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헌마 정색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잔글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개관'''== | =='''개관'''== | ||
− | 1678년에 전국에 분포하는 목장을 그린 필사본 채색지도첩이다. 1권 42면으로 구성된 이 지도첩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되었다. 첫 장에는 진헌마정색도(進獻馬正色圖), 두 번째 장에는 도군별 목장상황을 담은 회화식 지도, 세 번째 장에는 이 지도첩의 제작 동기와 시기를 알려주는 허목(許穆)의 기문(記文)이 실려 있다. | + | 1678년에 전국에 분포하는 목장을 그린 필사본 채색지도첩이다. 1권 42면으로 구성된 이 지도첩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되었다. 첫 장에는 [[진헌마 정색도|진헌마정색도(進獻馬正色圖)]], 두 번째 장에는 도군별 목장상황을 담은 회화식 지도, 세 번째 장에는 이 지도첩의 제작 동기와 시기를 알려주는 [[허목|허목(許穆)]]의 기문(記文)이 실려 있다. |
− | 허목은 당시 사복시의 제조였는데, 그 이전에 작성되었던 목장지도를 수정편찬하여 목장지도를 제작하게 하였다. 회화식 지도부분에는 전국의 목장 소재지를 지도에 그려넣고 소와 말, 목자(牧子)의 통계와 목장의 면적, 폐장된 목장의 상황 등을 기재하였다. 효종이 북벌계획(北伐計畵)을 추진함에 따라 군마(軍馬) 양육지로 전국의 초원지대와 도서 ·황무지 등에 목장을 확충하였는데, 이 지도첩은 그 위치와 크기, 상황을 시각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각 폭(幅), 각 면(面)마다 군명(郡名)과 이정표(里程表)를 기입한 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이 지도첩은 당시의 마정(馬政)과 목장에 관한 시책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5950100,11&flag=Y 목장지도, 문화재청] </ref> <ref>[http://rbh54.blog.me/220663870569 진헌마 정색도, 복제, 개인 블로그] </ref> | + | 허목은 당시 사복시의 제조였는데, 그 이전에 작성되었던 목장지도를 수정편찬하여 목장지도를 제작하게 하였다. 회화식 지도부분에는 전국의 목장 소재지를 지도에 그려넣고 소와 말, 목자(牧子)의 통계와 목장의 면적, 폐장된 목장의 상황 등을 기재하였다. 효종이 북벌계획(北伐計畵)을 추진함에 따라 군마(軍馬) 양육지로 전국의 초원지대와 도서 ·황무지 등에 목장을 확충하였는데, 이 지도첩은 그 위치와 크기, 상황을 시각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각 폭(幅), 각 면(面)마다 군명(郡名)과 이정표(里程表)를 기입한 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이 지도첩은 당시의 마정(馬政)과 목장에 관한 시책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5950100,11&flag=Y 목장지도, 문화재청] </ref> <ref>[http://rbh54.blog.me/220663870569 진헌마 정색도, 복제, 개인 블로그] </ref> |
=='''클래스'''== | =='''클래스'''==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파일:진헌마정색도_01.jpeg | 진헌마 정색도 | 파일:진헌마정색도_01.jpeg | 진헌마 정색도 | ||
파일:진헌마정색도_02.jpeg | 진헌마 정색도 | 파일:진헌마정색도_02.jpeg | 진헌마 정색도 | ||
− | 파일:진헌마정색도_03.jpeg | 진헌마 정색도 오른쪽 세부 사진 | + | 파일:진헌마정색도_03.jpeg | 진헌마 정색도 오른쪽 세부 사진 [[화양정]] |
− | 파일:진헌마정색도_04.jpeg | 진헌마 정색도 왼쪽 세부 사진 | + | 파일:진헌마정색도_04.jpeg | 진헌마 정색도 왼쪽 세부 사진 [[중랑포]], [[두모포]] |
− | 파일:진헌마정색도_05.jpeg | 진헌마 정색도 중앙 세부 사진 | + | 파일:진헌마정색도_05.jpeg | 진헌마 정색도 중앙 세부 사진 [[전곶]] |
</gallery> | </gallery> | ||
+ | |||
+ | * 서울 뚝섬 경마장, 사진아카이브 <ref>[http://photoarchives.seoul.go.kr/photo/view/63857?keyword=%EA%B2%BD%EB%A7%88%EC%9E%A5&page=1#1_33095 서울 경마장, 춘계 경마 개장식, 성동구, 한국 마사회, 1966-05-21, 서울사진아카이브]</ref> | ||
=='''지도'''== | =='''지도'''== | ||
− | <googlemap height=" | + | <googlemap height="300" lat="37.545046" lon="127.039270"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37. | + | 37.545046, 127.039270, [[서울숲, 과거 성동구 뚝섬 경마장]] |
</googlemap> | </googlemap> | ||
+ | |||
+ | |||
+ | <googlemap height="300" lat="37.497678" lon="127.003141"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497678, 127.003141, [[국립중앙도서관]] | ||
+ | </googlemap> | ||
=='''기여'''== | =='''기여'''== |
2016년 6월 25일 (토) 23:26 기준 최신판
목장지도, 진헌마 정색도 | |
---|---|
지정 번호 | 보물 제1595호 |
지정일 | 2010년 2월 11일 |
지정 명칭 | 목장지도, 진헌마 정색도 |
한자 명칭 | 牧場地圖, 進獻馬 正色圖 |
영문 명칭 | Picture of Horse Tributed to the King |
분류 | 유물 |
건립·제작 | |
주소 | 국립중앙도서관 |
위도 | 37.497678 |
경도 | 127.003141 |
웹사이트 | http://www.nl.go.kr/nl/index.jsp |
개관
1678년에 전국에 분포하는 목장을 그린 필사본 채색지도첩이다. 1권 42면으로 구성된 이 지도첩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되었다. 첫 장에는 진헌마정색도(進獻馬正色圖), 두 번째 장에는 도군별 목장상황을 담은 회화식 지도, 세 번째 장에는 이 지도첩의 제작 동기와 시기를 알려주는 허목(許穆)의 기문(記文)이 실려 있다.
허목은 당시 사복시의 제조였는데, 그 이전에 작성되었던 목장지도를 수정편찬하여 목장지도를 제작하게 하였다. 회화식 지도부분에는 전국의 목장 소재지를 지도에 그려넣고 소와 말, 목자(牧子)의 통계와 목장의 면적, 폐장된 목장의 상황 등을 기재하였다. 효종이 북벌계획(北伐計畵)을 추진함에 따라 군마(軍馬) 양육지로 전국의 초원지대와 도서 ·황무지 등에 목장을 확충하였는데, 이 지도첩은 그 위치와 크기, 상황을 시각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각 폭(幅), 각 면(面)마다 군명(郡名)과 이정표(里程表)를 기입한 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이 지도첩은 당시의 마정(馬政)과 목장에 관한 시책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1] [2]
클래스
- 유물
갤러리
- 서울 뚝섬 경마장, 사진아카이브 [3]
지도
기여
- 장원석: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