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고아의 죄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iv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top, rgba(0, 0, 0, 0.9), rgba(255,255,255,0)); padding: 30px;"> <div style="background: rgba(255,255,255,0.9); padding: 15px; borde...)
 
(동영상)
 
(2명의 사용자에 의한 3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div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top, rgba(0, 0, 0, 0.9), rgba(255,255,255,0)); padding: 30px;">
+
   <div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top, rgba(50,70,120,0.7), rgba(255,255,255,0)); padding: 30px;">
 
    
 
    
 
     <div style="background: rgba(255,255,255,0.9); padding: 15px; border-radius: 6px;">
 
     <div style="background: rgba(255,255,255,0.9); padding: 15px; border-radius: 6px;">
10번째 줄: 10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6040C0, #000000); color:#ffffff; font-size:150%;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hite;" | '''인물'''
 
! colspan="2"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6040C0, #000000); color:#ffffff; font-size:150%;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hite;" | '''인물'''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제천대성.png]]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제천대성.png|450px]] <ref>[https://comic.naver.com/webtoon/list?titleId=747269 전지적독자시점_웹툰_中] </ref>
 
|-
 
|-
 
| style="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hite; color:white;"|'''수식언''' || style="border:1px solid white; color:white;"| 긴고아의 죄수 → 가장 오래된 해방자
 
| style="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hite; color:white;"|'''수식언''' || style="border:1px solid white; color:white;"| 긴고아의 죄수 → 가장 오래된 해방자
34번째 줄: 34번째 줄: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내용'''<ref>[https://namu.wiki/w/%EC%A0%84%EC%A7%80%EC%A0%81%20%EB%8F%85%EC%9E%90%20%EC%8B%9C%EC%A0%90/%EC%84%A4%EC%A0%95 나무위키, 전지적 독자 시점/설정]</ref>==
+
=='''내용'''<ref>[https://namu.wiki/w/%EA%B8%B4%EA%B3%A0%EC%95%84%EC%9D%98%20%EC%A3%84%EC%88%98 나무위키_긴고아의_죄수]</ref>==
 
==='''특징'''===
 
==='''특징'''===
명계의 명왕 [[하데스]]가 [[기간토마키아]]를 준비하기 위해 만든 설화병기의 일종으로 30m의 거대 로봇이다. 기동을 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개연성의 소비를 요구하기 때문에 기간토마키아급의 시나리오가 아니라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어렵다.
+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
*수렴동을 지배하던 원순왕 [https://namu.wiki/w/%EC%86%90%EC%98%A4%EA%B3%B5?from=%EB%AF%B8%ED%9B%84%EC%99%95 미후왕]
 +
*천계와의 사기계약에 당해 마구간을 관리하던 시절인 [https://namu.wiki/w/%ED%95%84%EB%A7%88%EC%98%A8 필미온]
 +
*서유기의 주요 파트를 맡은 긴고아를 차고 삼장을 따라 여정을 가는 중인 [https://namu.wiki/w/%EC%A0%9C%EC%B2%9C%EB%8C%80%EC%84%B1 제천대성]
 +
*모든 여정 끝에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된 [https://namu.wiki/w/%EC%86%90%EC%98%A4%EA%B3%B5?from=%ED%88%AC%EC%A0%84%EC%8A%B9%EB%B6%88 투전승불]
  
==='''[[김남운]]과의 관계'''===
+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설화병기는 설화를 동력 삼아 작동하는 특징을 가지는데 거신병 플루토의 설화는 영혼이다. 거신병에는 김남운의 영혼이 동력원으로 사용되어 김남운의 자아가 들어가 있다.
+
  
