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달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명의 사용자에 의한 3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대표명칭 = 온달산성 (溫達山城)
+
|대표명칭= 온달산성 (溫達山城)
|지정번호 = 사적 제264호
+
|지정번호= 사적 제264호
|지정일 = 1979년 07월 26일
+
|지정일= 1979.07.26
|지정명칭 = 온달산성 (溫達山城)
+
|지정명칭= 온달산성 (溫達山城)
|영문명칭 =  
+
|영문명칭=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건립·제작 = [[삼국시대]]
+
|건립·제작=
|주소 =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 산 67
+
|주소=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 산 67
|위도 = 37.057586
+
|위도= 37.057586
|경도 = 128.485006
+
|경도= 128.485006
|사진 = <html><img src=파일:온달산성1.jpg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아차산성]</ref>
+
|사진= 온달산성1.jpg
|웹사이트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tour.jsp?cid=125978
+
|웹사이트=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tour.jsp?cid=125978 대한민국구석구석 온달산성]
 
}}
 
}}
  
 +
<!---->
 
=='''개요'''==
 
=='''개요'''==
  
 
*'''정의'''
 
*'''정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있는 [[백제시대]] 산성.
+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있는 [[신라시대]] 산성.<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검색 온달산성]</ref>
 
+
  
 
*'''내용'''
 
*'''내용'''
[[아차산]]의 경사진 산허리 윗부분을 둘러 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아차산성(阿嵯山城)·[[아단성]](阿旦城)·[[장한성]](長漢城)·[[광장성]](廣壯城) 등으로도 불린다. [[백제]]가 [[고구려]]의 남진을 대비하기 위해서 [[광주(廣州)]]에 도읍을 두었을 때 쌓았다고 한다. 현재 동쪽·서쪽·남쪽에 각각 문터와 수구(水口)터만 있을 뿐 다른 시설은 확인되지 않는다. 성 안에 작은 계곡을 아우르고 있을 정도로 규모가 매우 큰 편이다.
+
[[남한강]]이 보이는 성산의 정상부근을 돌로 둘러쌓은 산성이다. 온달산성은 고구려 [[평원왕]](재위 559∼590)의 사위인 [[온달|온달장군]]의 이야기가 이 지방에 전해오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성이 언제 쌓아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조선 전기에 이미 성산성이란 이름으로 있었던 기록이 있다.
  
성벽은 약 1㎞ 정도인데, 해발 200m의 산꼭대기에서 시작하여 동남쪽 한강변의 경사진 산허리 윗부분을 둘러 쌓았다. 기본적으로 경사진 땅을 깎는 삭토법(削土法)을 이용하여 대강의 형태를 쌓은 뒤 그 윗부분에 낮은 석루(石壘)를 둘러 쌓은 모습이었던 것 같다. 현재 석루 부분은 무너져 흙과 돌을 함께 섞어서 쌓은 듯한 모습만 확인된다. 높이는 성벽 밖에서 보면 평균 10m 정도이지만 그보다 더 높은 곳도 있다. 성벽 안쪽은 1∼2m 내외의 높이인데, 수구 주변은 평탄해져서 안쪽벽은 남아 있지 않다. 성 밖에서 강변나루터에 이르는 구간은 좌우 양쪽의 지형을 이용해 흙을 깎아 성벽을 대신하였던 흔적을 찾을 수 있지만, 지금은 주택이 분포하면서 원래의 모습을 잃었다.
+
벽의 안팎을 모두 비슷한 크기의 돌로 가지런히 쌓아 올린, 둘레 683m의 소규모 산성이다. 성 안에는 [[삼국시대]]의 유물이 출토되며, 우물터가 남아있고, 성벽 바깥부분에는 사다리꼴 모양의 배수구가 있다. 남서쪽 문터의 형식과 동문의 돌출부는 우리나라 고대 성곽에서 드물게 보이는 양식으로 주목할 만하다.
  
