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대비(드라마, 201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포스터)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이미지출처= bntnews | |이미지출처= bntnews | ||
|작품명(국문)= 인수대비 | |작품명(국문)= 인수대비 | ||
− | |작품명(영문)= Queen | + | |작품명(영문)= Insu, the Queen Mother |
|제작연도= 2011년 | |제작연도= 2011년 | ||
|국가= 한국 | |국가= 한국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시놉시스'''= | ='''시놉시스'''= | ||
− | 조선의 역사 속에서 가장 큰 권력을 쥔 여성 중 한 명인 인수대비는 세조의 아내이자 | + | 조선의 역사 속에서 가장 큰 권력을 쥔 여성 중 한 명인 인수대비는 세조의 아내이자 단종의 어머니로서 왕권과 권력을 두고 치열한 싸움을 벌여야 했다. |
− | 세조는 자신의 형인 단종을 왕위에서 물러나게 하고 조카인 단종을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등의 권력 투쟁을 벌이며 왕위에 올랐다. 인수대비는 이러한 과정에서 큰 아픔과 갈등을 겪으면서도 | + | 세조는 자신의 형인 단종을 왕위에서 물러나게 하고 조카인 단종을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등의 권력 투쟁을 벌이며 왕위에 올랐다. 인수대비는 이러한 과정에서 큰 아픔과 갈등을 겪으면서도 가족을 지키기 위해 싸우다. 또한 그녀는 세조의 무자비한 권력욕과 끊임없는 갈등 속에서도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하게 되며 왕비로서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많은 고난을 겪는다. |
− | 이 드라마는 권력 다툼과 음모, 배신과 충성을 중심으로 펼쳐지며 인수대비의 강인하고 지혜로운 면모와 함께 당시 왕조의 복잡한 정치 상황을 그리고 있습니다. 또한 인수대비와 세조 | + | 이 드라마는 권력 다툼과 음모, 배신과 충성을 중심으로 펼쳐지며 인수대비의 강인하고 지혜로운 면모와 함께 당시 왕조의 복잡한 정치 상황을 그리고 있습니다. 또한 인수대비와 세조 그리고 단종을 둘러싼 감정선이 주요 이야기를 이룬다. |
=='''등장인물'''== | =='''등장인물'''== | ||
− | === | + | ===주요인물=== |
<gallery> | <gallery> | ||
− | 파일:채시라.jpg | 채시라 | + | 파일:채시라.jpg | [https://ko.wikipedia.org/wiki/%EC%B1%84%EC%8B%9C%EB%9D%BC 채시라]- 인수대비 |
− | 파일:함은정.jpg | 함은정 | + | 파일:함은정.jpg | [https://ko.wikipedia.org/wiki/%ED%95%A8%EC%9D%80%EC%A0%95 함은정]- 인수대비 |
− | 파일:김미숙.jpg | 김미숙 | + | 파일:김미숙.jpg |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AF%B8%EC%88%99_(%EB%B0%B0%EC%9A%B0) 김미숙] - 정희황후 |
− | 파일:김영호.jpg | 김영호 | + | 파일:김영호.jpg |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8%81%ED%98%B8_(%EB%B0%B0%EC%9A%B0) 김영호] - 세조 |
</gallery> | </gallery> | ||
− | + | ||
+ | *'''왕실 인물''' | ||
+ | **양녕대군: 박웅 | ||
+ | **세종: 전무송 | ||
+ | **혜빈 양씨(세종의 후궁): 최지나 | ||
+ | **문종: 선우재덕 | ||
+ | **안평대군: 이광기 | ||
+ | **계양군: 전진우 | ||
+ | **계양군부인 한씨 : 김가연 | ||
+ | **단종: 채상우 | ||
+ | **단종비: 조정은 | ||
+ | **예종: 박준목 - 노영학 | ||
+ | **인혜대비 : 김원희(아역)-이연두 | ||
+ | **월산대군: 이지오 - 장희웅 | ||
+ | **공혜왕후: 이지우 | ||
+ | **윤창년 : 한보배(성종 시기) 고정민(연산군 시기) | ||
+ | **소용 엄씨: 박탐희 | ||
+ | **귀인 정씨: 정요숙 | ||
+ | **숙의 권씨: 강초희 | ||
+ | **연산군 : 김진우 - 진태현 | ||
+ | **폐비 신씨 : 홍소희 | ||
+ | **장녹수: 전소민 | ||
+ | **진성대군: 전준혁 - 백승도 | ||
+ | **안양군: 재형 | ||
+ | **봉안군 : 김세현 | ||
+ | |||
+ | |||
+ | *'''궁인과 내시''' | ||
+ | **박 상궁 역: 서이숙 | ||
+ | **김 상궁 역: 이덕희 | ||
+ | **최 상궁 역: 이도경 | ||
+ | **엄자치 역: 정인택 | ||
+ | **김처선 역: 맹상훈 | ||
+ | ** 전균 역: 박영지 | ||
='''포스터'''= | ='''포스터'''= | ||
[[파일:인수대비.jpg]] | [[파일:인수대비.jpg]] | ||
+ | |||
+ | ='''동영상'''=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nYoq4dlXTs?si=MxD1a18prmjCadnX"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명대사'''= | ||
+ | {{명대사| 여성의 신분을 넘어 조선 최고의 권력자를 꿈꾸었다 | ||
+ | |인물= 인수대비}} | ||
+ | |||
+ | {{명대사| 권력을 둘러싼 세 여인의 인연과 악연을 다룬다 | ||
+ | |인물= 인수대비}} | ||
+ | |||
+ | ='''수상이력'''= | ||
