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ENTAL SOURC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68번째 줄: 68번째 줄:
 
우리 나라의 자수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의 변천에 따라 우리 민족의 미적 특질을 표현해왔다. 자수는 길쌈·바느질 등과 함께 바늘 한땀한땀의 정성을 통해 일상생활 곳곳에 섬세한 솜씨로 아름다움을 가꾸워왔으며, 아울러 민족의 정서를 그 속에서 꽃피웠다.
 
우리 나라의 자수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의 변천에 따라 우리 민족의 미적 특질을 표현해왔다. 자수는 길쌈·바느질 등과 함께 바늘 한땀한땀의 정성을 통해 일상생활 곳곳에 섬세한 솜씨로 아름다움을 가꾸워왔으며, 아울러 민족의 정서를 그 속에서 꽃피웠다.
  
==== ====
+
=='''4. 또는 이'''==
 
=== 정의 (=신발) ===
 
=== 정의 (=신발) ===
 
1.걸어 다닐 때 발을 보호하고 장식할 목적으로 신고 다니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br/>
 
1.걸어 다닐 때 발을 보호하고 장식할 목적으로 신고 다니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br/>
87번째 줄: 87번째 줄: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nebpi&logNo=6017066505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nebpi&logNo=60170665058
  
=='''3. 너른바지'''==
+
[[분류:숙명여자대학교]] [[분류:허현서]]
<h4>정의</h4>
+
1.한복에서, 여자의 바지 가운데 하나.<br/>
+
2.정장할 때 치마 속에 입던 속옷으로, 모양은 단속곳과 같으나 밑이 막혀 있다.<br/>
+
3.흔히 명주붙이로 만든다.<br/>
+
 
+
<h4>이미지</h4>
+
<gallery>
+
File:너른바지1.jpg|<너른바지1>
+
File:너른바지2.jpg|<너른바지2>
+
File:너른바지3.jpg|<너른바지3>
+
</gallery>
+
 
+
=='''4. 화 또는 이'''==
+
=== 정의 (=신발) ===
+
1.걸어 다닐 때 발을 보호하고 장식할 목적으로 신고 다니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br/>
+
2.수를 셀 때는 짝, 켤레, 족 등의 단위를 사용하고, 치수를 나타낼 때는 문(文), 밀리미터 등의 단위를 사용한다.<br/>
+
 
+
=== 이미지 ===
+
<gallery>
+
File:화1.jpg|<화1>
+
File:화2.jpg|<화2>
+
File:화3.jpg|<화3>
+
</gallery>
+
 
+
=== 유래 ===
+
고대 이집트에서는 귀족이나 성직자와 전사만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
하지만 이들도 손윗 사람 앞에서는 신발을 벗고, 성전과 같은 성역에서는 신지 않았다고 한다.
+
또 이런 신발은 수렴 또는 어로를 자신의 생업으로 삼았던 산간지대 사람이나 북방민족들이 동물을 잡아먹고 남은 가죽을 발싸개로 이용하던 습관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신발의 유래를 가장 오래된 신발이 만들어진 시대로 돌아가면 기원전 2000년경의 고대이집터에서 파피루스로 엮은 샌들 모양의 것이라고 알려졌다고 한다. 신발의 종류 중 하나인 샌들은 현대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써, 원래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이 샌들이라는 어원은 그리스어로 샌달리온(널판지란 뜻)이었지만 이것이 영어화되면서 샌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 이런 신발의 종류 중 하나인 샌들의 유래는 고대 이집트 로마 시대에서 대부분이 이루어졌는데 구두의 견고성을 찾기 위해서 rrent, 서양신발의 역사를 볼 것 같으면 신발에 주로 가죽을 썼으며 때론 비단이나 천도 신발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nebpi&logNo=60170665058
+

2016년 12월 26일 (월) 23:20 기준 최신판

ORIENTAL SOURCE (전통 복식 요소)

본 전통 복식 요소 페이지에서는 관련 과제물 (SPA 브랜드(기성복)에서 나타나는 전통복식 요소)과 상충되는 주요 4가지 개념을 간단히 소개.
전통복식.jpg

1. 두루마기

정의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포(袍)의 일종으로 조선 말 의복의 간소화에 따라 일반인들이 입기 시작하여 오늘날 남녀 모두 착용하는 외출용 겉옷이다. 형태를 보면 소매는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袵式)이며, 양옆에 무를 달고 길이는 발목에서 20~25cm 정도 올라온다. 주의(周衣)라고도 한다.