이 산성은 백제 도성의 운명을 좌우하는 도하처(渡河處)를 수비하기 위하여 쌓은 산성으로, 한강을 사이에 두고 남쪽 맞은편에 있는 [[풍납토성|서울풍납동토성]](風納洞土城, 사적 제11호)과 함께 가장 중시된 성곽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된 [[백제시대]]의 [[아단성]]으로도 비정되고 있다. 한편 475년(개로왕 21)에 백제 수도 [[한산(漢山)]]이 [[고구려]]에 함락되었을 때 이 성 아래에서 [[개로왕|백제 개로왕]]이 죽임을 당하였고,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인 [[온달]](溫達, ?∼590)이 죽령 이북의 실지(失地) 회복을 위하여 신라군과 싸우다가 역시 이 성 아래에서 전사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42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성의 북동쪽 남한강의 강변 절벽 아래에는 온달굴이라는 석회암 동굴이 있고, 성을 바라보는 북쪽 강 건너의 산에도 [[온달 설화|온달과 관계되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성벽의 보존 상태가 좋아, 축성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640000,33 문화재청 검색 온달산성]</ref>
  
=='''클래스'''==
+
*'''온달과 온달산성'''
 +
온달산성의 축성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0600&cid=46618&categoryId=46618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둘레 1,523척, 높이 11척의 석축성으로 우물이 1개소 있다”고 하였고,[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81270&cid=46618&categoryId=46618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온달]]이 을아조(乙阿朝)를 지키기 위해 축조하였다”는 전설이 소개되어 있다. ‘을아조’는 [[단양군]] 영춘(永春)의 옛 지명인 ‘을아단(乙阿旦)’으로,[[삼국사기|『삼국사기』]]에서 “[[온달]]이 [[아단성]] 아래에서 신라군과 싸우다 유시(流矢)에 맞아 사망하였다”고 한 내용과도 관련된다. 하지만 [[아단성]]을 [[서울특별시]] [[아차산성|아차산성(阿且山城)]]으로 보는 견해가 있기도 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검색 온달산성]</ref>
  
* 유적
+
=='''지도'''==
 +
<googlemap width="40%" height="400" lat="37.057586" lon="128.485006" type="hybrid"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37.057586, 128.485006, [[온달산성]]
 +
</googlemap>
  
=='''관련 문서'''==
+
=='''갤러리'''==
 +
<gallery>
 +
파일:온달산성1.jpg|온달산성1<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2.jpg|온달산성2<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3.jpg|온달산성3<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4.jpg|온달산성4<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5.jpg|온달산성5<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6.jpg|온달산성6<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7.jpg|온달산성7<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8.jpg|온달산성8<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9.jpg|온달산성9<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0.jpg|온달산성10<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1.jpg|온달산성11<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2.jpg|온달산성12<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3.jpg|온달산성13<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4.jpg|온달산성14<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5.jpg|온달산성15<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6.jpg|온달산성16<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7.jpg|온달산성17<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8.jpg|온달산성18<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19.jpg|온달산성19<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20.jpg|온달산성20<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21.jpg|온달산성21<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22.jpg|온달산성22<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23.jpg|온달산성23<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파일:온달산성24.jpg|온달산성24<ref>그림출처: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978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f>
 +
</galler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관련 링크'''==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5819&cid=42840&categoryId=42853 네이버 지식백과 답사여행의 길잡이: 충북 - 온달산성]
 +
 
 +
=='''관련 항목'''==
 +
{|class="wikitable"
 +
! 이 문서 A    ||   관련 문서 B  ||  관계
 
|-
 
|-
|[[아차산성]]||A는 B에 만들어 졌다||[[삼국시대]]
+
| 온달산성  ||  [[온달]] || A는 B와(과) 관련이 있다.
 
|-
 
|-
|[[아차산성]]||A는 B에 기록되어 있다||[[삼국사기]]
+
| 온달산성  ||  [[온달성재밟기]] ||   A에서 B을(를) 벌인다.
 