=='''작중행적<ref>[https://namu.wiki/w/%EA%B9%80%EB%82%A8%EC%9A%B4 나무위키, 전지적 독자 시점/등장인물/김남운]</ref>'''==
+
=='''작중행적'''==
거대한 크기와 막대한 개연성 소비로 인해 작중에 등장하는 빈도가 적다. 크게 [[김독자]]의 첫 번째 명계 방문, 혁명가 시나리오, 기간토마키아 시나리오를 들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활약한 에피소드는 기간토마키아 에피소드이다. [[김독자]]의 명계 방문 당시에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모습이었고 이후 [[김독자]]가 [[김남운]]에게 제공한 힌트로 인해 완성된다. 공단 에피소드에서는 긴고아의 죄수가 개연성을 빌려줘 소환될 수 있었으나 1분 남짓이었다. 그럼에도 세이스비츠 공작의 공장이 제구실을 못할 정도로 만들어, 그 위력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간토마키아 에피소드에서는  [[김독자]]와 [[유중혁]]이 기간토마키아를 준비하기 위해 명계에 온 초반부터, 올림포스와 본격적인 전투를 벌이는 중반까지 등장한다. 전투에서 [[김독자]]의 조종아래 상대편의 거신병 헤라클레스를 부수는 데 성공한다.
+
  
==='''회차 정리'''===
+
초기 심연의 흑염룡, 악마 같은 불의 심판자, 은밀한 모략가와 함께 가장 오랫동안 김독자(주인공)을 지켜본 4인의 애청자 중 하나이다. 초중반 관망에 가까운 태도로 김독자를 지켜봐왔기에 행적이 드러나지 않았었지만 서유기 리메이크 에피소드에서 김독자를 자신의 형제로 받아들이면서 시나리오에 이변을 일으킨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 style="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font-weight:bold;" | 거신병 플루토의 등장회차(웹소설 기준)
+
! style="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회차
+
! style="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 에피소드
+
|-
+
| 1부 113화 || Episode 22. 세가지 약속(5)
+
|-
+
| 2부 219화 || Episode 41. 진짜 혁명가(5)
+
|-
+
| 2부 220화 || Episode 41. 진짜 혁명가(6)
+
|-
+
| 2부 220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1)
+
|-
+
| 3부 321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2)
+
|-
+
| 3부 322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3)
+
|-
+
| 3부 323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4)
+
|-
+
| 3부 324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5)
+
|-
+
| 3부 330화 || Episode 62. 신의 천적(3)
+
|-
+
| 3부 331화 || Episode 62. 신의 천적(4)
+
|-
+
| 3부 336화 || Episode 63. 신화의 종말(3)
+
|-
+
| 3부 337화 || Episode 63. 신화의 종말(4)
+
|-
+
| 3부 339화 || Episode 63. 신화의 종말(6)
+
|}
+
  
=='''시맨틱 스토리텔링'''==
+
==='''서유기 에피소드 속 행적'''===
[[전지적 독자 시점 속 기간토마키아]]
+
  
 +
===='''메인 시나리오 # 94 ―서유기 리메이크'''====
 +
<div style="background-color:#37B0FF; color:#FFFFFF; padding:15px; height:350px; width:250px; border-radius:10px; overflow:auto;">분류 : 메인<br>난이도 : ???<br>클리어 조건 : 다른 성좌 또는 화신들과 함께 ‘설화방’을 만들어 서유기를 리메이크하십시오.<br>리메이크된 서유기는 실시간으로 심사위원들과 관객들을 통해 평가되며, ‘인기도’, ‘원작 반영도’, ‘참신함’ 등의 평가항목을 통해 총점이 매겨집니다.<br>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설화가 시나리오의 우승자가 됩니다.<br>제한시간 : ―<br>보상 : ‘서유기’와 관련된 거대 설화, 성운 <황제>의 호의, 3,000,000코인, ???<br>실패시 : ―<br>* 재구성된 설화들의 저작권은 성운 <황제>와 참가자가 공동 소유합니다.<br>* 심사위원 득표수에 따라 ‘전설급’ 또는 ‘역사급’의 설화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br>* 참가자 1인당 하나의 역할만을 맡을 수 있습니다(엑스트라 제외).<br>* 순위 별로 추가 코인이 지급됩니다.
 +
</div> <ref>[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3400123 전지적독자시점_425화_中]</ref>
  