이미지

유래

좁은 의미로는 조선 말기에 도포(道袍)·창의(氅衣) 등의 제도가 없어지고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 입혀지고 있는 포제(袍制)를 말한다. 소매는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衽式)이며 양 옆에 무를 달아 옆을 막고, 길이는 발목에서 20∼25cm 정도 올라오게 한다. 이것은 우리 민속의 후리매·쿠리매 등의 계통을 이은 하서인(下庶人)의 포제였으나, 그 간편함 때문에 일반화된 것이다. 두루마기란 ‘두루 막혔다’는 뜻이고, 한자어로는 ‘주의(周衣)’라고 한다. 일부에서는 그 어원이 몽고어의 쿠루막치(xurumak○i)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다. 몽고복과 비슷한 점이 있다 하여도 그 원류에서 볼 때 고구려 이래의 우리 전통의 포제에서 나온 것이다. 고구려 포제에는 당시의 양식으로 선(襈)이 있고 띠를 둘렀는데, 오늘의 두루마기에는 선이 없고 고름으로 되었을 뿐 별 차이가 없다. 백제·신라의 포도 두루마기와 비슷하였을 것으로 보는데 양나라의 <직공도 職工圖>에 나오는 백제 사신도(使臣圖), 당나라 이현묘(李賢墓)의 외국사신도에 나오는 신라 사신도에는, 저고리보다 약간 길며 소매가 넓은 포를 입고 있어 삼국이 같았음을 알 수 있다. 고려에 내려오면 전기에는 백저포(白紵袍)가 일반적인 포로 입혀졌다. 여기에도 띠를 두르고 있어 옛 흔적을 지니고 있는데, 중기 이후 몽고의 질손(質孫)이 일반 국민에게 강요되자 전기의 백저포는 약간 변용된 것 같다. 당시의 유물인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서산 문수사 불상복장포(瑞山文殊寺佛像腹藏袍)를 보면 애초의 포형은 몽고계통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그 전체적인 형태는 우리 두루마기에서 많이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여기 무가 생성되어 활동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과 비슷한 포형이 조선 초기에는 직령포(直領袍)의 형태로 발전하는데, 이 직령포가 후기의 두루마기의 원형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많은 직령포가 개량 발전되고 있는데 그 중 1530년(중종 25)대의 광주 이씨(廣州李氏)의 겹주름포[裌注音袍]는 그 형태에서는 문수사 불상복장포의 계통이고, 옆 겨드랑 밑 무가 두루마기보다는 여유가 있다. 이 뒤를 이어 옆주름이 없어지고 오늘의 두루마기와 같이 된 것이 1583년(선조 16)을 하한대로 보는 고림군종가(高林君宗家)에 전하여오는 직령포와 장군 김덕령(金德齡)의 질부 장흥 임씨(長興林氏)의 겹직령포이다. 이는 김덕령의 두루마기와 같은 시기의 것으로 오늘의 두루마기와 포폭(布幅)의 처리 문제 등 조금 다른 점은 있어도 별차이가 없다. 전라남도 광주 충장사(忠壯祠) 소장 김덕령의 두루마기는 소매가 좁고 옆에 무가 있으며 다시 겨드랑 밑에 작은 무가 달려 있다. 이것이 누비인 것을 보면 방한복을 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두루마기와 결정적으로 같은 것은 숙종 때의 김덕원(金德遠)의 두루마기 직령포이다. 이와 같은 경로를 겪은 오늘날의 두루마기는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 때 사복(私服)은 귀천을 막론하고 넓은 소매의 옷 대신 좁은 소매의 옷을 입게 하였다. 또 관직에 있는 사람은 전복(戰服)을 덧입게 한 데서 일반화되었는데, 갑자기 시행된 이 의복개혁은 국민으로부터 맹렬한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10년 뒤에는 사람들이 통상 예복에 착용하게 되었다. 1895년 을미개혁에서는 관과 민이 동일한 흑색두루마기를 착용하게 하여 두루마기 일색이 되었다. 조선 말기 왕비평상복 발기[件記]에도 두루마기가 나오고, 양반부인·기생의 사진 등에도 이를 입고 있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우리 나라 전통포가 마지막 포제인 두루마기로 이어져 완성되었음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일제강점기에도 예복의 개념에 두루마기가 들어가고 준용되어왔음을 본다. 요즈음은 차츰 이 두루마기를 벗고 마고자를 입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다시 복고풍이 일어 우리 한복에 두루마기를 갖추려는 흐름이 엿보인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6977

