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같은 사용자에 의한 4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기본정보==  | ==기본정보==  | ||
| − | *이름 : 이소미  | + | *이름 : 이소미<ref>밝을 昭 아름다울 美</ref>  | 
* 영문 : Lee So Mee  | * 영문 : Lee So Mee  | ||
*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 *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학번 : 15  | * 학번 : 15  | ||
* 메일 : som3521@naver.com  | * 메일 : som3521@naver.com  | ||
| + | [[파일:sm.jpg]]  | ||
| + | |||
| + | {{수강생정보  | ||
| + | |이름=이소미  | ||
| + | |영문=Lee So Mee  | ||
| + | |전공=문화콘텐츠학과  | ||
| + | |소속=건국대학교  | ||
| + | |학번=15  | ||
| + | |메일=som3521@naver.com  | ||
| + | |사진=sm.jpg  | ||
| + | }}  | ||
| + | |||
==상세정보==  | ==상세정보==  | ||
| + | |||
| + | ===나와 관련있는 것들===  | ||
| + | {|class="wikitable"  | ||
| + | !주어||관계||목적어  | ||
| + | |-  | ||
| + | |[[이소미]]||는 ~에 재학중이다||[[건국대학교]]  | ||
| + | |-  | ||
| + | |[[이소미]]||는 ~에 갔었다||[[ku시네마테크]]  | ||
| + | |-  | ||
| + | |[[이소미]]||~와 서먹서먹하다||[[배승희]]  | ||
| + | |-  | ||
| + | |[[이소미]]||가 좋아하는 음식은||[[티라미수]]  | ||
| + | |}  | ||
| + | |||
| + | |||
| + | |||
| + | |||
===수업에 임하는 각오===  | ===수업에 임하는 각오===  | ||
나는 이소미이다.  | 나는 이소미이다.  | ||
| 14번째 줄: | 43번째 줄: | ||
===이 강의를 같이 듣는 친구들===  | ===이 강의를 같이 듣는 친구들===  | ||
| − | * [[배승희|  | + | * [[배승희|승희씨]]  | 
| + | * [[이상윤|상윤쨩]]  | ||
| + | |||
| + | <gallery>  | ||
| + | 파일:배승희.jpg|[[배승희|배 승희 씨]]  | ||
| + | |||
| + | </gallery>  | ||
| + | |||
| + | ===웹에 존재하는 내 흔적들===  | ||
| + | [http://digerati.aks.ac.kr/knu/2016/student/이소미/hello.htm  나의 첫번째 홈페이지]  | ||
| + | |||
| + | ===나의 위키 콘텐츠 제작 구상===  | ||
| + | 1. 내가 만들어 보고 싶은 위키 콘텐츠 주제: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한)한국의 신화, 전설, 요괴  | ||
| + | |||
| + | |||
| + | 2. 내가 이 주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 나는 판타지 스토리텔링을 좋아한다. 스토리텔링의 기본은, 광범위하며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수집에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판타지 콘텐츠는 보통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통이나 전설 등을 원형으로 하고 있다고 본다. 그 원형은 그냥 생겨난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생성되었을 것이다. 때문에 나는 우리나라의 대중적으로 알려진 신화적 내용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알지 못했던 사소한 것까지 속속들이 찾아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 신화에 담긴 문화적 통찰과 철학적 사유를 포함하여 그저 유흥거리에만 그치지 않는 의미있는 판타지 스토리의 기반을 닦고자 한다.   | ||
| + | |||
| + | |||
| + | 3. 이 콘텐츠에 담을 개별 기사의 제목  | ||
| + | #* 대표 기사 제목: 한국의 신화적 원형과 그 배경  | ||
| + | #* 관련 기사 제목:   | ||
| + | #** 1) 한국의 신화(세기별 신과 동물 및 자연)   | ||
| + | #** 2) 전설(세기별 실존인물을 중심으로)   | ||
| + | #** 3) 요괴(탄생 배경)  | ||
| + | #** 4) 문화와 관련한 신화  | ||
| + | #** 5) 역사와 관련한 신화  | ||
| + | #** 6) 한국신화를 기반으로 한 작품들  | ||
| + | |||
| + | |||
| + | 4. 콘텐츠 제작 계획  | ||
| + | #* 자료 조사 계획 : 인터넷, 교양도서, 관련 작품 접해보기(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  | ||
| + | #* 현장 취재 계획 : 박물관 방문, 신화가 살아있는 현 장소의 방문  | ||
| + |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계획 : 한국의 신화를 총망라하는 영상이나 ppt 제작  | ||
| + | |||
| + | ==우리집과 건국대학교==  | ||
| + | <center>  | ||
| + | <googlemap width="120%" height="300" lat="37.543442" lon="127.1100411" type="normal"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 37.544121, 127.075428, [[건국대 상허연구관]]  | ||
| + | 37.544272, 127.076049, [[건국대 경영관]]  | ||
| + | 37.543146, 127.075133, [[건국대행정관]]  | ||
| + | 37.556749, 127.166399, [[솜 집 근처]]  | ||
| + | 34.687856, 135.520680, [[오사카성]]  | ||
| + | 37.551374, 127.144053, [[My favorite place]]  | ||
| + | </googlemap>  | ||
| + | </center>  | ||
| + | |||
| + | ==각주==  | ||
| + | <references/>  | ||
| + | |||
| + | [[분류:인문정보학입문 수강생]]  | ||
| + | [[분류:15학번]]  | ||
| + | [[분류:여자]]  | ||
| + | [[분류:이소미]]  | ||
| + | [[분류:당신의 활기찬 문화생활을 위한 공연장 소개(Feat.대학로)]]  | ||
| +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 ||
2016년 6월 1일 (수) 16:43 기준 최신판
목차
기본정보
- 이름 : 이소미[1]
 - 영문 : Lee So Mee
 - 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 소속 : 건국대학교
 - 학번 : 15
 - 메일 : som3521@naver.com
 