=='''모티브(문화원형)'''==
+
위와 같은 메인 시나리오에 김독자와 일행은 참여한다. 일행은 탁월한 능력으로 가파른 순위 상승을 꾀하고 본래 우승자로 내정되어 있던 성운 <황제>의 화신들을 위협할 수준이 되자 성운 <황제>에서 김독자 일행을 공격해 일행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 이 때 제천대성은 성운 <황제> 소속 심사위원으로 있었는데 자신의 성운인 <황제>를 등지고 김독자를 자신의 형제(다섯째)로 받아들여 김독자와 그 일행을 돕는다.  
==='''플루토'''===
+
<span style="font-size:90%; color:#888888;">플루토의 문화원형으로는 여러가지를 들 수 있는데 공식적인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은 것 근거위주로 정리.</span>
+
*'''플루토(Pluto)<ref>[https://en.wikipedia.org/wiki/Pluto_(mythology) 위키피디아, Pluto(mythology)]</ref>'''
+
고대 그리스 신화와 종교에 등장하는 저승을 지배하는 신.
+
이 신의 초기 이름은 하데스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하데스와 신화를 공유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인물이라 여기기 어렵다.
+
  
거신병 플루토가 명왕 [[하데스]]에 의해 만들어진 비밀병기라는 점, [[하데스]]라는 캐릭터가 속한 명계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가장 깊은 문화원형이라 할 수 있다.
+
정단사자(저팔계), 금신나한(사오정) 등의 동료들과 함께 성운 <황제>에 맞서 싸워 다시 한 번 천계와 싸움을 벌인다. 석가의 후예인 유상아의 도움으로 긴고아의 봉인이 풀리고 넷으로 나뉘어 있던 손오공들은 하나로 합쳐져 '가장 오래된 해방자' 라는 수식언을 가진 존재로 탈바꿈 된다. 이후 서유기 에피소드에서 다시 한 번 펼쳐진 손오공과 천계의 전투는 손오공의 승리로 막을 내린다.
  
*'''플루토(PLUTO)'''
+
=='''시맨틱 스토리텔링'''==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플루토(PLUTO)>에 등장하는 로봇.
+
[[전지적 독자 시점 속 서유기]]
  
문화 원형 자체는 고대 신인 플루토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를 거신병과 엮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을 지도 모르는 캐릭터이자 작품. 만화<플루토(PLUTO)>는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의 파생작으로 <우주소년 아톰>은 애니메이션계의 대표적인 고전 걸작이다. 문화 콘텐츠, 특히 애니메이션 계에서 로봇하면 아톰이라 할 정도로 뺴놓을 수 없는 영향력이 강한 작품이기도 하다.
 
  
==='''거신병'''===
+
=='''모티브(문화원형)'''==
*'''거신병(巨神兵)<ref>[https://namu.wiki/w/%EA%B1%B0%EC%8B%A0%EB%B3%91 나무위키/바람계곡의 나우시카/설정/거신병]</ref>'''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 등장하는 소재. 인간형 반생물 병기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
  
거신병이라는 소재 자체가 이 작품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기도 했고, 작중 거신병 플루토의 묘사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거신병과 일치.
+
*[https://ko.wikipedia.org/wiki/%EC%86%90%EC%98%A4%EA%B3%B5 손오공]
 
