草) 혹은 수자(壽字)와 더불어 잘 나타난다.
식물문양(植物紋樣)들은 좌우대칭으로 마주 보게 짝지어 표현하는 것이 상례이며 또한 이들 문양에는 항상 뇌문(雷紋)이나 만자문(卍字紋)이 곁들여진다.
- 매화문(梅花紋) : 매화문(梅花紋)은 1지(枝)의 단독무늬이며 화문석(花紋席)에 즐겨 사용되고, 근래에 와서는 형태가 매우 갸날프고 뜸을 놓은 게 특징이다.
- 모란문양(牡丹紋樣) : 고려(高麗)를 상징하는 모란문양(牡丹紋樣)은 일반적으로 수복(壽福)ㆍ부귀(富貴)ㆍ만자문(卍字紋)과 곁들여져 표현된다.
이 밖에도 화문석에는 뇌문(雷紋)과 만자문(卍字紋) 그리고 쌍희자문(雙喜字紋) 등이 많이 시문된다. 이들 문양은 직선과 곡선의 평면도 구성에 의한 기하문(畿何紋)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뇌문(雷紋)은 아자문(亞字紋)과 같이 대상(帶狀)으로 연속되어 자리의 가장자리를 장식한다. 그래서 이 문양은 단독문양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별로 없으며 항상 주제(主題) 내용(內容)의 종적(從的) 장식으로 자리 주변에 돌려진다.
- 문자문양(文字紋樣)들이 있는데, 이것은 한자의 조형성과 거기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 때문에 도안화 된 것이다.
근대에 와서 화문석에 주로 등장하는 문양은 거북ㆍ사슴ㆍ학(鶴) 등 3대 장생동물(長生動物)과 '수복강녕(壽福康寧)'ㆍ'만수무강(萬壽無疆)'ㆍ구름ㆍ소나무 등이며, 이 밖에도 명승지나 민속행사와 같은 소재가 희화성 높게 표현되기도 한다.[6]
(주: 화문석 문양에 용문양(龍紋樣)이 있으나, 이것은 용문석이라는 별도의 명칭이 있고 조선시대에 보성, 안동 등에서 왕실에 진상할 때 사용했던 문양이어서 여기서는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등메 장인이었던 이산룡씨도 등메 진상석에 용문양은 언급하지 않았다)
청올치 노끈
나일론 실이 나오기 전에는 삼, 모시, 칡넝쿨 등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자연 재료를 날실로 이용하여 자리를 만들었는데, 강화도에서는 주로 칡넝쿨을 채취하여 만든 청올치 노끈으로 왕골을 굵고 넓게 엮어서 만들었다.
-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칡넝쿨 줄기를 채취한다.
- 칡넝쿨 줄기를 삶아서 물에 불린다.
- 불린 줄기의 겉겁질을 훑어 내고 흰 속껍질(청올치)을 남긴다.
- 가늘게 쪼갠 청올치 두가닥을 꼬아 만든 노끈을 고드랫돌에 감는다.
- 청올치 노끈이 감긴 고드랫돌 두 개를 연결하여 자리를 앞뒤에 매단다.
- 왕골을 일정한 굵기로 엮는다. [7]
강화 왕골화문석이 현대화에 성공한 요소
지켜야할 것은 지킨다
- 강화 왕골화문석의 가장 큰 특징인 <백색 자리(白席)>를 만들기 위해 햇볕을 이용한 자연정련 및 표백으로 통해 수일에 걸쳐 날씨를 가려가며 정성을 다하여 한다.
- 문양을 작업하기 위한 왕골 염색에 가장 많은 정성과 손길을 필요로 하는 중요한 단계로 보고 정성을 다하여 작업한다.
- 대략 60만번의 손이 가는 작업을 정성껏 작업한다.
지키지 못할 것은 포기하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다
- 노경소직으로 제직시에 생기는 선명한 경사로 인해 화문석의 문양이 돋보이지 않게 되는데, 경사를 최대한 감추는 여러 방법을 간구하여 문양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한다.
- 나일론 투명사를 사용하고 고드랫돌의 간격을 1.5cm로 촘촘하게 하여 제작하므로 과거에 은경밀직과 비슷한 경사 감추기의 효과를 낸다.
- 손이 무척 많이 가는데 비해 효과가 크지 않은 천연염색 대신에 화학염료로 대체한다.
- 강화도는 각종 공모전을 통하여 현대 생활에 어울리는 다양한 문양을 개발한다.
- 화문석의 명맥을 잇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및 육성 사업을 한다.
- 해외 판로 개척이 미흡하고, 젊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방식으로의 판로 개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
시각자료
사진
화문석
왕골 재배
왕골 염색
화문석 제작
화문석 제작
영상
- 티브로드 인천방송, 강화 화문석 명맥 끊길라… 후진 양성 '안간힘', 게시일:2018년 10월 18일.
- Hwamunseok, 강화도령화문석 제작 모습 2014년, 게시일:2017년 9월 25일.
출처
-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저. 한국민속대관. 1980. 8. 15.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523&nodeId=NODE04001422&medaId=MEDA04107039#none
- ↑ 강화화문석문화관 http://www.ghss.or.kr/src/article.php?menu_cd=0804010100
-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저. 한국민속대관. 1980. 8. 15.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523&nodeId=NODE04001422&medaId=MEDA04107039#none
- ↑ 강화화문석문화관 http://www.ghss.or.kr/src/article.php?menu_cd=0804010100
-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저. 한국민속대관. 1980. 8. 15.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523&nodeId=NODE04001422&medaId=MEDA04107039#none
-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저. 한국민속대관. 1980. 8. 15.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523&nodeId=NODE04001422&medaId=MEDA04107039#none
- ↑ 강화화문석문화관 http://www.ghss.or.kr/src/article.php?menu_cd=0804010100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