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종류)  | 
				 (→종류)  | 
				||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갈릭 난  | *갈릭 난  | ||
갈릭 난은 역시 마찬가지로 난 제조 과정중에 마늘을 넣어 만든다. 마늘빵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좋다.  | 갈릭 난은 역시 마찬가지로 난 제조 과정중에 마늘을 넣어 만든다. 마늘빵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좋다.  | ||
| + | |||
| + | *로그니 난  | ||
| + | 반죽의 윗면에 참깨나 검은깨, 양귀비 씨, 양파 씨 등을 뿌려 구워낸 난  | ||
| + | |||
| + | *알루 난   | ||
| + | 향신료와 으깬 삶은 감자를 채워 넣고 구워낸 난  | ||
| + | |||
| + | *키마 난   | ||
| + | 다진 양고기나 염소고기에 향신료를 넣고 볶아 반죽의 속으로 채워 넣고 구운 난  | ||
| + | |||
| + | *페샤와리 난  | ||
| + | 반죽의 윗면에 버터를 바르고 건포도와 견과류를 얹어 구워낸 난. 스위트 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클래스==  | ==클래스==  | ||
| 18번째 줄: | 30번째 줄: | ||
==사진==  | ==사진==  | ||
[[파일:난1.jpg|500px]]  | [[파일:난1.jpg|500px]]  | ||
| − | |||
[[파일:난3.jpg|500px]]  | [[파일:난3.jpg|500px]]  | ||
==기여==  | ==기여==  | ||
| − | *[[장동원]]:  | + | *[[장동원]]:처음작성  | 
| + | *[[엄태민]]:난의 종류 추가  | ||
==각주==  | ==각주==  | ||
2016년 6월 21일 (화) 23:03 기준 최신판
개관
난은 발효시킨 밀가루 반죽을 인도의 전통 진흙오븐인 탄두르(tandoor)에 넣어 구워낸 인도의 빵이다. 정제한 밀가루(마이다, maida)를 이용해 만들며 눈물 혹은 잎사귀 모양을 하고 있다. 인도에는 다양한 빵이 있으나 이 중에도 난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종류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플레인(plain) 난부터 갖가지 재료를 얹거나 속을 채워 만든 난 등 다양하게 있다. 난 그 자체만으로도 먹으며, 정제버터의 일종인 기(ghee)를 바르거나 깨를 뿌려 먹기도 하며, 손으로 뜯어 커리(curry)나 달(dal, 콩과 향신료로 만든 수프)에 찍어 먹기도 한다. [1]
종류
- 플레인 난
 
플레인 난은 말 그대로 아무 양념도 첨가하지 않은 난으로 담백한 맛을 자랑한다.
- 어니언 난
 
어니언 난은 난 제조 과정중에서 양파를 첨가해 양파향이 나도록 한 난이다. 맛있다.
- 갈릭 난
 
갈릭 난은 역시 마찬가지로 난 제조 과정중에 마늘을 넣어 만든다. 마늘빵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좋다.
- 로그니 난
 
반죽의 윗면에 참깨나 검은깨, 양귀비 씨, 양파 씨 등을 뿌려 구워낸 난
- 알루 난
 
향신료와 으깬 삶은 감자를 채워 넣고 구워낸 난
- 키마 난
 
다진 양고기나 염소고기에 향신료를 넣고 볶아 반죽의 속으로 채워 넣고 구운 난
- 페샤와리 난
 
반죽의 윗면에 버터를 바르고 건포도와 견과류를 얹어 구워낸 난. 스위트 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클래스
- 음식
 
사진
기여
각주
- ↑ [네이버 지식백과] 난 [Naan] (세계 음식명 백과, 마로니에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