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성 시발굴조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아차산성]]은 1996년 서울시 [[광진구]]에서 종합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보수공사 실시위해 기초조사 작업 중 석축으로 이루어진 성벽 노출되었다. 이로 인해 1997년 [[국립문화재연구소]]와 [[명지대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에 의해 이 구간 수습발굴 진행하였다. 그러나 성벽의 축조방식과 복원방향 등에 대한 학계의 이견이 제기되어 성벽의 복원과 산성의 성격규명을 위해 아차산성에 대한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광진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측에 성벽과 성내부에 대한 시굴조사를 의뢰하여 1998~1999년 [[서울대]], [[건국대]], [[세종대]], [[명지대]] 등의 조사단이 구성되어 성벽과 성 내부에 대한 시굴조사 진행하게 되었다.<ref> 아차산성 시발굴조사보고서</ref>
+
[[아차산성]]은 1996년 서울시 [[광진구]]에서 종합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보수공사를 실시 하기위해 기초조사 작업 중 석축으로 이루어진 성벽 노출되었고, 이로 인해 1997년 [[국립문화재연구소]]와 [[명지대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에 의해 이 구간 수습발굴 진행하였다. 그러나 성벽의 축조방식과 복원방향 등에 대한 학계의 이견이 제기되어 성벽의 복원과 산성의 성격규명을 위해 아차산성에 대한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광진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측에 성벽과 성내부에 대한 시굴조사를 의뢰하여 1998~1999년 [[서울대]], [[건국대]], [[세종대]], [[명지대]] 등의 조사단이 구성되어 성벽과 성 내부에 대한 시굴조사 진행하게 되었다.<ref>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ref>
  
  
  
 
==조사결과==
 
==조사결과==
[[아차산성]]의 전체적 형태는 부정 육각형 포곡식 산성으로 성벽은 내외벽 및 체성 내부를 석재를 이용해 쌓고 바깥쪽으로 성벽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축을 쌓은 석축 산성이다. 아차산성 내부는 계단상의 지형을 하고 있으며, [[연지]], [[초대형 건물지]], 주거유구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차산성은 문헌상으로는 [[백제]] [[책계왕]] 때 축성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발굴을 통해서 조사된 토기와 기와, 철기 등을 통해 볼 때, 현존하는 석축성벽은 축조 상한은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한 6세기 중반 이후이며, 출토 유물로 보아 7세기 전반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ref> 아차산성 시발굴조사보고서</ref>
+
[[아차산성]]의 전체적 형태는 부정 육각형 포곡식 산성으로 성벽은 내외벽 및 체성 내부를 석재를 이용해 쌓고 바깥쪽으로 성벽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축을 쌓은 석축 산성이다. 아차산성 내부는 계단상의 지형을 하고 있으며, [[연지]], [[초대형 건물지]], 주거유구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차산성은 문헌상으로는 [[백제]] [[책계왕]] 때 축성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발굴을 통해서 조사된 토기와 기와, 철기 등을 통해 볼 때, 현존하는 석축성벽은 축조 상한은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한 6세기 중반 이후이며, 출토 유물로 보아 7세기 전반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ref>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ref>
  
  
13번째 줄: 13번째 줄:
 
<imagemap>
 
<imagemap>
 
파일:포곡식.png  
 
파일:포곡식.png  
</imagemap> <ref> 아차산성 시발굴조사보고서</ref>
+
</imagemap> <ref>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p.30, p.20</ref>
  
  
20번째 줄: 20번째 줄:
 
! 이문서 || 관계 || 관련 내용
 
! 이문서 || 관계 || 관련 내용
 
|-
 
|-
|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관련 기관 ||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세종대학교]] [[건국대학교]]
+
|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관련 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명지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세종대학교]] [[건국대학교]]
 
|-
 
|-
 
|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관련 유적 || [[아차산성]]  
 
|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관련 유적 || [[아차산성]]  
62번째 줄: 62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
[[분류: 아차산성]]
 
[[분류: 발굴 조사]]
 
[[분류: 발굴 조사]]

2016년 6월 19일 (일) 14:54 기준 최신판

개요

아차산성은 1996년 서울시 광진구에서 종합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보수공사를 실시 하기위해 기초조사 작업 중 석축으로 이루어진 성벽 노출되었고, 이로 인해 1997년 국립문화재연구소명지대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에 의해 이 구간 수습발굴 진행하였다. 그러나 성벽의 축조방식과 복원방향 등에 대한 학계의 이견이 제기되어 성벽의 복원과 산성의 성격규명을 위해 아차산성에 대한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광진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측에 성벽과 성내부에 대한 시굴조사를 의뢰하여 1998~1999년 서울대, 건국대, 세종대, 명지대 등의 조사단이 구성되어 성벽과 성 내부에 대한 시굴조사 진행하게 되었다.[1]


조사결과

아차산성의 전체적 형태는 부정 육각형 포곡식 산성으로 성벽은 내외벽 및 체성 내부를 석재를 이용해 쌓고 바깥쪽으로 성벽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축을 쌓은 석축 산성이다. 아차산성 내부는 계단상의 지형을 하고 있으며, 연지, 초대형 건물지, 주거유구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차산성은 문헌상으로는 백제 책계왕 때 축성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발굴을 통해서 조사된 토기와 기와, 철기 등을 통해 볼 때, 현존하는 석축성벽은 축조 상한은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한 6세기 중반 이후이며, 출토 유물로 보아 7세기 전반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2]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지형도 및 위치도

포곡식.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3]


관련 사항

이문서 관계 관련 내용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관련 기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명지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세종대학교 건국대학교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관련 유적 아차산성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관련 유물 아차산성 인화문토기 철제 초두 철제 보습 연화문 와당


관련 사항

이문서 관계 관련 내용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에서 조사되었다 건국대학교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에서 조사되었다 세종대학교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에서 조사되었다 명지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에 관한 기록이다 아차산성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가 발견되었다 아차산성 인화문토기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가 발견되었다 아차산성 철제 초두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가 발견되었다 아차산성 철제 보습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가 발견되었다 아차산성 연화문 와당


클래스

  • 사건


기여

출처

  1.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2.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3.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p.30, p.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