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포의 군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잔글 (→개요(정의)) |
잔글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border:1px solid black;" | [[파일:아레스.jpeg|30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border:1px solid black;" | [[파일:아레스.jpeg|300px]] | ||
+ | <br><small>※ 이미지 출처: 네이버 웹툰, 전지적 독자 시점</small> | ||
|- | |- | ||
| style="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black;"|'''진명''' || style="border:1px solid black;"| 아레스 | | style="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black;"|'''진명''' || style="border:1px solid black;"| 아레스 | ||
42번째 줄: | 43번째 줄: | ||
=='''작중행적'''== | =='''작중행적'''== | ||
− | 기간토마키아 시나리오에서 진명과 함께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거신병 플루토와의 전투에서 패배. 화신체를 잃고 전장에서 이탈한다. | + | 기간토마키아 시나리오에서 진명과 함께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거신병 플루토와의 전투에서 패배. 화신체를 잃고 전장에서 이탈한다. 이후 본편에서 행적은 나오지 않음. |
==='''회차 정리'''=== | ==='''회차 정리'''=== | ||
66번째 줄: | 67번째 줄: | ||
− |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성운 올림포스 성좌의 대부분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을 그대로 가져왔다. 아레스도 마찬가지로 작중에서 짧게 등장하지만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묘사되는 성격과 비슷하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전해져 오는 신화 속 신들의 관계를 작품 속 신들의 관계에 다양한 방식으로 녹여내는데 아레스 또한 마찬가지로 이 부분은 [[전지적 독자 시점 속 기간토마키아]] 시맨틱 네트워크에서 자세히 | + |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성운 올림포스 성좌의 대부분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을 그대로 가져왔다. 아레스도 마찬가지로 작중에서 짧게 등장하지만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묘사되는 성격과 비슷하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전해져 오는 신화 속 신들의 관계를 작품 속 신들의 관계에 다양한 방식으로 녹여내는데 아레스 또한 마찬가지로 이 부분은 [[전지적 독자 시점 속 기간토마키아]] 시맨틱 네트워크에서 자세히 다뤘으니 참고. |
− | + | ||
=='''멀티미디어'''== | =='''멀티미디어'''==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
− | File:아레스2.jpg | + | File:아레스2.jpg|아레스<br/>고대 그리스 신<ref>[https://en.wikipedia.org/wiki/Ares 위키피디아, Ares]</ref>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동영상'''===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j7RCkG8jwiQ?si=Jjh9tclQnZuEzuwz"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주석'''== | =='''주석'''== | ||
82번째 줄: | 86번째 줄: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
− | [[분류: 전지적 독자 시점]] | + | [[분류: 문화원형의 집합체, 전지적 독자 시점]] |
[[분류: KU이소영]] | [[분류: KU이소영]] |
2025년 6월 10일 (화) 12:35 기준 최신판
인물 | |
---|---|
![]()
| |
진명 | 아레스 |
소속 | 올림포스 |
분류 | 성좌 |
수식언 | 흉포의 군신 |
목차
개요(정의)
[성좌, ‘흉포의 군신’이 거신들과의 전쟁을 원합니다.]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성좌.
내용
특징
성운 올림포스에 속하는 성좌. 올림포스 12신에 속한다.
헤라클라스와의 관계
기간토마키아에서 거신병으로 밝혀진 헤라클레스를 조종하는 역할을 한다.
작중행적
기간토마키아 시나리오에서 진명과 함께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거신병 플루토와의 전투에서 패배. 화신체를 잃고 전장에서 이탈한다. 이후 본편에서 행적은 나오지 않음.
회차 정리
회차 | 에피소드 |
---|---|
3부 330화 | Episode 62. 신의 천적(3) |
3부 331화 | Episode 62. 신의 천적(4) |
3부 332화 | Episode 62. 신의 천적(5) |
시맨틱 스토리텔링
모티브(문화원형)
아레스
- 아레스(Ares)[1]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전쟁과 용기(courage)의 신. 올림포스 12신 중 하나로, 제우스와 헤라의 아들이다. 같은 전쟁의 신으로 대표되는 아테나보다 비교적으로 야만적이고 위험한 점이 드러난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성운 올림포스 성좌의 대부분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을 그대로 가져왔다. 아레스도 마찬가지로 작중에서 짧게 등장하지만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묘사되는 성격과 비슷하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전해져 오는 신화 속 신들의 관계를 작품 속 신들의 관계에 다양한 방식으로 녹여내는데 아레스 또한 마찬가지로 이 부분은 전지적 독자 시점 속 기간토마키아 시맨틱 네트워크에서 자세히 다뤘으니 참고.
멀티미디어
이미지
아레스
고대 그리스 신[2]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