+
중국 고전소설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C%A0%EA%B8%B0 서유기] 의 주인공인 원숭이 수인.
<blockquote style="background-color:#000000; color:#FFFFFF; font-style:italic; padding:10px; border-left:5px solid #888;">
+
돌에서 태어나서 '돌원숭'이라고 불리다가 화과산에서 수렴동을 찾아낸 공으로 원숭이들의 우두머리 노릇을 하게 되며 스스로를 '미후왕(美猴王)'이라 칭했다가, 잠깐동안 필마온직을 맡은 이후 제천대성(齊天大聖)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하늘전쟁을 일으켜 천국을 난장판으로 만들어 놓았으나 결국 석가여래에게 제압돼 500년동안 오행산에 봉인된다. 500년 후 관세음보살에게 긴고아를 받은 삼장법사가 긴고아를 씌우고 그를 따라 서천행을 시작한다. 14년동안 81개의 고난을 거쳐 서천에 도착, 삼장법사를 서천까지 무사히 호위한 공적으로 석가여래에 의해 투전승불(鬪戰勝佛)이라는 자리에 오른다.
  거인의 형체를 닮은 외양. 검은 광택이 도는 금속으로 마감한 거병은,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천천히 호흡하고 있었다. 신화상 가장 끔찍했던 전쟁을 준비하는 병기.
+
거신병(巨身兵).
+
 
+
-전지적 독자 시점 116화 Episode 23. 버려진 세계(1)
+
</blockquote>
+
 
+
인용문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한 병기가 아니라 일종의 살아있는 생물이다. 이는 영혼이 들어가 동력원이 된다는 설정에서도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
한자같은 경우 神(귀신 신)이 아니라 身(몸 신)을 사용했는데 하데스가 소유하는 '병기'라는 속성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115번째 줄: 72번째 줄: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File:플루토신.jpeg | 플루토(Pluto)<br/>고대 신<ref>[https://en.wikipedia.org/wiki/Pluto_(mythology) 위키피디아,Pluto (mythology)]</ref>
+
File:손오공.jepg.jpg | 손오공 <br/>서유기 속 손오공<ref>[https://ko.wikipedia.org/wiki/%EC%86%90%EC%98%A4%EA%B3%B5 위키피디아,손오공]</ref>
File:거신병.png | 거신병(巨神兵)<br/><바람계곡의 나우시카><ref>[https://i.namu.wiki/i/8iyYBGiHA4u5ydiIltz-Da0AbMK6PbPwB5C9UtVl4d-ZpucNDpfHh5UE53a_hu4rupc-gESRMMUj7m5b1_6MaD6WFVO2jJjY8qKAN2Aceg7OotHiw9vDpj6MafH3jWMKJSHpL4ZLv8H4rsA2XGp2EA.webp 나무위키, 애니메이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거신병]</ref>
+
File:고전서유기.jpg | 서유기 <br/>서유기<ref>[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C%A0%EA%B8%B0 위키피디아,서유기]</ref>
 
</gallery>
 
</gallery>
 +
 +
==='''동영상'''===
 +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GgefbP2G_SA?si=8-mGWXkNKt9JGZNp"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6SIOdDZTZ0?si=dpuP80Eq-WPw_BD0"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분류: 전지적 독자 시점]]  
+
[[분류: 문화원형의 집합체, 전지적 독자 시점]]  
[[분류: KU이소영]]
+
[[분류: KU권혁빈]]

2025년 6월 20일 (금) 17:20 기준 최신판




개요(정의)

황제의 아득한 신화급 성좌들에게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존재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주요 성좌 중 하나.

내용[2]

특징

본래 설화인 서유기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손오공 자체의 격또한 너무 커져 성운 <황제>와 대도깨비와 맺은 언약으로 인해 손오공이 각각 4가지의 분기를 기준으로 4명으로 나누어 졌다.

  • 수렴동을 지배하던 원순왕 미후왕
  • 천계와의 사기계약에 당해 마구간을 관리하던 시절인 필미온
  • 서유기의 주요 파트를 맡은 긴고아를 차고 삼장을 따라 여정을 가는 중인 제천대성
  • 모든 여정 끝에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된 투전승불

이 중 긴고아의 죄수는 제천대성에 해당한다.