2. 너른바지

정의

1.한복에서, 여자의 바지 가운데 하나.
2.정장할 때 치마 속에 입던 속옷으로, 모양은 단속곳과 같으나 밑이 막혀 있다.
3.흔히 명주붙이로 만든다.

이미지

3. 자수

정의

바탕천에 여러 가지 색실로 무늬를 수놓아 장식하는 공예미술.

이미지

유래

자수는 인류가 동물의 모피나 식물의 껍질과 잎 등을 원시적 재봉용구로 꿰매고 엮어 옷을 지어 입었던 선사시대에 기원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고기나 짐승의 뼈 등으로 만든 바늘로 짐승의 가죽을 꿰매어 옷을 해입는 등의 원시단계에서 점차 문명이 발달되어 옷감이 만들어지게 되었고 금속바늘이 출현하면서 자수가 시작되었다. 즉, 인류생활이 점차 문명화되면서 옷이나 직물제품에 계급 표시 등을 목적으로 장식 또는 자수를 도입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수는 직물의 표면을 장식하는 조형예술로 발전되고, 각 민족의 생활환경·풍습·신앙 등에 따라 독자적 양식을 이루고 있다. 우리 나라의 자수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의 변천에 따라 우리 민족의 미적 특질을 표현해왔다. 자수는 길쌈·바느질 등과 함께 바늘 한땀한땀의 정성을 통해 일상생활 곳곳에 섬세한 솜씨로 아름다움을 가꾸워왔으며, 아울러 민족의 정서를 그 속에서 꽃피웠다.

4. 화 또는 이

정의 (=신발)

1.걸어 다닐 때 발을 보호하고 장식할 목적으로 신고 다니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수를 셀 때는 짝, 켤레, 족 등의 단위를 사용하고, 치수를 나타낼 때는 문(文), 밀리미터 등의 단위를 사용한다.

이미지

유래

고대 이집트에서는 귀족이나 성직자와 전사만 신발을 신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도 손윗 사람 앞에서는 신발을 벗고, 성전과 같은 성역에서는 신지 않았다고 한다. 또 이런 신발은 수렴 또는 어로를 자신의 생업으로 삼았던 산간지대 사람이나 북방민족들이 동물을 잡아먹고 남은 가죽을 발싸개로 이용하던 습관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신발의 유래를 가장 오래된 신발이 만들어진 시대로 돌아가면 기원전 2000년경의 고대이집터에서 파피루스로 엮은 샌들 모양의 것이라고 알려졌다고 한다. 신발의 종류 중 하나인 샌들은 현대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써, 원래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이 샌들이라는 어원은 그리스어로 샌달리온(널판지란 뜻)이었지만 이것이 영어화되면서 샌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 이런 신발의 종류 중 하나인 샌들의 유래는 고대 이집트 로마 시대에서 대부분이 이루어졌는데 구두의 견고성을 찾기 위해서 rrent, 서양신발의 역사를 볼 것 같으면 신발에 주로 가죽을 썼으며 때론 비단이나 천도 신발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nebpi&logNo=60170665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