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잔글 (판 1개) |
|||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 }} | ||
− | *서대(犀帶)는 정1품과 종1품의 백관이 조복(朝服), 제복(祭服), [[상복|상복(常服)]], [[시복|시복(時服)]]에 착용하였다. | + | *서대(犀帶)는 정1품과 종1품의 백관이 조복(朝服), 제복(祭服), [[상복|상복(常服)]], [[시복|시복(時服)]]에 착용하였다. |
− | *서대의 ′서(犀)′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물소뿔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 | + | *서대의 ′서(犀)′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물소뿔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 |
− |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 + |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p. 136-143.</ref>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파일:보양청계병.jpg|[[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파일:보양청계병.jpg|[[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 | 파일:보양관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보양관]] <br> | + | 파일:보양관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보양관]] <br>[[단령|흑단령]]에 서대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 파일:시복착용자(담홍포)2-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문무관]] <br> | + | 파일:시복착용자(담홍포)2-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문무관]] <br>[[단령|담홍단령]]에 서대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파일:내시2-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내시]] 및 기타관원 <br>서대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파일:내시2-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내시]] 및 기타관원 <br>서대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gallery> | </gallery>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보양관]]과 [[문무관]], [[내시]] 및 기타 관원이 서대를 착용하고 있다.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보양관]]과 [[문무관]], [[내시]] 및 기타 관원이 서대를 착용하고 있다. | ||
+ | |||
+ |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노드||관계||노드 | !노드||관계||노드 |
2017년 3월 5일 (일) 10:17 기준 최신판
복식정보 | |
---|---|
서대 | |
시대 | 조선후기 |
분류 | 허리띠 |
크기 | .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그림 출처 | 설유경(2011) 「고려시대 과대(銙帶)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3. |
- 서대의 ′서(犀)′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물소뿔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
-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1]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보양관
흑단령에 서대 착용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무관
담홍단령에 서대 착용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내시 및 기타관원
서대 착용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보양관과 문무관, 내시 및 기타 관원이 서대를 착용하고 있다.
노드 및 관계 테이블
노드 | 관계 | 노드 |
---|---|---|
보양관 문무관 내시 |
~을 착용한다 | 서대 |
서대 | ~의 구성이다 | 상복, 시복 |
서대 | ~와 함께 착용한다 | |
서대 | ~에 그려져 있다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서대 | ~에 규정되어 있다 | 경국대전 속대전 |
Writer: 김현승
Main: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 ↑ 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p. 136-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