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류학회 201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1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2018년도 한국의류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아시아복식), 2018. 10. 20. 중앙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B602호
 +
 +
[[파일:QR2018-10-20의류학회.jpg|center]]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 복식=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 복식=
 +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
 
|-
7번째 줄: 11번째 줄:
 
|style="text-align:right" | [[김현]]<br/>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교수
 
|style="text-align:right" | [[김현]]<br/>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교수
 
|}
 
|}
 +
 +
__TOC__
 +
 +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 복식: 백과사전과 아카이브의 만남==
 +
<br/>
 +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8/2018-10-20의류학회.pdf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 복식 (PDF)]
  
 
==교육 사례: <font size="-1">2014년 2학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수업</font>==
 
==교육 사례: <font size="-1">2014년 2학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수업</font>==
61번째 줄: 71번째 줄:
 
|}
 
|}
  
==디지털 콘텐츠 편찬 연구 사례: <font size="-1">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2017 연구과제</font>==
+
==디지털 콘텐츠 편찬 연구 사례: <font size="-1">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font>==
  
 
===한국문화 엔사이브===
 
===한국문화 엔사이브===
 +
 
‘한국문화 엔사이브(Encyves of Korean Culture)’는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의 모델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가지고 편찬된 주제 중심 디지털 백과사전이다. 이 디지털 백과사전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원한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2016~2017) 및 ‘문화유산 속의 인물에 관한 시각적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2017)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교실 연구진들에 의해 편찬되었다. <br/>
 
‘한국문화 엔사이브(Encyves of Korean Culture)’는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의 모델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가지고 편찬된 주제 중심 디지털 백과사전이다. 이 디지털 백과사전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원한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2016~2017) 및 ‘문화유산 속의 인물에 관한 시각적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2017)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교실 연구진들에 의해 편찬되었다. <br/>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 상에서 서비스되는 백과사전류의 콘텐츠가 많이 있지만,  그것은 대부분 ‘책이라는 아날로그 미디어에 적합한 형태로 편찬된 콘텐츠를 디지털로 서비스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디지털 시대의 지식수요에 대한 적정한 대응이 아니라는 인식에서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데이터_기반_인문지식_백과사전 새로운 디지털 백과사전 모델] 연구에 착수하였고, [http://dh.aks.ac.kr/Encyves/wiki ‘한국문화 엔사이브’]를 시범적인 연구 편찬의 성과로 제시하였다.<br/>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 상에서 서비스되는 백과사전류의 콘텐츠가 많이 있지만,  그것은 대부분 ‘책이라는 아날로그 미디어에 적합한 형태로 편찬된 콘텐츠를 디지털로 서비스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디지털 시대의 지식수요에 대한 적정한 대응이 아니라는 인식에서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데이터_기반_인문지식_백과사전 새로운 디지털 백과사전 모델] 연구에 착수하였고, [http://dh.aks.ac.kr/Encyves/wiki ‘한국문화 엔사이브’]를 시범적인 연구 편찬의 성과로 제시하였다.<br/>
70번째 줄: 81번째 줄:
 
===궁중기록화 가상 전시관===
 
===궁중기록화 가상 전시관===
  
궁중기록화는 조선 왕실에서 거행된 혼례, 진하, 책봉, 능행, 대사례 등의 국가행사 및 의례를 기록한 그림으로, 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궁중행사도 등을 지칭한다. 의궤의 기록은 행사의 준비·진행 절차, 참여 인물, 참여자들이 입었던 복식과 당시 사용된 물목 등 행사 전모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궁중기록화에 그려진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당시의 행사 장면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행사에 참여한 인물들이 착장하였던 다양한 복식을 재현해 볼 수 있다. 36여 편의 대표적인 궁중기록화를 대상으로 삼아 500여 건의 지식 노드(의궤 31건, 궁중회화 5건, 복장/복식 177건, 소장처 8건, 물품 120건, 인물 55건, 기관/장소/개념어 146여 건 등)를 발굴하고, 각 지식 노드 간의 유의미한 관계성을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살필 수 있게 하였다. 177여 건의 복장/복식 노드에 대해서는 그것의 형상을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보임으로써 왕실의 복식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
궁중기록화는 조선 왕실에서 거행된 혼례, 진하, 책봉, 능행, 대사례 등의 국가행사 및 의례를 기록한 그림으로, 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궁중행사도 등을 지칭한다. 의궤의 기록은 행사의 준비·진행 절차, 참여 인물, 참여자들이 입었던 복식과 당시 사용된 물목 등 행사 전모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궁중기록화에 그려진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당시의 행사 장면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행사에 참여한 인물들이 착장하였던 다양한 복식을 재현해 볼 수 있다. 36 편의 대표적인 궁중기록화를 대상으로 삼아 500여 건의 지식 노드(의궤 31건, 궁중회화 5건, 복장/복식 177건, 소장처 8건, 물품 120건, 인물 55건, 기관/장소/개념어 146여 건 등)를 발굴하고, 각 지식 노드 간의 유의미한 관계성을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살필 수 있게 하였다. 177여 건의 복장/복식 노드에 대해서는 그것의 형상을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보임으로써 왕실의 복식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조선왕실 의궤 가상 기록관====
 
====조선왕실 의궤 가상 기록관====
  
*[http://dh.aks.ac.kr/~tutor/Gallery/aks/aksGallery.htm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dh.aks.ac.kr/~tutor/Gallery/aks/aksGallery5.htm 한국학중앙연구원]
  
 
====궁중기록화에서 찾은 복식 관련 데이터====
 
====궁중기록화에서 찾은 복식 관련 데이터====
149번째 줄: 160번째 줄:
 
