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용 애니메이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weepstakes  (토론 | 기여)   | 
				|||
| (3명의 사용자에 의한 1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 − | [[  | + | [[파일:요괴워치다냥.jpg|섬네일|오른쪽|TV애니메이션 《요괴워치》의 극장판 포스터]]  | 
| − | + | [[파일:snowwhite.jpg|섬네일|최초의 장편 테크니컬러 애니메이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 |
| − | ==  | + | |
| + | |||
| + | ==관계==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주어||관계||목적어  | ||
| + | |-  | ||
| + |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에 속한다||[[애니메이션]]  | ||
| + | |-  | ||
| + |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와 관련이 있다||[[TV 애니메이션]]  | ||
| + | |-  | ||
| + | |}  | ||
| + | |||
==특징==  | ==특징==  | ||
| − | ==제작   | + | 극장용 애니메이션(영어: Animated film 또는 Animation movie)은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劇場版) 애니메이션이라고도 부르며 극장에서 상영할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을 일컫는다.  | 
| − | ===  | + | |
| + | [[TV 애니메이션]]에서도 언급하듯이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이 미디어 믹스되어 출연하였다는 의미를 내포했다고 볼 수 있다. 대게 TV판이라고 할 수 있는 [[TV 애니메이션]]이 흥행해야 극장판으로 제작이 되는데, [[극장용 애니메이션]]에서는 [[TV 애니메이션]]의 후속작으로써 작용할 수도 있지만 독자적인 노선을 갈 수도 있다. 전체적인 스토리 라인을 정리하거나 팬서비스용으로 서비스 컷을 잔뜩 넣어주는 극장판도 있는 반면, 기존 TV판의 스토리를 극장판에서 완결짓거나 재해석, 혹은 아예 갈아엎고 리메이크를 하는 경우도 있다. 페러렐 세계관으로 또 다른 이야기가 구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시리즈 중의 하나로 작용할 수도 있고 프리퀄, 단편, 시퀄 등 트랜스 미디어되는 경우도 있다. 간혹 드물게 기존 팬층을 낚는 경우도 있지만 아주 드물다.   | ||
| + | |||
| + | |||
| + | 보통은 장편영화 플레이타임 분량인 대략 1~2시간 정도의 러닝타임을 가지며, TV판에선 보기 힘든 우수한 작화 퀄리티와 장대한 연출, OST 등을 선보이는 특성을 지닌다. 특히 애니메이션의 경우 일본에서 거품경제가 일었던 80년대 극장판 작품들은 말 그대로 작품일 정도다. 물론 극장판이 더 퀄리티가 낮은 경우도 있었다.   | ||
| + | |||
| + | |||
| + | 일부 작품은 본편과 극장판의 캐릭터가 완전히 달라져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유아용이나 어린이 애니메이션이 극장판으로 제작되면 분위기가 청소년, 성인층을 필두로 한 듯한 매우 다른 작품으로 나오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날아라 호빵맨, [[도라에몽]], [[방가방가 햄토리]] 가 있었다..  | ||
| + | |||
| + | ==유형==  | ||
| + | ===TVA(TV Animation) 후속===  | ||
| + | *극장판 명탐정 코난  | ||
| + | *[[도라에몽#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극장판 도라에몽]]  | ||
| + | *극장판 원피스  | ||
| + | *[[포켓몬스터#시리즈|극장판 포켓몬스터]]  | ||
| + | *심슨 가족, 더 무비  | ||
| + | *보글보글 스폰지밥  | ||
| + | ===독자적인 스토리 제작===  | ||
| + |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SKG]]  |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SKG]]  | ||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 ||
| − | |||
*[[스튜디오 지브리]]  | *[[스튜디오 지브리]]  | ||
| + | ====애니메이션 감독====  | ||
| + | *[[팀 버튼]]  | ||
| + | *[[호소다 마모루]]  | ||
==기여==  | ==기여==  | ||
| − | *[[황미나]] : 처음 작성  | + | *[[황미나]] : 처음 작성, 문단 제목 수정, 사진, 특징, 첫 줄 추가  | 
| − | *[[최주현]] : 특징 작성, 사진 추가  | + | *[[최주현]] : 특징 작성, 사진 추가, 관계 추가  | 
| − | + | [[분류:황미나]]  | |
| − | + | [[분류:영화관에서 만나는 애니메이션]]  | |
| +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 ||
[[분류:최주현]]  | [[분류:최주현]]  | ||
[[분류:추억의 애니메이션]]  | [[분류:추억의 애니메이션]]  |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 ||
2017년 6월 9일 (금) 23:15 기준 최신판
관계
| 주어 | 관계 | 목적어 | 
|---|---|---|
| 극장용 애니메이션 | 은 ~에 속한다 | 애니메이션 | 
| 극장용 애니메이션 | 은 ~와 관련이 있다 | TV 애니메이션 | 
특징
극장용 애니메이션(영어: Animated film 또는 Animation movie)은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劇場版) 애니메이션이라고도 부르며 극장에서 상영할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을 일컫는다.
TV 애니메이션에서도 언급하듯이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이 미디어 믹스되어 출연하였다는 의미를 내포했다고 볼 수 있다. 대게 TV판이라고 할 수 있는 TV 애니메이션이 흥행해야 극장판으로 제작이 되는데, 극장용 애니메이션에서는 TV 애니메이션의 후속작으로써 작용할 수도 있지만 독자적인 노선을 갈 수도 있다. 전체적인 스토리 라인을 정리하거나 팬서비스용으로 서비스 컷을 잔뜩 넣어주는 극장판도 있는 반면, 기존 TV판의 스토리를 극장판에서 완결짓거나 재해석, 혹은 아예 갈아엎고 리메이크를 하는 경우도 있다. 페러렐 세계관으로 또 다른 이야기가 구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시리즈 중의 하나로 작용할 수도 있고 프리퀄, 단편, 시퀄 등 트랜스 미디어되는 경우도 있다. 간혹 드물게 기존 팬층을 낚는 경우도 있지만 아주 드물다.
보통은 장편영화 플레이타임 분량인 대략 1~2시간 정도의 러닝타임을 가지며, TV판에선 보기 힘든 우수한 작화 퀄리티와 장대한 연출, OST 등을 선보이는 특성을 지닌다. 특히 애니메이션의 경우 일본에서 거품경제가 일었던 80년대 극장판 작품들은 말 그대로 작품일 정도다. 물론 극장판이 더 퀄리티가 낮은 경우도 있었다. 
일부 작품은 본편과 극장판의 캐릭터가 완전히 달라져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유아용이나 어린이 애니메이션이 극장판으로 제작되면 분위기가 청소년, 성인층을 필두로 한 듯한 매우 다른 작품으로 나오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날아라 호빵맨, 도라에몽, 방가방가 햄토리 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