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박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도)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6번째 줄: 6번째 줄:
  
  
병인박해(丙寅迫害)는 흥선대원군 정권에 의하여 1866년부터 1871년까지 이루어진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이다. ''병인사옥''이라고도 하며, 이로 인하여 조선의 평신도들과 프랑스의 선교사와 신부 등 8천여 명이 처형되었다.
+
병인박해(丙寅迫害)는 [[흥선대원군]] 정권에 의하여 1866년부터 1871년까지 이루어진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이다. ''병인사옥''이라고도 하며, 이로 인하여 조선의 평신도들과 프랑스의 선교사와 신부 등 8천여 명이 처형되었다.
  
 
=='''내용'''==
 
=='''내용'''==
원래 흥선대원군은 천주교에 관대한 인물이었으나 청나라의 천주교 탄압의 소식은 반 대원군 세력으로 하여금 천주교와 접촉하고 있는 대원군에게 정치적인 공세를 취하게 하였고, 이에 대원군은 정치적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대원군에 의하여 네 차례에 걸쳐 계속적으로 추진되었으며 1차 병인사옥(1866년 봄), 2차 병인사옥(1866년 여름~가을), 무진사옥(1868년), 신미사옥(1871년)으로 이어졌다.
+
원래 [[흥선대원군]]은 천주교에 관대한 인물이었으나 청나라의 천주교 탄압의 소식은 반 [[흥선대원군|대원군]] 세력으로 하여금 천주교와 접촉하고 있는 대원군에게 정치적인 공세를 취하게 하였고, 이에 대원군은 정치적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대원군에 의하여 네 차례에 걸쳐 계속적으로 추진되었으며 1차 병인사옥(1866년 봄), 2차 병인사옥(1866년 여름~가을), 무진사옥(1868년), 신미사옥(1871년)으로 이어졌다.
  
 
==='''1차 병인사옥'''===
 
==='''1차 병인사옥'''===
42번째 줄: 42번째 줄: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2019-1 디지털인문학입문(서울)]] [[분류:외규장각_의궤]] [[분류:사건]] [[분류:오미래]]
 

2019년 6월 25일 (화) 21:12 기준 최신판

황일광 시몬 심문
시몬(황일광)을 심문하는 장면이다.
[1]

정의

한국 천주교회 사상 가장 혹독했던 박해


병인박해(丙寅迫害)는 흥선대원군 정권에 의하여 1866년부터 1871년까지 이루어진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이다. 병인사옥이라고도 하며, 이로 인하여 조선의 평신도들과 프랑스의 선교사와 신부 등 8천여 명이 처형되었다.

내용

원래 흥선대원군은 천주교에 관대한 인물이었으나 청나라의 천주교 탄압의 소식은 반 대원군 세력으로 하여금 천주교와 접촉하고 있는 대원군에게 정치적인 공세를 취하게 하였고, 이에 대원군은 정치적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대원군에 의하여 네 차례에 걸쳐 계속적으로 추진되었으며 1차 병인사옥(1866년 봄), 2차 병인사옥(1866년 여름~가을), 무진사옥(1868년), 신미사옥(1871년)으로 이어졌다.

1차 병인사옥

1866년 2월, 조선에 체류하고 있던 주교 베르뇌를 선두로 수천명의 교인들이 서울 및 그 밖의 지역에서 잡혀 순교하였다. 이 때 베르뇌·다블뤼 등 9명의 프랑스 신부도 체포되어 서울 새남터와 충청남도 보령의 갈매못에서 순교하였다. 이렇게 박해가 치열해지자 피신해 있던 신부 리델은 7월 조선을 탈출, 청나라의 톈진으로 가서 프랑스 동양함대 사령관 로즈에게 구원을 요청하게 되었다. 이에 로즈는 10월에 7척의 군함을 이끌고 프랑스 선교사들의 학살 책임을 묻는 무력시위를 벌이게 되어 병인양요가 발생하였다.

2차 병인사옥

병인양요로 말미암아 박해는 제2단계에 들어가게 되는데, 대원군은 국가적 위기의식을 고조시키면서 천주교도를 통외초구의 무리로 내세워 수많은 천주교인을 처형하였다. 이 때 대원군은 양이의 발자국으로 더럽혀진 땅은 그들과 통하는 무리의 피로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여 처형지는 주로 서울과 해안지방으로 정해지게 되었다.


무진사옥

이러한 박해는 1868년 4월에 일어난 오페르트의 충청남도 덕산 남연군묘 도굴사건을 계기로 다시 불이 붙어 내포지방을 중심으로 대량 학살이 일어났다. 오페르트는 수차에 걸친 통상요구가 거듭 거부되자 대원군 아버지의 분묘를 도굴할 계획을 세우고 작업을 펴나갔으나 미수에 그치고 말았다. 이에 대원군은 크게 분노하여 내포 지방의 교인들을 대대적으로 색출하였다. 내포지방은 천주교회 창설기부터 천주교가 유포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많은 희생자를 내었고 부근의 지방까지 피해를 입었다.

신미사옥

1871년의 신미양요로 다시 박해가 가중되었다. 신미양요는 1866년 평양시민의 공격으로 침몰된 제너럴셔먼호의 사건을 미국이 정치적으로 이용, 조선에 포함외교를 펴고자 하면서 시작되었다. 미국함대의 강화도 공격을 시발로 하여 6일간의 전투 끝에 결국 미국은 물러가게 되었고, 격퇴에 성공한 대원군은 전국에 척화비를 세우고 국민에게 철저한 쇄국양이의 국시를 선명히 하는 한편 잔존해 있는 천주교인을 색출하여 처형시켰다. 그 뒤에도 탄압이 계속되다가 1873년 대원군이 실각하자 병인박해가 마무리되었다. 우리나라 최대의 박해이고 가장 많은 순교자를 낸 병인박해는 천주교의 박멸이라는 국내 정치적 측면만이 아니라 급격하게 밀어닥치는 서구 식민세력에 대한 대항이었다는 점에서 1801년의 신유박해나 1839년의 기해박해와는 다르다.

병인박해 그 후

병인박해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천주교는 1886년 한불조약 이후 다시 회복하게 되었으며, 1968년에는 병인박해 기간중에 순교한 24명이 복자(福者)로, 1984년에는 성인(聖人)으로 오르게 되었다. 병인박해 순교자들의 기록은 1890년 주교 뮈텔이 자료를 모아 간행한 『치명일기』가 대표적이다.


[2] [3]

멀티미디어 자료

지도

주석

  1. 병인박해, 위키백과
  2. 병인박해,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병인박해,한국사 기초사전,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