+ | 수상 내역이 없지만 작품은 깊이 있는 스토리와 배우들의 열연으로 많은 시청자들에게 인상을 남겼다 | ||
+ | |||
+ | ='''촬영지 정보'''= | ||
+ | *영주시 | ||
+ | [[파일:영주시.jpeg]] | ||
+ | |||
+ | |||
+ |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동쪽으로 봉화군, 서쪽으로 예천군, 남쪽으로 안동시, 북쪽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과 접하고 있다. 해발고도 약 200m에 자리하며, 소백산맥의 비로봉(1,439.5m), 국망봉(1,420.8m), 연화봉(1,394m) 등과 접해 있어 소백산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영주시는 풍기인삼의 주산지로도 유명하며 매년 풍기인삼축제를 개최하여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 또한 소백산국립공원은 등산과 자연 탐방을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 ||
+ | *홈페이지 : https://www.yeongju.go.kr/design/main/index.html | ||
+ | |||
+ | ='''역사적 배경'''= | ||
+ | ===인수대비(허혜황후)===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D%98%9C%EC%99%95%ED%9B%84] 출처: 위키백과 소혜황후 | ||
+ | |||
+ | |||
+ | |||
+ | |||
+ | ='''평점과 한줄평'''=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60%;" | ||
+ | ! 작성자 || 별점 || 한줄평 | ||
+ | |- | ||
+ | |} | ||
+ | |||
+ | |||
+ | ='''참고자료'''=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
+ | [[분류: Time-Slip Archive]] | ||
+ | [[분류: KU고윤희]] |
2025년 3월 29일 (토) 15:58 기준 최신판
인수대비 | |
작품명(국문) | 인수대비 |
---|---|
작품명(영문) | Insu, the Queen Mother |
제작연도 | 2011년 |
국가 | 한국 |
채널 | jtbc |
감독 | 이영 |
각본 | 정하연 |
개봉일 | 2012년 9월 |
방송기간 | 2011년 12월 3일 - 2012년 6월 24일 |
등급 | 15세 이상 |
장르 | 로맨스, 사극 |
러닝타임 | 60분 |
방송횟수 | 50회 |
관객수 | 약 20% 이상 |
목차
[숨기기]시놉시스
조선의 역사 속에서 가장 큰 권력을 쥔 여성 중 한 명인 인수대비는 세조의 아내이자 단종의 어머니로서 왕권과 권력을 두고 치열한 싸움을 벌여야 했다.
세조는 자신의 형인 단종을 왕위에서 물러나게 하고 조카인 단종을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등의 권력 투쟁을 벌이며 왕위에 올랐다. 인수대비는 이러한 과정에서 큰 아픔과 갈등을 겪으면서도 가족을 지키기 위해 싸우다. 또한 그녀는 세조의 무자비한 권력욕과 끊임없는 갈등 속에서도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하게 되며 왕비로서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많은 고난을 겪는다.
이 드라마는 권력 다툼과 음모, 배신과 충성을 중심으로 펼쳐지며 인수대비의 강인하고 지혜로운 면모와 함께 당시 왕조의 복잡한 정치 상황을 그리고 있습니다. 또한 인수대비와 세조 그리고 단종을 둘러싼 감정선이 주요 이야기를 이룬다.
등장인물
주요인물
- 왕실 인물
- 양녕대군: 박웅
- 세종: 전무송
- 혜빈 양씨(세종의 후궁): 최지나
- 문종: 선우재덕
- 안평대군: 이광기
- 계양군: 전진우
- 계양군부인 한씨 : 김가연
- 단종: 채상우
- 단종비: 조정은
- 예종: 박준목 - 노영학
- 인혜대비 : 김원희(아역)-이연두
- 월산대군: 이지오 - 장희웅
- 공혜왕후: 이지우
- 윤창년 : 한보배(성종 시기) 고정민(연산군 시기)
- 소용 엄씨: 박탐희
- 귀인 정씨: 정요숙
- 숙의 권씨: 강초희
- 연산군 : 김진우 - 진태현
- 폐비 신씨 : 홍소희
- 장녹수: 전소민
- 진성대군: 전준혁 - 백승도
- 안양군: 재형
- 봉안군 : 김세현
- 궁인과 내시
- 박 상궁 역: 서이숙
- 김 상궁 역: 이덕희
- 최 상궁 역: 이도경
- 엄자치 역: 정인택
- 김처선 역: 맹상훈
- 전균 역: 박영지
포스터
동영상
명대사
![]() |
여성의 신분을 넘어 조선 최고의 권력자를 꿈꾸었다 | ![]() |
- 인수대비 |
![]() |
권력을 둘러싼 세 여인의 인연과 악연을 다룬다 | ![]() |
- 인수대비 |
수상이력
수상 내역이 없지만 작품은 깊이 있는 스토리와 배우들의 열연으로 많은 시청자들에게 인상을 남겼다
촬영지 정보
- 영주시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동쪽으로 봉화군, 서쪽으로 예천군, 남쪽으로 안동시, 북쪽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과 접하고 있다. 해발고도 약 200m에 자리하며, 소백산맥의 비로봉(1,439.5m), 국망봉(1,420.8m), 연화봉(1,394m) 등과 접해 있어 소백산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영주시는 풍기인삼의 주산지로도 유명하며 매년 풍기인삼축제를 개최하여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 또한 소백산국립공원은 등산과 자연 탐방을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역사적 배경
인수대비(허혜황후)
[1] 출처: 위키백과 소혜황후
평점과 한줄평
작성자 | 별점 | 한줄평 |
---|
참고자료
주석