작중행적

초기 심연의 흑염룡, 악마 같은 불의 심판자, 은밀한 모략가와 함께 가장 오랫동안 김독자(주인공)을 지켜본 4인의 애청자 중 하나이다. 초중반 관망에 가까운 태도로 김독자를 지켜봐왔기에 행적이 드러나지 않았었지만 서유기 리메이크 에피소드에서 김독자를 자신의 형제로 받아들이면서 시나리오에 이변을 일으킨다.

서유기 에피소드 속 행적

메인 시나리오 # 94 ―서유기 리메이크

분류 : 메인
난이도 : ???
클리어 조건 : 다른 성좌 또는 화신들과 함께 ‘설화방’을 만들어 서유기를 리메이크하십시오.
리메이크된 서유기는 실시간으로 심사위원들과 관객들을 통해 평가되며, ‘인기도’, ‘원작 반영도’, ‘참신함’ 등의 평가항목을 통해 총점이 매겨집니다.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설화가 시나리오의 우승자가 됩니다.
제한시간 : ―
보상 : ‘서유기’와 관련된 거대 설화, 성운 <황제>의 호의, 3,000,000코인, ???
실패시 : ―
* 재구성된 설화들의 저작권은 성운 <황제>와 참가자가 공동 소유합니다.
* 심사위원 득표수에 따라 ‘전설급’ 또는 ‘역사급’의 설화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참가자 1인당 하나의 역할만을 맡을 수 있습니다(엑스트라 제외).
* 순위 별로 추가 코인이 지급됩니다.
[3]

위와 같은 메인 시나리오에 김독자와 일행은 참여한다. 일행은 탁월한 능력으로 가파른 순위 상승을 꾀하고 본래 우승자로 내정되어 있던 성운 <황제>의 화신들을 위협할 수준이 되자 성운 <황제>에서 김독자 일행을 공격해 일행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 이 때 제천대성은 성운 <황제> 소속 심사위원으로 있었는데 자신의 성운인 <황제>를 등지고 김독자를 자신의 형제(다섯째)로 받아들여 김독자와 그 일행을 돕는다.

정단사자(저팔계), 금신나한(사오정) 등의 동료들과 함께 성운 <황제>에 맞서 싸워 다시 한 번 천계와 싸움을 벌인다. 석가의 후예인 유상아의 도움으로 긴고아의 봉인이 풀리고 넷으로 나뉘어 있던 손오공들은 하나로 합쳐져 '가장 오래된 해방자' 라는 수식언을 가진 존재로 탈바꿈 된다. 이후 서유기 에피소드에서 다시 한 번 펼쳐진 손오공과 천계의 전투는 손오공의 승리로 막을 내린다.

시맨틱 스토리텔링

전지적 독자 시점 속 서유기


모티브(문화원형)

중국 고전소설 서유기 의 주인공인 원숭이 수인. 돌에서 태어나서 '돌원숭'이라고 불리다가 화과산에서 수렴동을 찾아낸 공으로 원숭이들의 우두머리 노릇을 하게 되며 스스로를 '미후왕(美猴王)'이라 칭했다가, 잠깐동안 필마온직을 맡은 이후 제천대성(齊天大聖)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하늘전쟁을 일으켜 천국을 난장판으로 만들어 놓았으나 결국 석가여래에게 제압돼 500년동안 오행산에 봉인된다. 500년 후 관세음보살에게 긴고아를 받은 삼장법사가 긴고아를 씌우고 그를 따라 서천행을 시작한다. 14년동안 81개의 고난을 거쳐 서천에 도착, 삼장법사를 서천까지 무사히 호위한 공적으로 석가여래에 의해 투전승불(鬪戰勝佛)이라는 자리에 오른다.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주석

  1. 전지적독자시점_웹툰_中
  2. 나무위키_긴고아의_죄수
  3. 전지적독자시점_425화_中
  4. 위키피디아,손오공
  5. 위키피디아,서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