==디지털 인문학 기술 교육 교재==
 
==디지털 인문학 기술 교육 교재==
  
{{:인문정보학 튜토리얼}}
+
* [[인문정보학 튜토리얼]]
 +
 
 +
==읽을거리==
 +
*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3/tutorial/ConvergenceOfDHnAR.pdf 디지털 인문학이란?]
 +
*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목표]]
 +
*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 (김현 2018)|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
 +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
* [[신대동사회론]]

2018년 11월 2일 (금) 07:14 기준 최신판

2018년도 한국의류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아시아복식), 2018. 10. 20. 중앙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B602호

QR2018-10-20의류학회.jpg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 복식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 복식: 백과사전과 아카이브의 만남


교육 사례: 2014년 2학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수업

주제: 전통 복식의 세계-원형과 응용

한국 전통 복식을 전공하는 4명의 학생이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통 복식의 세계를 사이버 공간에 재현하였다. 네 명의 학생은 각각의 관심 분야를 담아낼 수 있는 온톨로지(Class, Attribute, Relation)를 설계했고, 그 틀 안에서 클래별로 지식 개체(Individuas)를 도출하고, 그 내용을 편찬했다. 각 항목의 텍스트는 직접 Media Wiki로 편찬하여 디지털 백과사전 형태의 콘텐츠를 생산했고, 온톨로지 설계에 따라 구현한 네트워크 그래프는 Neo4j로 제작한 후에 완성된 데이터를 Google Visualization API로 시각화 했다. 네 명의 학생이 각각 편찬한 콘텐츠가 '전통 복식'이라는 지식 네트워크 안에서 서로 소통하는 하나의 세계로 구현되는 결과를 경험하였다.

수강생들의 관심 주제:

수강생 관심 주제 데이터 예시
김아람 안릉신영도에 묘사된 전통 복식 안릉신영도
차서연 전통 복식에 관한 기록물

임원경제지 오주연문장전산고 청장관전서 거가잡복 담헌서 연경재전집 송자대전 열하일기 반계수록 구암유고

편나영 한복의 현대적 응용

정구호 김영진 김혜순 이영희 이혜순 진태옥 김영석

김현승 여성 한복 착장법

여름 여자 한복 봄 가을 여자 한복 겨울 여자 한복 기본 속옷 예장용 속옷

연관 예시

도포 철릭 가체 족두리 접부채

디지털 콘텐츠 편찬 연구 사례: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

한국문화 엔사이브

‘한국문화 엔사이브(Encyves of Korean Culture)’는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의 모델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가지고 편찬된 주제 중심 디지털 백과사전이다. 이 디지털 백과사전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원한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2016~2017) 및 ‘문화유산 속의 인물에 관한 시각적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2017)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교실 연구진들에 의해 편찬되었다.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 상에서 서비스되는 백과사전류의 콘텐츠가 많이 있지만, 그것은 대부분 ‘책이라는 아날로그 미디어에 적합한 형태로 편찬된 콘텐츠를 디지털로 서비스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디지털 시대의 지식수요에 대한 적정한 대응이 아니라는 인식에서 새로운 디지털 백과사전 모델 연구에 착수하였고, ‘한국문화 엔사이브’를 시범적인 연구 편찬의 성과로 제시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록문화 유산 중 ‘한글고문헌’, ‘궁중기록화’, ‘민족기록화’, ‘불교 사찰의 승탑 비문’, ‘옛 인물의 초상화’ 등 다섯 가지 영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 범주에 속하는 대표적인 기록물과 관련 지식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여, 다양한 수준의 한국학 교육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궁중기록화 가상 전시관

궁중기록화는 조선 왕실에서 거행된 혼례, 진하, 책봉, 능행, 대사례 등의 국가행사 및 의례를 기록한 그림으로, 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궁중행사도 등을 지칭한다. 의궤의 기록은 행사의 준비·진행 절차, 참여 인물, 참여자들이 입었던 복식과 당시 사용된 물목 등 행사 전모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궁중기록화에 그려진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당시의 행사 장면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행사에 참여한 인물들이 착장하였던 다양한 복식을 재현해 볼 수 있다. 36 편의 대표적인 궁중기록화를 대상으로 삼아 500여 건의 지식 노드(의궤 31건, 궁중회화 5건, 복장/복식 177건, 소장처 8건, 물품 120건, 인물 55건, 기관/장소/개념어 146여 건 등)를 발굴하고, 각 지식 노드 간의 유의미한 관계성을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살필 수 있게 하였다. 177여 건의 복장/복식 노드에 대해서는 그것의 형상을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보임으로써 왕실의 복식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조선왕실 의궤 가상 기록관

궁중기록화에서 찾은 복식 관련 데이터

  • 예시 1: 복장과 복식
구분 데이터 예시
왕실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 황제 황후 황태자 황태자비

백관 백관
  • 예시 2: 왕실 의례 시행 장소
구분 데이터 예시
경희궁

경덕궁_광명전 경덕궁_어조당 경희궁_융복전 경희궁_자정전 경희궁_장락전 경희궁_회상전

덕수궁

중화전 함녕전

창경궁

경극당 경춘전 명정전 숭문당 영춘헌 자경전 집춘문 통명전 환경전 환취정

창덕궁

대조전 돈화문 선정전 인정전 장춘헌 저승전 중희당 희정당

별궁

안국동_별궁 어의궁

능원

건릉 명릉 영릉 의릉 인릉 혜릉 서삼릉_의령원

디지털 인문학 기술 교육 교재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