| Wiki 명함 | |
|---|---|
  
 | |
| 이름 | 이소미 | 
| 영문 | Lee So Mee | 
| 전공 | 문화콘텐츠학과 | 
| 소속 | 건국대학교 | 
| 학번 | 15 | 
| 메일 | som3521@naver.com | 
| 위키ID | |
상세정보
나와 관련있는 것들
| 주어 | 관계 | 목적어 | 
|---|---|---|
| 이소미 | 는 ~에 재학중이다 | 건국대학교 | 
| 이소미 | 는 ~에 갔었다 | ku시네마테크 | 
| 이소미 | ~와 서먹서먹하다 | 배승희 | 
| 이소미 | 가 좋아하는 음식은 | 티라미수 | 
수업에 임하는 각오
나는 이소미이다.
이소미이기 때문이다.
이 강의를 같이 듣는 친구들
웹에 존재하는 내 흔적들
나의 위키 콘텐츠 제작 구상
1. 내가 만들어 보고 싶은 위키 콘텐츠 주제: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한)한국의 신화, 전설, 요괴
2. 내가 이 주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 나는 판타지 스토리텔링을 좋아한다. 스토리텔링의 기본은, 광범위하며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수집에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판타지 콘텐츠는 보통 특정 국가나 지역의 전통이나 전설 등을 원형으로 하고 있다고 본다. 그 원형은 그냥 생겨난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생성되었을 것이다. 때문에 나는 우리나라의 대중적으로 알려진 신화적 내용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알지 못했던 사소한 것까지 속속들이 찾아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 신화에 담긴 문화적 통찰과 철학적 사유를 포함하여 그저 유흥거리에만 그치지 않는 의미있는 판타지 스토리의 기반을 닦고자 한다. 
3. 이 콘텐츠에 담을 개별 기사의 제목
- 대표 기사 제목: 한국의 신화적 원형과 그 배경
 -  관련 기사 제목: 
- 1) 한국의 신화(세기별 신과 동물 및 자연)
 - 2) 전설(세기별 실존인물을 중심으로)
 - 3) 요괴(탄생 배경)
 - 4) 문화와 관련한 신화
 - 5) 역사와 관련한 신화
 - 6) 한국신화를 기반으로 한 작품들
 
 
4. 콘텐츠 제작 계획
- 자료 조사 계획 : 인터넷, 교양도서, 관련 작품 접해보기(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
 - 현장 취재 계획 : 박물관 방문, 신화가 살아있는 현 장소의 방문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계획 : 한국의 신화를 총망라하는 영상이나 ppt 제작
 
우리집과 건국대학교
각주
- ↑ 밝을 昭 아름다울 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