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시즘 손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출처)
 
 
11번째 줄: 11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D%86%A0_%EC%BB%A8%EB%B2%84%EA%B7%B8 오토 컨버그의 자기애 이론]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D%86%A0_%EC%BB%A8%EB%B2%84%EA%B7%B8 오토 컨버그의 자기애 이론]
 +
 +
[[Category: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Category:욕망하는 여성들]]

2025년 6월 20일 (금) 19:31 기준 최신판

나르시시즘의 상처(Narcissistic Injury)를 뜻한다.

오토 컨버그의 객관 관계이론에 따르면 병적인 자기애 성격을 가진 사람은 어릴 적 건강한 자아(self)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이상화된 자기 이미지와 이상화된 타자 이미지를 내면화하여 불안정한 자아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누군가가 이를 부정하거나 공격, 혹은 무시하면 이 환상이 깨지고, 자아가 심각하게 손상되는데 이것이 나르시시즘의 상처이다.

즉, <팔이피플>의 박주연은 김예희의 존재로 이상화된 자기 이미지를 부정 당하게 되며 나르시시즘의 상처를 겪고 그녀를 이상화하는 방어기제를 사용하지만, 이상화된 예희가 자신을 버리자 또 한 번 자아가 심각하게 손상되는 나르시시즘의 상처를 겪게 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