|-
 
|-
|[[아차산성]]||A는 B에 만들어지다||[[책계왕]]
+
| 온달산성  || [[고구려]] ||   A는 B때 만들어였다.
|-
+
|[[아차산성]]||A는 B가 조사하였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
+
|[[아차산성]]||A는 B가 조사하였다||[[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
|-
+
|[[아차산성]]||A는 B이 조사하였다||[[구리문화원]]
+
|-
+
|[[아차산성]]||A는 B이 조사하였다||[[광진문화원]]
+
|-
+
|[[아차산성]]||A는 B와 관련 있다||[[온달]]
+
|-
+
|[[아차산성]]||A는 B를 포함한다||[[아차산성 남문지]]
+
|-
+
|[[아차산성]]||A는 B를 포함한다||[[아차산성 서문지]]
+
|-
+
|[[아차산성]]||A는 B를 포함한다||[[아차산성 동문지]]
+
|-
+
|[[아차산성]]||A는 B를 포함한다||[[아차산성 장대지]]
+
|-
+
|[[아차산성]]||A는 B에 위치 한다||[[아차산]]
+
 
|-
 
|-
 +
| 온달산성  ||  [[단양군]]  ||  A는 B에 위치한다.
 
|}
 
|}
  
=='''지도'''==
+
=='''클래스'''==
<center>
+
* 유적
<googlemap width="650" height="400" lat="37.057586" lon="128.485006" type="hybrid" zoom="12"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37.057586, 128.485006, [[온달산성]]
+
 
+
</googlemap>
+
</center>
+
 
+
=='''갤러리'''==
+
 
+
  
 
=='''기여'''==
 
=='''기여'''==

2016년 6월 16일 (목) 17:43 기준 최신판


개요

  •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있는 신라시대 산성.[1]

  • 내용

남한강이 보이는 성산의 정상부근을 돌로 둘러쌓은 산성이다. 온달산성은 고구려 평원왕(재위 559∼590)의 사위인 온달장군의 이야기가 이 지방에 전해오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성이 언제 쌓아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조선 전기에 이미 성산성이란 이름으로 있었던 기록이 있다.

벽의 안팎을 모두 비슷한 크기의 돌로 가지런히 쌓아 올린, 둘레 683m의 소규모 산성이다. 성 안에는 삼국시대의 유물이 출토되며, 우물터가 남아있고, 성벽 바깥부분에는 사다리꼴 모양의 배수구가 있다. 남서쪽 문터의 형식과 동문의 돌출부는 우리나라 고대 성곽에서 드물게 보이는 양식으로 주목할 만하다.

성의 북동쪽 남한강의 강변 절벽 아래에는 온달굴이라는 석회암 동굴이 있고, 성을 바라보는 북쪽 강 건너의 산에도 온달과 관계되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성벽의 보존 상태가 좋아, 축성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2]

  • 온달과 온달산성

온달산성의 축성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둘레 1,523척, 높이 11척의 석축성으로 우물이 1개소 있다”고 하였고,『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온달이 을아조(乙阿朝)를 지키기 위해 축조하였다”는 전설이 소개되어 있다. ‘을아조’는 단양군 영춘(永春)의 옛 지명인 ‘을아단(乙阿旦)’으로,『삼국사기』에서 “온달아단성 아래에서 신라군과 싸우다 유시(流矢)에 맞아 사망하였다”고 한 내용과도 관련된다. 하지만 아단성서울특별시 아차산성(阿且山城)으로 보는 견해가 있기도 하다.[3]

지도

갤러리

관련 링크

관련 항목

이 문서 A 관련 문서 B 관계
온달산성 온달 A는 B와(과) 관련이 있다.
온달산성 온달성재밟기 A에서 B을(를) 벌인다.
온달산성 고구려 A는 B때 만들어였다.
온달산성 단양군 A는 B에 위치한다.

클래스

  • 유적

기여

출처

  1.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검색 온달산성
  2. 문화재청 검색 온달산성
  3.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검색 온달산성
  4.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5.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6.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7.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8.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9.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0.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1.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2.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3.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4.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5.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6.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7.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8.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19.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0.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1.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2.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3.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4.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5.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6.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
  27. 그림출처: 한국관광공사 검색 온달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