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혜의 아차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신은혜 작성 기사 목록)  | 
				 (→신은혜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신은혜]]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 + | =='''[[신은혜]]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 
<html>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acha/신은혜/신은혜.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acha/신은혜/신은혜.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신은혜]] 작성 기사 목록==  | + | =='''[[신은혜]] 작성 기사 목록'''==  | 
| − | *  | + | *'''인물'''  | 
| − | *  | + | **[[온달]]  | 
| − | + | **[[평강공주]]  | |
| − | *[[온달   | + | **[[평원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원왕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적'''  | ||
| + | **[[온달산성]]  | ||
| + | *'''기록'''  | ||
| + | **[[온달전]]  | ||
| + | *'''설화'''  | ||
| + | **[[온달 설화]]  | ||
| + | **[[발복설화]]  | ||
| + | |||
| + | *'''콘텐츠'''  | ||
| + | **[[온달 문학]]  | ||
| + | **[[온달 콘텐츠]]  | ||
| + | **[[온달성재밟기]]  | ||
| + | **[[단양군 온달문화축제]]  | ||
| + | |||
| + | *'''캐릭터'''  | ||
| + | **[[광이 진이]]  | ||
| + | |||
| + | *'''장소'''  | ||
| + | **[[고구려 대장간 마을]]  | ||
| + | |||
| + | |||
| + | == '''온톨로지 설계 주안점''' ==  | ||
| + | * 설계 주안점  | ||
| + | ** '온달'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관련 노드를 엮음  | ||
| + | ** '온달'의 역사적, 문화 콘텐츠적 의의를 고루 살핌  | ||
| + | |||
| + | == '''온톨로지 설계 결과''' ==  | ||
| + | * '온달'이 역사인물을 범위를 넘어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모티브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힘.  | ||
| + | * '평강공주' 또한 '온달' 못지않게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모티브로 기능하고 있음을 발견함.  | ||
| + | |||
| + | * 한계: 온달 관련 노드들을 시대에 따라 1.고구려시대(평강공주, 평강왕, 아차산성, 온달산성) 2.현대(온달 설화, 온달 문학, 온달 콘텐츠)로 크게 나누어 그래프상에서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배치하고 싶었으나 관계망에 따라 랜덤하게 위치가 배정됨  | ||
| + | |||
| + | |||
| + | |||
| + | [[분류:신은혜]]  | ||
[[분류:아차산성]]  | [[분류:아차산성]]  | ||
2016년 6월 26일 (일) 22:05 기준 최신판
신은혜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신은혜 작성 기사 목록
- 유적
 
- 기록
 
- 콘텐츠
 
- 캐릭터
 
- 장소
 
온톨로지 설계 주안점
-  설계 주안점
- '온달'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관련 노드를 엮음
 - '온달'의 역사적, 문화 콘텐츠적 의의를 고루 살핌
 
 
온톨로지 설계 결과
- '온달'이 역사인물을 범위를 넘어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모티브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힘.
 - '평강공주' 또한 '온달' 못지않게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모티브로 기능하고 있음을 발견함.
 
- 한계: 온달 관련 노드들을 시대에 따라 1.고구려시대(평강공주, 평강왕, 아차산성, 온달산성) 2.현대(온달 설화, 온달 문학, 온달 콘텐츠)로 크게 나누어 그래프상에서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배치하고 싶었으나 관계망에 따라 랜덤하게 위치가 배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